검색결과5건
부동산일반

강남3구·용산구 등 서울 규제지역 아파트값 일제 상승 전환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 등 규제지역 아파트값이 일제히 상승했다. 이번주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상승한 곳은 7개 구로 늘었다.1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05%) 대비 0.04% 하락해 5주 연속 낙폭이 둔화했다. 이 가운데 강남3구와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0.04%) 아파트값이 모두 상승했다.지난주 각각 0.01% 내렸던 송파구와 강동구의 아파트값이 이번주 0.08%, 0.02% 올라 상승 전환했고, 서초구(0.02%)와 강남구(0.01%)도 상승세가 이어졌다.지난주 보합을 기록했던 용산구는 0.01% 올라 상승 전환했다. 용산구 아파트값이 오른 것은 작년 6월 둘째주(0.01%) 이후 11개월 만에 처음으로, 이로써 현재 규제지역으로 남아 있는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 등 4곳의 아파트값이 모두 상승했다.한국부동산원은 "최근 강남권을 비롯한 주요 인기 단지 위주로 저가 매물이 소진된 이후 상승 거래가 발생하며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총 2978건을 기록해 최근 극심한 거래 부진 속에서도 5개월 연속 증가 추세를 보였다.4월 거래량도 이달 현재까지 신고된 건수가 2526건에 달한다. 신고기한이 이달 말까지인 것을 감안하면 3월 거래량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크다.노원구의 아파트값은 0.05% 올라 3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고, 오름폭도 지난주(0.02%)보다 커졌다. 동작구의 아파트값은 최근 2주 연속 보합에서 이번주 다시 0.02% 상승했다.서울에서 상승 지역은 지난주 3곳에서 이번주 7곳으로 늘었다. 그런가 하면 성동구의 아파트값은 작년 5월 둘째주부터 이어진 하락을 멈추고 1년 만에 보합 전환했다.수도권 아파트값도 곳곳에서 상승 거래가 발생하며 지난주 -0.07%에서 이번주 -0.04%로 낙폭이 둔화했다. 인천은 지난해 1월 마지막주(-0.04%)부터 1년3개월여간 이어온 하락을 멈추고 이번주 보합을 기록했다. 중구(0.08%)와 연수구(0.04%), 계양구(0.12%) 등이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경기도는 지난주 -0.09%에서 이번주 -0.04%로 하락폭이 줄었지만 곳곳에서 아파트값이 반등하는 모습이다.성남시는 수정구(0.15%)와 중원구(0.04%) 등의 강세로 지난주 -0.02%에서 이번주 0.02% 올라 상승 전환했다.용인시는 반도체 특수가 있는 처인구(0.27%)를 비롯해 용인 수지구(0.01%)도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상승하면서 시 전체적으로 0.02% 올랐다. 또 수원시(0.05%)와 광명시(0.16%) 아파트값이 금주 상승 전환했고, 화성(0.14%)과 오산(0.095), 평택(0.08%), 하남시(0.15%) 등도 강세가 이어졌다.전셋값도 낙폭이 계속해서 줄고 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11% 떨어져 지난주(-0.13%)보다 하락폭이 둔화했다. 서울과 경기도 전셋값도 각각 0.07% 내려 낙폭이 감소했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05.11 14:17
부동산

서울 아파트값 10년1개월만에 최대 하락

추가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로 아파트 가격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10년1개월 만에, 수도권과 전국 아파트값은 2012년 5월 시세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13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10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22% 떨어졌다. 지난주(-0.20%)보다 낙폭이 커진 것이면서, 2012년 8월 마지막주(-0.22%) 조사 이후 10년1개월여 만에 최대 하락이다. 이번주는 지난 12일 단행된 한국은행의 '빅스텝'(기준금리 0.5%p 인상)이 사전 예고된 가운데 집값 하락이 본격화하며 매수세는 자취를 감추고, 종전 거래가보다 싼 매물이 늘었다.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6만1715건으로, 일주일 전에 비해 2.4%, 한 달 전에 비해 7.0%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원·도봉구 아파트값은 이번주 각각 0.40% 떨어지며 큰 폭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노원구 아파트값은 2012년 6월 마지막주(-0.48%) 이후, 도봉구는 2013년 2월 둘째주(-0.62%)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강남권에서는 송파구가 지난주 -0.27%에서 이번주 -0.31%로, 강남구는 -0.13%에서 -0.15%로 낙폭이 확대된 반면, 서초구는 -0.07%에서 -0.05%로 하락폭이 둔화했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0.30%, 0.38% 하락하며 지난주(-0.26%, -0.31%)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이 0.28% 떨어지며 2012년 5월 한국부동산원의 시세 조사 이래 10년5개월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경기도에서는 광명시 아파트값이 0.44% 떨어지며 지난주(-0.40%)보다 낙폭이 확대됐고, 김포(-0.43%), 화성(-0.35%), 안산(-0.33%), 시흥(-0.32%) 등지도 약세가 이어졌다. 지방은 최근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 해제에도 불구하고 하락폭이 다시 커졌다. 지난주 -0.39%로 낙폭이 다소 줄었던 세종시 아파트값은 이번주 0.45% 떨어지며 다시 하락폭이 확대됐다. 대구(-0.26%), 부산(-0.20%), 대전(-0.31%) 등 주요 지방 광역시 아파트값도 지난주보다 더 많이 떨어졌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값은 0.23% 내리며 지난주(-0.20%)보다 낙폭이 0.3%포인트(p) 커졌다. 역시 2012년 5월 부동산원의 시세 조사 이래 역대 최대 하락폭이다. 전세시장도 동반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금리 인상 등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파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재계약 외에 신규 이동 수요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22% 떨어져 2019년 2월 셋째주(-0.22%) 조사 이후 3년8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수도권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각각 0.32%, 0.25% 떨어지며 지난주(-0.27%, 0.25%)보다 내림폭이 커졌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10.13 17:56
부동산

서울 아파트 값 9주 연속 하락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에 따른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로 서울 아파트값이 9주 연속 하락했다. 2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7% 하락했다.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시행 이후 9주 연속 하락한 것으로, 지난주(-0.05%)보다 낙폭도 확대됐다. 하락폭으로는 2020년 4월 27일(-0.07%) 조사 이후 2년3개월 만에 가장 크다. 서울에서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도봉구 아파트값은 지난주(-0.14%)보다 0.03%포인트(p) 확대된 0.17%가 하락하면서 서울 25개구 가운데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또 노원구와 성북구가 각각 0.15% 내리면서 지난주(-0.13%, -0.12%)보다 하락폭이 커졌고, 강북구도 지난주 0.13%에서 금주 0.14%로 더 많이 내렸다. 서북권의 마포·서대문구(-0.13%)와 은평구(-0.14%)도 거래 침체가 이어지며 지난주보다 하락폭에 눈에 띄게 커졌다. 이에 비해 강남권은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작지만 서초구(0.01%)를 제외하고 약세가 이어졌다. 강남구는 지난주 -0.02%에서 금주 -0.01%로 낙폭이 줄었든 반면 송파구는 -0.02%에서 -0.04%로 하락폭이 커졌다. 용산구도 이번주 0.05% 떨어지며 지난주(-0.02%)보다 하락폭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0.08%)와 인천(-0.10%)도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커지면서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 낙폭은 지난주 -0.06%에서 금주 -0.08%로 확대됐다.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폭은 2019년 4월 22일(-0.10%) 조사 이후 3년3개월 만에 가장 큰 것이다. 전셋값도 하락세가 지속되는 분위기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3% 떨어졌고, 경기도(-0.07%)는 지난주(-0.05%)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0.03%에서 금주 -0.05%로 낙폭이 확대됐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07.28 14:30
생활/문화

서울 아파트값 11주 만에 하락세 '멈춤'

서울 아파트값이 11주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설 용산구와 강남구·서초구의 한강변·신축 아파트값이 올랐다. 7일 한국부동산원의 4월 1주(4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 오르면서 보합 전환됐다. 올해 1월 4주(-0.01%)부터 시작된 하락세가 금주 멈춘 것이다. 강북 14개구는 전주 대비 0.01% 떨어졌지만 강남 11개구는 전주 대비 보합세를 유지했다. 한국부동산원 측은 “서울 아파트는 대체로 매물이 감소하고 매수세가 소폭 증가했다. 강북권은 하락폭 축소되고 강남권은 재건축과 중대형 위주로 상승하며 서울 전체는 지난주 하락에서 보합 전환됐다”고 말했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아파트값만 상승했다. 강남구(0.02%)는 개포·역삼동 등 중대형 위주로, 서초구(0.02%)는 한강변 신축 등 반포동 위주로 신고가 거래되며 상승폭 확대됐다. 송파구(0.01%)는 급매물 소진되고 호가 상승하며 상승 전환됐다. 지역개발 기대감이 있는 용산구(0.02%)는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은 하락을 멈췄지만, 경기가 0.03% 떨어지면서 수도권의 하락세는 0.02%로 유지됐다. 지난주 경기는 0.02% 하락했지만, 거래심리 위축과 매물 적체가 지속하면서 하락 폭이 커졌다. 용인 수지구(-0.15%), 오산시(-0.14%), 과천시(-0.13%), 화성시(-0.12%) 등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인천은 연수·남동구가 0.02% 하락했지만, 서구(0.07%), 미추홀구(0.01%) 등이 상승하면서 하락세를 끊고 0.0% 보합을 기록했다. 지난주 보합이던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으로 전환됐다. 전국 전셋값은 0.02% 하락했다. 서울과 경기는 각각 0.02%, 0.03% 떨어지며 하락 폭을 유지했고, 인천은 0.08%를 기록하며 지난주 0.11% 하락에 비해 낙폭을 줄였다. 수도권 전체로는 0.03% 하락하며 지난주 0.04%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2.04.07 15:44
경제

코로나19 경기둔화 우려에…서울 아파트값 8개월 만에 하락세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멈췄다. 지난해 7월 첫째 주 상승 전환한 이후 37주 만이다. 한국감정원은 19일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이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여 만에 하락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12·16대책 이후 강남권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감소했고,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강남권 하락폭이 컸다. 강남4구(서초·강남·송파·강동)의 경우 지난주 -0.05%에서 금주 -0.09%로 낙폭이 확대됐다. 강남구와 서초구가 지난주 -0.06%에서 금주 나란히 -0.12%로 하락폭이 각각 2배로 확대됐고 송파구도 0.08% 떨어져 지난주 -0.06% 보다 떨어졌다. 비강남권은 상승폭이 둔화했다. 강동구는 지난주 0.02% 상승에서 금주 0.01%로 오름폭이 둔화했다. 최근 집값이 강세인 노원구는 지난주 0.09%에서 금주 0.06%로 상승폭이 줄었고 광진구는 5주 연속 보합을 기록했다. 수도권 지역은 풍선효과로 강세를 보인 곳이 많았다. 인천의 경우 광역급행철도(GTX) 호재가 있는 연수구가 0.95% 오르는 등 지난주 0.38%에서 금주 0.53%로 오름폭이 커졌다. 수원시는 조정대상지역 지정이 됐지만 0.75% 올랐다. 용인시(0.48%)도 신분당선·수인선 등 교통호재로 강세가 이어졌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의 아파트값은 0.05% 내렸다. 올해 공시가격이 지방에서 가장 많이 오른 대전은 0.46% 올라 지난주(0.40%)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반면 전셋값은 대체로 안정세였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4% 올랐고 경기도는 0.08%로 지난주(0.11%)보다 상승폭이 둔화했다. 새 아파트 입주 영향으로 양천구의 전셋값이 0.04% 내렸고, 동작·노원구는 보합을 기록했다. 인천(0.30%)과 세종(0.68%)은 지난주(0.18%, 0.57%)보다 오름폭이 커졌으나 나머지 지역들은 안정적인 모습이었다. 이번 한국감정원의 발표는 16일 자 기준이다. 16일 단행된 금리 인하나 18일 발표한 공동주택 공시가격 영향은 이번 시세 조사에서 반영되지 않았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3.19 15:4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