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19 경기둔화 우려에…서울 아파트값 8개월 만에 하락세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멈췄다. 지난해 7월 첫째 주 상승 전환한 이후 37주 만이다. 한국감정원은 19일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이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여 만에 하락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12·16대책 이후 강남권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감소했고,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강남권 하락폭이 컸다. 강남4구(서초·강남·송파·강동)의 경우 지난주 -0.05%에서 금주 -0.09%로 낙폭이 확대됐다. 강남구와 서초구가 지난주 -0.06%에서 금주 나란히 -0.12%로 하락폭이 각각 2배로 확대됐고 송파구도 0.08% 떨어져 지난주 -0.06% 보다 떨어졌다. 비강남권은 상승폭이 둔화했다. 강동구는 지난주 0.02% 상승에서 금주 0.01%로 오름폭이 둔화했다. 최근 집값이 강세인 노원구는 지난주 0.09%에서 금주 0.06%로 상승폭이 줄었고 광진구는 5주 연속 보합을 기록했다. 수도권 지역은 풍선효과로 강세를 보인 곳이 많았다. 인천의 경우 광역급행철도(GTX) 호재가 있는 연수구가 0.95% 오르는 등 지난주 0.38%에서 금주 0.53%로 오름폭이 커졌다. 수원시는 조정대상지역 지정이 됐지만 0.75% 올랐다. 용인시(0.48%)도 신분당선·수인선 등 교통호재로 강세가 이어졌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의 아파트값은 0.05% 내렸다. 올해 공시가격이 지방에서 가장 많이 오른 대전은 0.46% 올라 지난주(0.40%)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반면 전셋값은 대체로 안정세였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4% 올랐고 경기도는 0.08%로 지난주(0.11%)보다 상승폭이 둔화했다. 새 아파트 입주 영향으로 양천구의 전셋값이 0.04% 내렸고, 동작·노원구는 보합을 기록했다. 인천(0.30%)과 세종(0.68%)은 지난주(0.18%, 0.57%)보다 오름폭이 커졌으나 나머지 지역들은 안정적인 모습이었다. 이번 한국감정원의 발표는 16일 자 기준이다. 16일 단행된 금리 인하나 18일 발표한 공동주택 공시가격 영향은 이번 시세 조사에서 반영되지 않았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3.19 1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