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IT

이통사 만난 과기장관, "AI로 보이스피싱 근절"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이 최근 급증하는 보이스피싱의 모니터링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이동통신 3사를 만났다.배경훈 장관은 8일 KT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열린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동통신 3사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전문가들이 자리했다.이번 간담회는 민·관이 머리를 맞대 AI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피해 예방을 위한 근본적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KT는 지난해 10월 정보통신기술 규제 유예 제도(ICT 규제 샌드박스) 실증 특례로 지정된 '실시간 통화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개시했다. 올해 보이스피싱 탐지율 95% 이상, 약 2000억원의 피해 예방을 목표로 하고 있다.SK텔레콤은 2021년부터 경찰에 신고된 보이스피싱 전화번호의 수·발신을 자동 차단하는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향후 AI로 조작한 가짜 목소리(딥보이스) 탐지 서비스도 추진할 예정이다.LG유플러스는 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 앱에서 실시간 보이스피싱 경고 알림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전국 1800여 개 모든 매장을 '보안 전문 매장'으로 전환해 맞춤형 상담과 보안 조치를 지원하고 있다.이 자리에서 이동통신 3사는 보이스피싱 탐지 앱 홍보를 강화하고, 보이스피싱 예방 캠페인을 합동으로 진행하기로 했다.배경훈 장관은 "보이스피싱과 같은 디지털 범죄에 맞서 강력한 방패가 돼줄 수 있는 AI 기술을 활용해 민·관이 협력하면 보이스피싱을 근절해 나갈 수 있다"며 "보이스피싱 대응 서비스가 국민들에게 잘 알려지고 활용돼 보이스피싱 예방에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서비스 고도화와 적극적인 홍보를 해달라"고 당부했다.또 "AI로 보이스피싱 예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데이터 공유·활용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관계 부처와 협업해 데이터 이용에 장애가 되는 걸림돌을 제거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5.08.08 15:01
IT

과기장관-이통사, 5G 중간요금제 논의…5만9000원·24GB 유력

정부와 이동통신 3사가 5G 중간요금제 도입을 가속한다. 평균 데이터 사용량 구간을 충족하는 5만원 후반대 상품 출시가 기대된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은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구현모 KT 대표·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와 취임 후 처음 만났다. 이종호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최근 공공요금 인상과 소비자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경제뿐만 아니라 국민의 민생 안정도 절실한 상황"이라며 "국민의 필수재인 통신서비스의 접근권 제고 및 선택권 확대를 위해 이용자 수요에 맞는 5G 요금제가 출시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행사에 앞서 이날 오전 SK텔레콤이 월 5만9000원에 24GB의 데이터를 보장하는 5G 중간요금제(안)를 확정해 조만간 과기정통부에 제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SK텔레콤 관계자는 "아직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시장지배적 위치의 SK텔레콤은 업계를 대표해 신규 요금제를 정부에 제안하는 유보신고사업자다. 과기정통부는 통상 2~3주에 거쳐 고객 편의와 공정 경쟁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새로운 상품을 승인한다. 현재 5G 요금제는 SK텔레콤 기준 저가와 주력 요금제의 데이터 격차가 10배가량 난다. 월 5만5000원의 '슬림'은 10GB, 월 6만9000원의 '5GX 레귤러'는 110GB의 데이터를 뒷받침한다. 월 8만9000원 이상 요금제부터 5G 데이터 완전 무제한이다. 다른 통신사도 이와 유사한 요금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5G 월평균 이용 데이터는 20GB 중후반대로 집계돼 이에 맞는 요금제 설계가 꾸준히 요구됐다. 간담회에서 이종호 장관은 "5G 요금제가 소량과 대량 데이터로 한정돼 있어 이용자 수요에 맞는 중간요금제 출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07.11 16:1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