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연예

58회 금마장 홍콩시위 다룬 영화 최우수 다큐상… 장첸 남우주연상

2019년 홍콩에서 대대적으로 벌어진 반정부 민주화 시위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가 대만 금마장(金馬奬) 영화제에서 다큐멘터리상을 받았다. 제58회 대만 금마장 영화제 시상식이 27일(한국시간) 타이베이 국부기념관에서 개최됐다. 대만 중앙통신사에 따르면 이날 열린 시상식에서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은 홍콩 감독 키위 차우(周冠威)의 ‘시대혁명’(時代革命· Revolution of Our Times)이 수상했다. 영화의 제목 ‘시대혁명’은 범죄인 인도법(송환법) 개정 반대 운동을 계기로 2019년 여름부터 전 시민사회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전개된 홍콩의 반정부 민주화 운동 당시 시위대가 대표적으로 외친 구호이기도 하다. 2시간 30분 분량의 ‘시대혁명’은 시위에 참여한 7명 홍콩 시민들의 시선에서 2019년 시작된 홍콩의 민주화 운동이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의 통과로 소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영화는 보안법으로 처벌받을 우려 때문에 홍콩에서 정식으로 상영되지 못했다. 현재 홍콩에서는 반중 메시지를 담은 대표적 구호인 ‘광복홍콩, 시대혁명’(光復香港時代革命)을 공개 장소에서 언급할 수 없다. 이 구호를 외치는 행위 자체만으로도 홍콩보안법이 규정한 ‘국가 분열’을 초래한 것으로 간주하여 중형을 선고받을 수 있다. 영화제에 참석하지 못한 차우 감독은 인터넷 화상 연결 방식으로 시상식장 스크린에 나와 “영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 울었다”며 “홍콩에 남아 있는 사람들, 해외로 망명을 간 홍콩인, 심지어 감옥에 있는 친구들에게 이 한 편의 영화가 조금의 위로를 줄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이번 금마장의 최우수 작품상은 대만 중멍훙(鍾孟宏) 감독의 영화 ‘폭포’가 받았다. 이 영화는 코로나19로 격리된 공간에서 악화하는 모녀의 이야기를 다뤘다. 남우주연상은 ‘영혼사냥’의 장첸(張震), 여우주연상은 ‘폭포’의 자징원(賈靜雯)이 각각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지난 1962년 시작된 금마장 영화제는 한때 아시아의 오스카상으로 불렸다. 오랫동안 체제의 벽을 넘어 중국어권 영화들이 한데 어우러지는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2018년 금마장 영화제에서 대만 대학생들의 반중 운동인 ‘해바라기 운동’을 다룬 대만 푸위(傅楡) 감독이 다큐멘터리 작품상 수상을 계기로 중국 당국은 자국 영화인들의 금마장 영화제 참석을 금지했다. 이현아 기자 lee.hyunah1@joongang.co.kr 2021.11.28 17:12
축구

[현장에서] "위 아 홍콩!" 부산에 울려 퍼진 홍콩의 외침, 그들만의 축구 전쟁

"위 아 홍콩!" 관중석 북측 두 구역에 걸쳐 자리를 잡은 홍콩 응원단이 가방 속에서 주섬주섬 머플러를 꺼내 들었다. '홍콩을 위해 싸우자(FIGHT FOR HONG KONG)'는 머플러를 양 손으로 들어올려 활짝 펼친 홍콩 응원단 사이로 커다란 현수막이 펴졌다. '홍콩은 중국이 아니다(HONG KONG IS NOT CHINA)', '광복홍콩, 시대혁명' 등 정치적 문구를 담은 플래카드가 곳곳에 펼쳐졌고 홍콩의 국기인 양자형기 옆에 홍콩 반환 이전에 사용하던 영국령 홍콩 기가 나란히 펄럭였다. '경기장 내 정치적 문구 및 플래카드 반입이 불가능하다'는 공지에 따라 주최측인 대한축구협회 관계자들의 움직임이 바빠졌고 경호원들도 분주하게 해당 플래카드를 압수했다. 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2019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 마지막 날인 18일, 한일전에 앞서 열린 홍콩과 중국의 경기에서 벌어진 풍경이다. 이날 경기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상황에 처해있는 대회 4개 참가국이 서로 맞붙는 대진표가 짜여져 축구팬뿐만 아니라 대중적으로도 큰 관심을 모았다. 특히 첫 번째 경기는 최근 민주화 시위로 국제적인 관심을 모으고 있는 홍콩과 그 상대 중국이 치르는 경기라 양국 축구팬들은 물론 대중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1997년 영국이 홍콩 주권을 반환한 이후 벌써 20년 넘게, 크고 작은 갈등 속에서도 두 나라는 일국양제(하나의 국가, 두 개의 체제) 원칙을 지켜왔다. 그러나 최근 송환법 문제가 도화선이 되며 홍콩에 민주화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어 중국과 갈등이 더욱 깊어졌다. 반 년 넘게 민주화 시위를 벌이고 있는 홍콩은 이번 대회에서도 정치적 메시지를 끊임없이 발산했다. 대표적인 행동이 바로 중국 국가인 '의용군 행진곡'이 나올 때 등 돌리고 선 채 야유하는 것이다. 이날도 홍콩 응원단은 관중석에 입장한 뒤 시위대가 즐겨 부르는 '홍콩에 영광을'이라는 노래를 부르고, "위 아 홍콩"을 외치며 두 손을 번쩍 들었다. '의용군 행진곡'이 나오자 약속이나 한 듯 야유를 퍼부으며 등을 돌렸다. 간혹 등을 돌리는 대신 손을 높이 들어 가운데 손가락을 세워 욕을 하는 팬들도 있었다. 국제대회 때마다 자주 벌어지는 풍경으로, 이 때문에 홍콩축구협회가 계속 벌금을 내고 있지만 홍콩 국민들의 반중 정서가 굳건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행동이었다. 그라운드 안은 선수들이 펼치는 경쟁의 장이지만, 그라운드 밖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 지 모르는 일촉즉발의 분위기가 이어졌다. 혹시 모를 충돌을 막기 위해 대한축구협회는 이날 경기 경찰기동대의 숫자를 세 배 증원해 240명까지 늘리고, 사설 경호원의 숫자도 늘려 640명을 배치했다. 관중석도 분리했고, 중국어와 광둥어에 능통한 자원봉사자들을 검색대에 배치해 철저하게 반입 물품을 검사했다. 중국 응원단도 마찬가지 과정을 거쳐 경기장에 입장했다. 그러나 홍콩과 달리 반대쪽 남측 관중석에 자리한 중국 응원단의 숫자는 스무 명 남짓으로 적었다. 홍콩 응원단이 쉴 새 없이 북을 치며 "위 아 홍콩"을 외치고 야유를 퍼붓는 동안 중국 응원단은 특유의 '짜요' 응원조차 없이 조용히 경기를 관망했다. 간간히 중국의 공격이 홍콩 골대를 위협하면 소리 높이기도 했지만, 적어도 이날 응원전에선 '인해전술'을 앞세워 어디서나 위협적이던 중국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우려와는 달리 홍콩-중국전은 철저한 조치 속에 큰 충돌 없이 끝났고 경기는 중국의 2-0 승리로 마무리됐지만, 간절한 메시지를 담은 응원전에선 홍콩의 완승이었다. 부산=김희선 기자 kim.heeseon@joongang.co.kr 2019.12.19 06:01
스포츠일반

황인범 미사일슛 일본 격침, 동아시안컵 3연패

‘벤투 황태자’ 황인범(23·밴쿠버 화이트캡스)이 ‘미사일 슛’으로 일본을 격침시켰다. 동아시안컵 3연패에 앞장섰다. 한국남자축구대표팀은 18일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열린 2019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3차전 일본전에서 전반 27분 황인범의 결승골로 1-0으로 이겼다. 한국은 3승(승점9)를 기록, 일본(2승1패·승점6)를 따돌리고 역전 우승을 차지했다. 2015년과 17년에 이어 대회 3연패이자 통산 5번째 우승. 일본전 2연승과 함께 상대전적에서도 42승23무14패로 앞서갔다. 전반 27분 황인범이 아크 왼쪽에서 수비수를 따돌리고 벼락같은 왼발 중거리슛을 쐈다. 공은 미사일처럼 빠르게 날아가 골망 왼쪽 구석에 꽂혔다. 황인범은 오랜 마음 고생을 털어냈다. 지난 1월 기성용(뉴캐슬)이 대표팀에서 은퇴한 뒤 황인범은 ‘기성용 후계자’로 각광 받았다. 황인범은 1월 아시안컵이 끝난 뒤 미국프로축구 밴쿠버로 이적했다. 하지만 유럽무대가 아니라서 기량이 정체됐다는 혹평을 받았다. 황인범은 대표팀에서 기성용 만큼의 아우라를 보여주지 못했다. 중국과 2차전 후 벤투 감독은 ‘황인범을 왜 계속 쓰는가’는 질문도 받았다. 축구팬들 사이에서도 황인범은 ‘국민욕받이’ 신세였다. 하지만 파울루 벤투(포르투갈) 한국 감독은 ‘실속 없는 점유율 축구’ 논란에도 황인범을 계속 중용했다. 황인범이 믿음에 확실히 부응했다. 홍콩과 1차전에 이어 일본전에서 A매치 3호골을 터트리며 우승에 앞장섰다. 한국은 이번 대회에 손흥민(토트넘) 등 유럽파가 불참했다. 일본은 내년 도쿄올림픽을 준비하는 23세 이하 선수가 주축을 이뤘다. 중앙수비 김민재(23·베이징 궈안)가 공수에서 ‘괴물’ 같은 활약을 보여줬다. 전반 9분 헤딩슛은 크로스바를 때렸고, 철벽 수비도 펼쳤다. 이날 한국과 일본, 중국과 홍콩이 맞붙었다. 네티즌은 대회 참가국 사이의 반목과 대립이 치열한 시국에 펼쳐진 대결에 대해 ‘이 시국 매치’ 명칭을 붙였다. ‘96년생 콤비’가 ‘이 시국 매치’에서 승리를 합작했다. 쌀쌀한 날씨에도 한일전을 지켜보기 위해 2만9252명이 경기장을 찾았다. 일본 응원석에는 일본팬이 췌장암 투병 중인 유상철(48) 감독을 응원하기 위해 한글로 ‘할 수 있다. 유상철 형!’란 걸개가 걸렸다. 유상철은 선수 시절 일본 J리그 요코하마에서 뛰었다. 앞선 열린 홍콩-중국전 킥오프를 앞두고 중국 국가가 ‘의용군 행진곡’이 울려퍼졌다. 홍콩은 국제대회에서 별도의 국기를 걸지만, 국가는 중국 국가인 ‘의용군 행진곡’을 쓴다. 홍콩 팬 200여명은 일제히 그라운드를 등지고 돌아섰고, 두 손을 들어 손가락 욕설을 했다. 축구 경기라는 승부에 정치적인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홍콩에서는 6월부터 송환법을 반대하는 시위가 이어졌다. 이로 인해 홍콩과 중국 사이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야유하던 홍콩팬들은 영어로 “We are Hongkong(우리는 홍콩)”을 외쳤다. ‘Hongkong is not China(홍콩은 중국이 아니다)’, ‘광복홍콩, 시대혁명(光復香港, 時代革命)’이라고 적은 플래카드도 펼쳤다. 경기장 안팎에는 990명의 경호인력이 배치됐다. 경기에서는 중국이 홍콩을 2-0으로 꺾고 3위(1승2패)를 기록했다. 부산=박린 기자 rpark7@joongang.co.kr 2019.12.18 21:2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