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모더나 백신 본제품 생산 삼바, 국내공급과 기술이전은 '글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본제품을 생산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8월 시제품 생산을 마치고 3분기에 본격적인 생산에 나선다는 기존 일정에 맞춰 제품을 준비 중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5월 모더나의 mRNA(메신저 리보핵산) 기반 코로나19 백신의 바이알 충전 라벨링 등 완제 공정을 맡는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생산 물량은 미국 외 시장으로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국내 업계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 생산 제품의 국내 공급 여부와 기술 이전이 최대 관심사다. 아직 국내 공급 여부가 알려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모더나와 지속적인 협의를 이어나가고 있다. 정부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 하는 모더나 백신이 국내에 공급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모더나도 국내 공급에 열려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기술 이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이탈리아를 방문 중인 누바 아폐얀 모더나 회장은 12일 백신 공급 확대를 위한 제조법을 공유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AP통신과 인터뷰에서 "경영진이 글로벌 공급을 늘리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자체 생산을 늘리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기술 공유가 아니더라도 모더나는 내년에 30억 회분 생산을 자신하고 있다. 올해 현재까지 10억 회분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더나는 글로벌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해 아프리카에도 공장을 세운다는 계획도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대량 생산까지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인증도 남아있다. GMP 실태평가는 의약품 제조업체가 안전과 품질이 확보된 의약품을 기준에 적합하게 제조하고 품질관리를 하는지 식약처가 점검하는 절차다. 모더나 백신은 지난 5월 식약처로부터 수입품목 허가를 받았다. 하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생산하는 모더나 백신은 제조소가 다르므로 국내에서 사용되려면 식약처의 별도 GMP 인증과 품목허가가 필요하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10.14 15:12
경제

생산자물가 5년 10개월 만에 최저, 국제유가 하락이 불러온 나비효과

1월 생산자물가가 저유가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나타내며 약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16년 1월 생산자물가지수(2010년 100기준)'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98.52로 전월 대비 0.5% 내려갔다. 지난해 7월부터 7개월 연속 하락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3% 하락했다. 월별 기준으로 2010년 3월(98.25) 이후 5년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통계로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선행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소비자물가지수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지난달 생산자물가가 하락한 것은 국제유가 급락한 영향이 크다. 공산품에서 석탄 및 석유제품은 전월 대비 10.5% 떨어져 낙폭이 컸다. 제1차 금속제품(-1.6%)과 화학제품(-0.3%)도 하락세를 보였다.농림수산품의 경우 농산물(3.0%)과 수산물(3.3%)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2.4%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는 서비스는 도시가스 등이 내려 전월 대비 3.3% 하락했다.한편 국내에 공급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난달 국내공급물가지수는 93.84로 전월 대비 0.4% 하락했다.국내 출하량 외에 수출을 포함한 총산출 기준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총산출물가지수는 94.79로 전월보다 0.3% 떨어졌다.온라인 일간스포츠'생산자물가 5년 10개월 만에 최저' 2016.02.19 10:29
경제

생산자물가 5년 10개월 만에 최저, 작년 7월부터 연속 하락세 '불황의 늪'

1월 생산자물가가 저유가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나타내며 약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16년 1월 생산자물가지수(2010년 100기준)'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98.52로 전월 대비 0.5% 내려갔다. 지난해 7월부터 7개월 연속 하락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3% 하락했다. 월별 기준으로 2010년 3월(98.25) 이후 5년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통계로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선행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소비자물가지수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지난달 생산자물가가 하락한 것은 국제유가 급락한 영향이 크다. 공산품에서 석탄 및 석유제품은 전월 대비 10.5% 떨어져 낙폭이 컸다. 제1차 금속제품(-1.6%)과 화학제품(-0.3%)도 하락세를 보였다.농림수산품의 경우 농산물(3.0%)과 수산물(3.3%)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2.4%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는 서비스는 도시가스 등이 내려 전월 대비 3.3% 하락했다.한편 국내에 공급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난달 국내공급물가지수는 93.84로 전월 대비 0.4% 하락했다.국내 출하량 외에 수출을 포함한 총산출 기준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총산출물가지수는 94.79로 전월보다 0.3% 떨어졌다.온라인 일간스포츠'생산자물가 5년 10개월 만에 최저' 2016.02.19 09:1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