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경제

신라젠 심폐소생 노리는 엠투엔 서홍민 회장, 관건은 '펙사벡'

김승연 한화 회장의 처남인 서홍민 엠투엔 회장이 신라젠의 심폐소생을 시도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신라젠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엠투엔이 신라젠과 제3자 배정 유상증자 계약을 했다. 이달 15일까지 총 600억원을 납부하면 엠투엔의 신라젠 인수 절차가 마무리된다. 예정대로 라면 엠투엔은 20.75%로 신라젠의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여기에 신라젠은 8월 13일 주주총회 개최를 소집한 상황이다. 주주총회에서는 등기이사를 선임하는 등 경영 정상화를 위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신라젠은 문은상 전 대표가 배임·횡령 행위로 구속되면서 거래가 정지됐다.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회는 지난해 11월 30일 신라젠에 대해 개선기간 1년을 부여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엠투엔의 서홍민 회장이 구원투수로 등판하고 있다. 서홍민 회장은 서홍민 회장은 17.95%의 지분을 가진 엠투엔의 개인 최대주주이자 대부업체 리드코프 회장직도 맡고 있다. 또 27.30% 지분을 보유한 디케이마린의 100% 지분을 서 회장을 갖고 있다. 이를 포함해 서 회장의 실질적인 엠투엔 지분은 52.54%에 달한다. 서 회장은 신라젠의 정상화를 위해서 파이프라인 확대를 시도할 전망이다. 엠투엔은 펀드를 조성해 바이오 벤처에 적극적으로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해 인수한 미국의 신약 개발 업체 그린파이어바이오(GFB)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신라젠의 역량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엠투엔은 철강재 용기인 스틸드럼 제조 및 판매 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사업의 확장성을 위해 바이오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신라젠은 한때 코스닥에서 시가총액 10조원을 넘으며 톱2 대장주이자 ‘국민 바이오주’로 꼽혔다. 하지만 주력 파이프라인의 임상 실패로 주가가 15만원에서 1만2100원까지 곤두박질쳤다. 펙사벡은 유전자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이용한 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의 약자다. 펙사벡 간암 임상 3상은 미국 내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로부터 임상 중단을 권고받았다. 신라젠은 파이프라인 확대를 모색한다는 방침이지만 여전히 펙사벡의 임상 성공여부에 성패가 달려있다. 신라젠은 펙사벡으로 신장암 임상 2상 시험을 진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 벤처 펀드를 조성한다고 하지만 큰 규모는 아닌 것 같다. 또 바이오 특성상 단기간에 유망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는 게 쉽지 않다. 결국 펙사벡의 유효성 증명 여부가 재도약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7.05 15:48
경제

범한화가? 신라젠 '새주인 찾기' 적합성에 물음표

신라젠은 한때 코스닥에서 시가총액 10조원을 넘으며 톱2 대장주이자 ‘국민 바이오주’로 꼽혔다. 하지만 주력 파이프라인의 임상 실패로 주가가 15만원에서 1만2100원까지 곤두박질쳤다. 작년 5월에는 거래가 정지되며 상장폐지 위기에 몰렸다. 갑작스러운 날벼락에 17만명이 넘는 소액주주들은 고통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들은 절박한 심정으로 거래 재개를 기다리고 있는데, 그 첫 관문이 될 새 주인 찾기에 속도가 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엠투엔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신라젠은 거래 재개와 지배구조 개편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라젠은 지난 14일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위한 실사를 진행한 결과 엠투엔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다고 밝혔다. 엠투엔을 비롯해 비디아이, 휴벡셀이 신라젠 인수전에 참여해 경쟁 프레젠테이션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엠투엔이 ‘범한화가’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엠투엔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처남 서홍민 리드코프 회장이 최대주주로 있는 코스닥 상장 기업이다. 서홍민 회장은 17.86%의 지분을 가진 엠투엔의 개인 최대주주다. 또 27.31% 지분을 보유한 디케이마린의 100% 지분을 서 회장을 갖고 있다. 서 회장의 실질적인 엠투엔 지분은 45.17%에 달하는 셈이다. 신라젠 주주들은 엠투엔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크게 반기고 있다. 신라젠의 소액주주 연대는 14일 성명서를 내고 "범한화가인 엠투엔은 신라젠에서 진행 중인 다양한 임상과 파이프라인 확대를 위해 필수적인 풍부한 자금력을 갖추고 있다"며 "자회사 엠투엔바이오를 비롯해 미국의 신약 개발 전문업체 그린파이어바이오 지분을 확보하는 등 바이오 사업에서 큰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고 환영 의사를 나타냈다. 하지만 한화그룹은 이와 관련해 선 긋기에 나섰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한화는 2015년에 바이오 사업을 완전히 정리하고 태양광, 신재생, 우주산업에 집중한다고 발표했다. 바이오 사업 재진출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화는 2000년대 초반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손을 댔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고, 적자만 내다가 결국 접었다. 신라젠은 거래 재개가 최우선 과제인 만큼 새 주인의 역량과 도덕성에 관심이 쏠린다. 하지만 실질적 주인이 될 서홍민 회장의 이력 탓에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신라젠은 문은상 전 대표가 배임·횡령 행위로 구속되면서 거래 정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문 전 대표는 신라젠의 최대주주이기도 하다. 서 회장은 과거 배임수재죄로 실형을 받은 바 있다. 광고기획사에서 6년이 넘는 기간에 10억원대의 뒷돈을 받은 서 회장은 징역 2년과 추징금 13억9000여만원을 선고받았다. 지금도 그는 국내 빅3 대부업체인 리드코프를 이끌고 있다. 신라젠은 정지된 주식 재개를 위해 경영진의 도덕성이 중요한 입장이다. 과연 서 회장이 지배구조 개편과 주식 재개에 적합한 인물인지 여부에 물음표가 달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업 리드코프 자금을 받는 엠투엔이라 과연 신라젠의 적합한 새 주인인지 모르겠다. 어떤 목적으로 투자하는지 의심스러운 게 사실이다”고 말했다. 신라젠은 펙사벡이 주력 파이프라인이다. 펙사벡은 유전자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이용한 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의 약자다. 하지만 펙사벡 간암 임상 3상은 미국 내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로부터 임상 중단을 권고받았다. 이에 신라젠은 간암 환자의 생존 기간을 향상하지 못한 간암 임상 3상의 조기 종료를 발표했다. 핵심 파이프라인의 개발이 중단되자 신라젠의 주가는 급락했고, 거래 정지까지 되면서 휴짓조각에 될 위기에 처했다.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회는 지난해 11월 30일 신라젠에 대해 개선기간 1년을 부여한 상태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4.20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