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2건
금융·보험·재테크

4대 금융지주 이자이익 사상 첫 40조 돌파

4대 금융지주의 연간 이자이익이 사상 처음 40조원을 돌파했다. 수수료 등을 포함하는 비이자이익도 처음으로 10조원대를 기록했다.10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연간 연결 당기순이익은 총 14조9682억원으로 전년 대비 4.5% 감소했다.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이라는 애초 전망과 달리 은행권 민생금융지원 방안 동참, 대손충당금 전입액 확대 등으로 순이익이 다소 후퇴했다.다만 금융지주들의 내실은 개선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모두 증가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4대 금융지주의 총 이자이익은 40조6553억원으로 전년보다 1.9% 늘었다. 이들의 이자이익이 4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고금리 장기화의 직접적인 수혜가 나타난 셈이다. 비이자이익도 총 10조5187억원으로 전년보다 무려 48.0% 급증했다. 수수료 구조를 변경하고 주식 투자 등에서 과거 손실을 만회한 덕분에 대출 이자 말고도 높은 수익을 낸 것으로 보인다.지난해 4분기에 일부 반영된 민생금융지원이 비이자이익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는데도 총액이 50%가량 증가한 점이 눈에 띄었다.금융지주 간에는 희비가 엇갈렸다. KB금융은 순이익이 10% 넘게 증가한 반면 우리금융은 20% 가까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KB금융은 4조원 후반대 순익을 목전에 뒀고, 우리금융은 3조원 아래로 미끄러졌다.비이자이익도 KB금융은 80.4% 늘었으나 우리금융은 4.7% 줄었다.금융지주들이 막대한 실적을 거두는 동안 은행권에서 돈을 빌린 이들의 사정은 더 나빠졌다.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2년 말 평균 0.20%에서 지난해 말 평균 0.25%로 0.05%포인트(p) 상승했다.국민은행은 0.16%에서 0.22%로, 신한은행은 0.21%에서 0.26%로, 하나은행은 0.20%에서 0.26%로, 우리은행은 0.22%에서 0.26%로 일제히 연체율이 올랐다. 같은 기간 4대 은행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평균 0.24%에서 0.29%로 올랐다. 전체 평균보다 0.04%p 높은 수준이 유지된 것이다.대부분 은행에서 건설업은 가장 연체율이 높은 업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년 동안 신한은행은 0.34%에서 0.79%로, 하나은행은 0.17%에서 0.33%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0.39%로 건설업 연체율이 각각 상승했다. 국민은행만 0.28%에서 0.27%로 소폭 하락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2.10 13:26
경제

'사모펀드' 사태에 KB금융, 신한 꺾고 1위 탈환…금융권 지각변동

올해 내내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코로나19 피해기업 금융 지원 탓에 국내 5대 금융그룹들의 순위가 요동쳤다. 사모펀드 충당금 등 부담으로 신한금융·우리금융이 각각 KB금융·농협금융에 역전당했다. 28일 농협금융은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은 5716억원으로 금융시장 안정화에 따른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손익 회복 등으로 1분기(3387억원) 대비 68.8% 증가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이자이익은 3조9201억원, 수수료 이익은 7658억원을 기록했다. 지금까지 발표된 4개 금융그룹의 올해 2분기 순이익은 KB금융 9818억원, 신한금융 8732억원, 하나금융 6876억원, 우리금융 1423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연간 기준 순이익이 신한(3조4035억원), KB(3조3118억원), 하나(2조4084억원), 우리(1조9041억원), 농협(1조7796억원) 순서였던 것과 비교하면, 신한은 KB에 순위를 뺏겼고, 우리 자리를 농협이 차지하게 됐다. 금융지주 간 실적 희비를 가른 것은 부실 사모펀드 환매중단 사태였다. KB와 농협은 DLS(독일 헤리티지 파생결합증권)·라임 사태와 무관해 2분기 펀드 관련 충당금 적립에 따른 이익 감소 폭이 크지 않았던 탓이라는 분석이다. 신한금융의 경우 신한금융투자(신한금투)가 판매한 DLS 펀드와 라임 펀드 관련한 충당금으로 순이익이 줄었다. DLS 펀드를 3800억원어치 판매한 충당금으로 2분기 1248억원을 쌓았고, 라임 펀드 판매액의 3분의 1 수준인 769억원도 영업외비용에 반영됐다. 여기에 신한금융은 코로나19 금융지원 성격의 대출 관련 미래 부실 위험과 관련한 충당금도 1850억원 적립했다. 펀드 관련 2017억원에 코로나19 금융지원 충당금까지 총 3867억원의 순이익이 줄어들며 KB금융에 1위 자리를 빼앗겼다. KB금융은 향후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건전성이 나빠질 경우를 대비한 충당금 2060억원만 쌓아뒀다. 우리금융도 신한과 마찬가지로 2분기에 DLS·라임 등 사모펀드 관련 비용 충당금 1600억원과 코로나19 대출 등과 관련된 충당금 2375억원 등 모두 3356억원의 충당금을 쌓으며 농협과 순위가 뒤바뀌었다. 순위를 지킨 하나금융은 사모펀드 관련 준비금 1185억원을 비롯해 2분기 총 4322억원에 이르는 충당금을 적립했지만, 상반기 순이익이 1조3446억을 기록하며 2012년 이후 최대 실적을 세웠다. 여기에는 하나금융투자가 상반기 작년 동기보다 12.9% 많은 1725억원의 순이익을 거둬 역대 최대 실적을 올린 영향이 컸다. 올해 2분기 ‘동학 개미 운동’ 등으로 계열 증권사의 이익이 많이 늘어난 탓이다. 이에 하나금융투자는 올 상반기에 작년 동기보다 12.9% 많은 1725억원의 순이익을 거둬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0.07.29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