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남아(男兒) 성비 사상 최저…사라지는 '남아선호'
출생아 중 남자아이 비중이 지난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과거부터 뿌리 깊이 박혀있던 남아선호 사상은 옛말이 되는 분위기다. 통계청의 2020년 인구동향 조사 출생ㆍ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지난해 출생성비는 104.9명을 기록했다. 출생성비는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지난해 태어난 여자아이 100명당 남자아이가 104.9명이라는 의미다. 이는 통계청이 관련 데이터를 보유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출생성비는 1990년 116.5명을 기록한 후 1995년 113.2명, 2000년 110.1명, 2005년 107.8명, 2010년 106.9명, 2015년 105.3명, 2020년 104.9명으로 꾸준히 내려가고 있다. 지난해 출생성비는 통계청이 판단하는 출생성비 정상범위(103~107명)의 거의 한 가운데다. 성비에 대한 선호 없이 수정된 아이를 그대로 자연스럽게 낳았을 때 나타나는 성비에 도달했다는 의미다. 출생성비는 2007년에 106.2로 처음으로 정상범위로 들어왔고 이후 점차 정상범위의 한가운데로 수렴해왔다. 셋째 아이의 성비 변화는 더 극적이다. 2019년의 경우 셋째 아이 이상의 성비가 103.2명으로 전체 출생성비 105.5명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처음 발생했다. 보통 셋째 아이는 이른바 ‘대를 잇기 위해’ 남자 아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예컨대 1993년의 셋째 아이 이상 출생성비는 209.7명을 기록했다. 여아 100명당 남아가 200명을 넘어설 만큼 성비 불균형이 심각했지만 이제 반대의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통계청은 2018년에 내놓은 2017∼2047년 장래인구특별추계에서 2029년에 여초(女超) 사회가 시작된다고 예측했다. 남아선호 분위기가 사라지고, 평균 수명에서 남성이 6년 안팎 더 짧아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2021.03.01 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