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IT

'먹통 방치책 미흡' 구글, 과기정통부서 첫 시정 권고

구글이 이른바 '먹통' 방지 대책 미흡으로 정부로부터 첫 시정 조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장겸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지난 6월 17일 구글의 통신재난관리 계획 이행 현황을 점검한 뒤 8월 중순 미흡 사항에 대한 시정 권고를 통지했다.구글이 서비스 안정성 확보 지침을 최신화하고 통신재난 관리 담당자 교육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시정을 완료할 경우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구글의 서비스 안정성 확보 지침은 2년 전 버전으로 개정법률을 반영하지 않고 있었으며, 통신재난 관리 담당자 교육을 실시하기는 했지만 이력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과기정통부가 구글의 통신재난관리계획 이행을 점검하거나 시정 조치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지난해 7월 이른바 '카카오톡 먹통 재발 방지법'으로 불리는 개정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이 시행되면서 기간통신사업자에 한정됐던 정부의 디지털 재난 관리 대상이 일정 규모 이상의 부가통신사업자와 데이터센터사업자로 확대된 데 따른 것이다.앞서 과기정통부는 국내 빅테크인 카카오(5월 21일, 5월 23일)와 네이버(6월 11일)에 대해서는 점검을 실시하고 시정 명령과 권고 등 시정조치를 요구한 바 있다.과기정통부는 7월 이후 점검이 완료된 4개 부가통신사업자(삼성전자, 아마존웹서비스, 넷플릭스, 메타)와 8개 데이터센터사업자(삼성SDS와 LG CNS, SK C&C, MS코리아, KT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LG 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에 대한 시정요구는 향후 통신재난관리심의위원회 심의·의결을 통해 조치할 예정이다.김 의원은 "올해 법 개정 이후 과기정통부가 처음으로 7개의 부가통신사업자를 점검했으나 시정조치 요구를 받은 것은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 국민들이 자주 사용하는 플랫폼들이었다"며, "통신 재난으로 인한 국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의 시정 권고 사항들을 제대로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4.10.08 08:36
IT

사우디 장관, 네이버 신사옥 전격 방문…로봇·AI 신기술 소개

네이버가 사우디아라비아 대규모 미래 도시 프로젝트의 기술 수출에 한발짝 다가갔다. 네이버는 29일 마제드 알 호가일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 장관 일행이 로봇 친화형 신사옥 '네이버 1784'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에는 마제드 알 호가일 장관을 비롯해 알리 라지히 차관 등 23명이 참여했다. 지난 11월 초 네이버가 국토교통부 등과 함께 '원팀코리아'로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한 것이 계기가 돼 성사됐다. 네이버에서는 채선주 네이버 ESG·대외 정책 대표와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이 참석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장관 일행에게 제2사옥 1784에 적용한 디지털 트윈·로봇·인공지능(AI)·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관련 기술을 시연했다.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 기획·개발 역량도 소개했다. 또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가 고민하는 교통·치안·위생 관리 등 도시 문제 및 주택·건물 관리 등을 디지털 기술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이어갔다. 앞서 지난 23일에는 볼프강 소보트카 오스트리아 하원의장이, 올해 7월에는 빅토리아 눌란드 미국 국무부 차관이 방한 중 네이버 1784를 찾은 바 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11.29 17:25
경제

KB국민카드, 애플 리스 기업에 디지털 업무 지원

KB국민카드는 ‘애플 리스’ 이용 기업들에게 디지털 업무환경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3일 밝혔다. KB국민카드는 네이버클라우드, 애플코리아, 맥플러스와 별도 서버 구축 없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기업들이 최적의 디지털 기기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형 디바이스(DaaS)’ 솔루션 제공을 골자로 한 다자간 업무 제휴를 맺었다. 이번 협약은 KB국민카드의 애플 제품 리스 금융, 네이버클라우드의 스마트워크 솔루션 ‘네이버웍스’, 애플코리아와 맥플러스가 보유한 디바이스 관련 기술 지원과 사후 관리 서비스를 상호 결합해 애플 제품 리스 이용 기업들에게 디지털 업무 환경 구축과 전환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다양한 공동 마케팅 활동도 펼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아이맥, 맥북 등 애플 제품을 KB국민카드 리스 금융을 이용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제공된다. 애플 리스 이용 기업에게는 화상회의 지원 메신저, 메일과 캘린더 등 네이버클라우드의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워크 솔루션인 ‘네이버웍스’ 베이직 상품이 24개월간 무료 제공된다. 또 애플코리아의 공식 리셀러인 ‘맥플러스’를 통해 기업별로 애플 리스 제품에 대한 디바이스 기술 지원과 사후 관리 서비스도 제공 받을 수 있다. 낮은 초기 비용으로 기업에 최적화된 디지털 업무 환경을 지원하는 KB국민카드 애플 리스 금융은 스타트업을 포함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신용등급을 보유한 중·소규모 개인 사업자와 법인 사업자를 대상으로 판매된다. 리스 한도는 업체별 상환 능력에 따라 최대 5억원까지 차등 제공된다. 기업 신용평가 등급이 일정 등급 이상인 우량 법인에 대해서는 별도 심사를 통해 5억원 초과 한도가 부여된다. 금리는 신청 업체의 신용도와 리스 기간에 따라 최저 연 2.61%부터 차등 적용되며 업체별로 부여된 리스 한도 범위 내에서 필요할 때 마다 희망하는 애플 제품을 횟수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01.13 09:0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