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건
경제

미국, 코로나 치료제 이어 백신도 싹쓸이 '1억회분' 우선 계약

미국 정부가 코로나19 치료제에 이어 백신까지 싹쓸이하고 있다.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22일(현지시간) 미 보건복지부, 국방부와 19억5000만달러(약 2조3000억원)에 코로나19 백신 인도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미 정부는 양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BNT162의 효험과 안전성이 입증되면 1억회 투여분을 우선 넘겨받게 된다. 로이터통신은 이 백신을 1인당 2회 투여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5000만명 접종분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이 경우 1인당 접종 비용은 39달러(약 4만7000원)다.또 미 정부는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백신 5억회분을 추가로 조달할 수 있는 옵션을 이번 계약을 통해 확보했다. 추가 매입 가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 백신이 대규모 3상 임상시험에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 받을 경우 곧바로 미 전역으로 백신이 배달된다. 미국인들은 무료로 접종받을 수 있다고 보건복지부가 설명했다. 바이오엔테크의 '메신저 리보핵산'(mRNA·전령RNA) 기술과 화이자의 글로벌 개발·제조 역량을 결합해 만든 BNT162 백신은 기존의 다른 백신에 비해 저렴하고 대량 생산이 쉬울 것으로 기대된다. 이 실험용 백신은 1·2상 임상시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무력화할 수 있는 중화항체를 생성하는 효과를 보였다. 당국의 승인을 얻는대로 이르면 다음주부터 3만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3상 임상시험에 돌입할 예정이다. 전세계에서 코로나19를 잡기 위한 150종의 백신 개발이 진행 중인 가운데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의 백신은 가장 진도가 빠른 선두권에 속한 것으로 평가된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최소 4종류의 실험용 백신을 시험 중이며, 3상 시험도 성공할 경우 이르면 오는 10월 규제 당국에 비상사용 승인을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미 행정부는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가 공동 개발하는 백신 3억회분을 12억 달러에 미리 확보했다. 미 제약사 노바백스의 백신 개발에는 16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바이오기업 모더나와 존슨앤드존슨에도 4억8600만 달러, 4억5600만 달러를 각각 지원했다. 미국은 코로나 치료제 렘데시비르 7~9월 생산 분도 90% 이상 싹쓸이하기도 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ongang.co.kr 2020.07.23 13:4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