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2건
무비위크

"'뮬란' 문제의 中촬영 해명하라" 美의회, 선 넘은 디즈니에 공개 서한

얌전히 창고에 두는 것이 나을 뻔했다. 공개 전에도, 후에도 논란만 이끄는 '뮬란'이다. 디즈니 실사화 영화 '뮬란'의 중국 신장 위구루자치구 촬영 및 중국 정부의 신장 위구르족 탄압 의혹을 정당화했다는 의혹에 휩싸인 가운데, 미국 의회는 디즈니 측에 공개 서한을 보내 직접적인 해명을 요구했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상·하원 의원들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밥 샤펙 디즈니 CEO에게 "뮬란 제작과정에서 중국 신장 지역의 안보 및 선전 당국과의 연관성이 있었는지 설명하라"는 내용의 서한을 발송했다. 서한은 미 의회 산하 의회·행정부 중국위원회(CECC) 주도로 작성됐다. 위원회는 중국의 인권과 법치를 감시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 의회에 연례 보고서를 제출하는 의회 내 초당파 모임이다. 서한에는 ''뮬란' 촬영과 관련해 중국과 협력한 내용을 비롯해 엔딩크레딧에 언급된 '투루판시공안국' '신장위구르자치구위원회선전부' 및 다른 모든 중국과 중국공산당 단체의 명칭과 관련된 월트 디즈니사의 계약상 요구 사항이나 요청 사항을 밝히라'고 적시돼 있다. 이어 '디즈니사의 임원들과 고위 간부들은 중국의 위구르인 및 소수민족 탄압 관련 보도를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는지, 신뢰할 수 있는 끔찍한 인권유린 의혹에도 해당 지역에서 촬영을 추진한 까닭이 무엇인지 해명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촬영 기간동안 강제 노동력이 사용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디즈니가 수행한 실제 조사 과정과 그러한 조사를 수행하기로 계약한 모든 회사를 밝히고, 중국 디즈니 임원 및 경영진 역할에 대해 설명하라'고 꼬집었다. 이와 함께 ''뮬란' 외 현재 디즈니가 중국에서 예정하고 있는 모든 영화 제작 계획도 공개하라'고 요청했다. 위원회는 "사전 정보가 많았음에도 중국 당국과 협력해 촬영을 진행한건 암묵적으로 대량 학살 가해자들에게 정당성을 준 것과 마찬가지다"고 지적했다. 이번 논란은 디즈니가 자초한 일. 4일 OTT 디즈니 플러스를 통해 공개된 후 다양한 혹평에 휩싸인 '뮬란'은 특히 엔딩크레딧을 통해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의 투루판 공안국에게 감사를 표한다'는 스페셜 땡스를 적시해 의구심을 키웠다. 중국 북서부 신장위구르자치구는 위구르인 탄압 중심지로 강제 수용소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지역이다. 최소 100만 명이 국영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지지만, 중국 정부는 전면 부인한 바 있다. 투루판시 공안당국은 중국 공산당이 위구르족 이슬람 교도들을 강제 수용소에 수감하는 것을 도왔다는 후문. 하지만 디즈니는 '뮬란' 촬영을 위해 신장위구르자치구와 협력했고, 이들은 물론 수용소와 연관된 4개의 선전 부서에도 고마움을 표했다. 이후 디즈니는 엔딩크레딧 인사에 대해 "영화 제작을 허락한 국가 또는 지방정부에 사의를 밝히는 것은 전 세계적인 관행이다"고 해명했지만, 촬영과 협력 과정 자체에 문제의 소지가 있는 만큼 전 세계의 비난을 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논란이 커지가 대대적 홍보를 해도 모자랄 중국 정부는 자국 내 '뮬랸' 관련 보도를 금지시켰다. 눈 가리고 아웅 식의 흥행도 실패할 전망. 11일 중국에서 공식 개봉한 '뮬란'은 첫 주 주말 2320만 달러(한화 274억 6184만원)를 벌어 들였다. 이는 최근 ‘테넷’ 첫 주 주말 기록 2980만 달러(352억 8022만원)에 못 미치는데다가, 역대 중국 개봉작 중 크게 흥행하지 못했던 ‘신데렐라’, ‘말레피센트2’ 등과 비슷한 수준이다. 주인공 유역비의 홍콩 탄압 중국 지지부터 시작된 악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20.09.14 14:07
연예

JTBC, 창사기획다큐 'DMZ' 베일 가려진 'DMZ 전쟁' 기록 첫 공개

다큐멘터리 'DMZ'에서 지금까지 국내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DMZ의 새로운 역사가 공개된다.JTBC는 창사기획 UHD 특집 다큐멘터리 'DMZ' 2부작 방영에 앞서 15일 오후 9시 30분에 'DMZ 프롤로그'를 방송한다. 'DMZ' 제작진은 1년 여 동안 DMZ와 관련해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사료와 영상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지금까지 국내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DMZ의 새로운 역사와 마주했다. 그것은 바로 'DMZ WAR'(이하 DMZ 전쟁). DMZ에서 사실상 전쟁이 일어났었음을 보여주는 사료는 제작진의 미국 촬영 도중 미의회도서관에서 발견됐다. 미 합동참모장이 UN사에 보고했던 자료에 의하면 1966년부터 1969년 동안 DMZ 내에서 총1111건의 도발사건이 일어나 유엔군 343명, 북한군 647명이 전사했고, 우리 쪽 경찰과 민간인도 80명 희생됐다. 양측의 교전이 극에 달했던 1968년의 경우 542건의 도발사건이 일어났고, 총격전 또한 238건이나 벌어졌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정전협정에서는 DMZ 내에서 교전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DMZ에서 실질적인 전쟁이 벌어진 것.1966년부터 1969년까지를 '알려지지 않은 전쟁(Unknown war)'이라 규정하고, 이를 'DMZ 전쟁(DMZ WAR)'이라고 공식 명명했다. 미 의회에서는 이 기간에 참가한 미군들에게 참전군인의 지위를 부여할 것을 촉구하는 법안이 실제 상정되기도 했다.교전과 전사자가 있었던 'DMZ 전쟁'이 한국에선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DMZ' 제작진은 'DMZ WAR'의 실체를 파헤치기 위해 미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를 비롯해 미의회도서관, 유엔 아카이브, 윌슨센터 등을 찾아 수백 시간 분량의 관련 영상과 수천 건의 문서를 입수해 분석했다.한때 DMZ에 묻혀있는 수백만발의 지뢰도 이 시기에 북한군의 침투방지용으로 집중적으로 매설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베트남전에 사용돼 많은 피해자들을 낳았던 고엽제(agent orange)도 'DMZ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이 기간 중 DMZ에 대량 살포됐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작진은 이번 방송을 통해 DMZ 전쟁 기간인 1968년과 1969년 2년 동안 약 8만 리터나 되는 다량의 고엽제가 뿌려진 기록도 공개한다. 놀라운 것은 당시 고엽제를 살포한 한국인들이 별다른 보호 장비없이 맨손으로 이 독성이 강한 고엽제를 뿌렸다는 것. 'DMZ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서였지만, 고엽제를 통해 DMZ의 생태는 황폐해졌고 많은 피해자가 발생했다. 이와 함께 DMZ 내부를 헬기로 촬영한 희귀한 영상과 GP(감시초소) 건설 현장 모습도 처음으로 공개한다. 황소영 기자 hwang.soyoung@jtbc.co.kr 2019.08.02 17:0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