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10건
IT

HBM 맞수 없는 SK하이닉스, 터널 지나 연간 최대 실적 정조준

글로벌 AI(인공지능) 메모리 시장을 선점한 SK하이닉스가 지난해 기나긴 적자 터널을 지나 올 상반기에 활짝 웃었다. 이제는 효자 HBM(고대역폭 메모리)을 앞세워 연간 최대 실적 금자탑을 겨냥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5조4685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8821억원 적자)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25일 밝혔다.반도체 슈퍼사이클(호황기)이었던 지난 2018년 2분기(5조5739억원)와 3분기(6조4724억원) 이후 6년 만에 5조원대 영업이익을 찍었다. 매출도 16조4233억원으로 분기 기준 최대 기록을 썼다.이번 호실적의 주연은 단연 HBM이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것이 특징으로, 생성형 AI의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했다.SK하이닉스 D램은 최신 HBM3E(5세대)와 일반 서버 제품의 판매가 크게 늘어 전분기 대비 출하량이 예상치인 10% 중반을 넘어 20% 초반까지 성장했다. 특히 HBM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0% 증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글로벌 AI 리더이자 최대 고객인 엔비디아에 HBM3(4세대) 등 관련 제품을 사실상 독점 공급한 효과다.지난 3월에는 업계에서 처음으로 HBM3E 8단 제품을 엔비디아에 납품하기 시작했다.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메모리 제조 업체의 눈에 띄는 수익 성장은 HBM 제품과 AI 칩의 견고한 수요가 지속될 것임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대다수 IT 기업들이 생성형 AI를 속속 도입하는 상황에서 SK하이닉스는 HBM 왕좌를 굳게 다질 전망이다.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의 조사에서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전 세계 HBM 시장에서 점유율 53%로 라이벌 삼성전자(38%)를 누르고 1위에 올랐다.글로벌 신용평가사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SK하이닉스는 HBM3E 수율이 80%에 근접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경쟁 업체 대비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SK하이닉스가 향후 1~2년 동안 매출 선두 자리를 내줄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이런 성과는 SK하이닉스가 '메모리 만년 2위'를 벗어나기 위해 10년 가까이 선행 기술에 투자한 덕이다.차세대 D램 라인업으로 반전을 꾀했던 SK하이닉스는 2013년 업계 최초로 HBM(1세대)을 내놓은 데 이어 2019년 8월 업계 최고 속도의 HBM2E(3세대)를 선보였다.2022년 챗GPT의 등장으로 생성형 AI가 IT 생태계를 뒤흔들기 훨씬 전에 이미 특화 솔루션을 확보한 것이다.SK하이닉스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고객사 니즈에 맞춘 신제품을 발 빠르게 공급할 방침이다. HBM3E 12단 제품은 올 3분기 양산을 시작해 4분기에는 고객에게 납품하는 것이 목표다.AI 메모리 훈풍에 증권가는 SK하이닉스의 올해 연간 영업이익을 20조원 중반대로 상향 조정했다. 2018년의 영업이익(20조8440억원)을 넘어선 규모다.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는 HBM으로 인해 기존과 다르게 업황을 선도하고 있는 업체"라며 "하반기에도 타이트한 수급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HBM3E 8단 공급 본격화 및 12단 출하로 SK하이닉스의 D램 가격은 상향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말했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4.07.26 07:00
산업

[재계 IS리포트] HD한국조선해양, '슈퍼사이클' 맞춰 대해양 친환경 전환 속도

폭우나 폭염 등 극단적인 이상 기온 현상으로 지구가 몸살을 앓고 있다. 인도와 파키스탄 등 아시아의 5월 온도가 이미 50도가 넘었고, 유럽과 북미 지역에도 ‘열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런 기후위기로 탄소중립에 대한 요구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특히 지구촌 면적의 70%를 차지하는 해양에서 친환경 전환을 주도하고 있는 HD한국조선해양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요람에서 무덤까지’ 대해양 친환경 전환 HD한국조선해양은 HD현대그룹의 주력 분야인 조선업의 중간지주사다. 세계 조선 1위인 HD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의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조선 업황이 살아나면서 '슈퍼사이클' 진입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조선해양은 ‘친환경 전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 7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조선해양박람회 ‘노르시핑 2023’에서 대해양 친환경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가삼현 HD한국조선해양 부회장과 정기선 HD현대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LNG(액화천연가스)운반선의 전 생애주기 탄소배출량 산출과 관련된 협약을 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HD현대중공업, 영국 로이드선급(LR), 크누센(노르웨이)과 함께 17만4000㎥급 LNG운반선에 대한 원재료 조달부터 건조, 운항, 폐선까지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측정할 계획이다. 대해양 친환경 전환을 위해 세계 최초로 선박의 ‘요람부터 무덤까지’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측정해 보고서를 낸다는 것이다. 측정에 참여하는 선박은 크누센 소유의 17만4000㎥급 LNG운반선으로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해 이달 인도 예정이다. HD한국조선해양과 HD현대중공업은 선박 1척 건조를 위한 공정 프로세스를 분석, 공정별 원재료, 에너지 사용량 등 데이터를 제공한다. 로이드선급은 탄소 배출량 산출 모델링 개발을 담당하고, 크누센은 선박 운영, 유지보수, 폐기 단계에서 배출량 산출을 위한 실증 데이터를 제공한다.HD한국조선해양은 이번 협약에 따라 선박 전 생애주기에 걸친 환경적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산출할 수 있게 되면 글로벌 조선업계의 탄소감축 전략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지구촌의 이상 기온 현상으로 기후위기를 체감하며 친환경 전환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며 “LNG운반선의 수명이 운항 약 25년 정도 되는데 제조부터 폐선까지 30년 생애주기 동안의 탄소배출 총량을 분석하는 것이기에 유의미하다”고 설명했다. 또 HD한국조선해양은 친환경 선박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6일 LR과 라이베리아기국으로부터 액화이산화탄소(LCO2)·암모니아·LPG 등을 함께 운반할 수 있는 2만2000㎥급 다목적 가스운반선에 대한 기본설계 인증(AIP)을 획득했다. 이 선박은 세계적인 탄소중립 흐름에 발맞춰 중요한 핵심 화물이 될 액화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를 함께 운송할 수 있어 향후 기후변화 대응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탄소 포집과 저장에 활용되는 LCO2운반선과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는 수소를 추출할 수 있는 암모니아 운반선의 수요는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여기에 HD한국조선해양은 미국선급협회(ABS)로부터 3세대 메탄올 저인화점 연료공급 시스템(LFSS)에 대한 AIP도 획득했다. 메탄올 LFSS는 메탄올 추진선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시스템으로 메탄올 연료공급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준다. 메탄올은 기존 벙커C유와 비교해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온실가스 등 오염물질 배출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완전 탈탄소 선박’인 수소 선박의 상용화 이전에 중간다리 역할을 할 친환경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정기선 HD현대 사장은 “HD현대가 만드는 선박과 HD현대의 기술이 대양의 친환경 대전환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업계 최초 탄소중립으로 ‘오션 트랜스포메이션’ HD한국조선해양은 세계 조선업계에서 최초의 도전들로 친환경 전환에 앞장서고 있다. LNG는 기존 선박 연료인 벙커C유와 비교해 황산화물 배출이 거의 없고, 질소산화물 배출을 85%, 온실가스 배출을 25% 이상 절감할 수 있다. 이에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LNG는 정기선 사장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내세우고 있는 친환경 선박의 핵심이기도 하다. HD현대중공업은 2018년 7월 세계 최초로 LNG 추진 대형 유조선을 인도했고, 2020년 9월 LNG 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인도하는 등 LNG 관련 ‘세계 최초’ 타이틀을 잇달아 따내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2021년 9월에는 업계 최초로 한국선급(KR)으로부터 암모니아 연료 공급 시스템 개발에 대한 개념설계 기본인증을 획득했다. 암모니아의 경우 연소 시 이산화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아 향후 LNG를 대체할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배출량 공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스코프3’에 대한 배출량을 산정한 후 공개했다. 스코프3는 스코프1(직접배출), 스코프2(간접배출)와는 달리 측정 자체가 쉽지 않다. 현재 정부에서도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할 때 스코프1과 스코프2만 합산하고 있다. 스코프3는 HD한국조선해양이 ‘선박 전 생애주기 탄소배출 총량’ 산출처럼 기업 활동과 연관된 가치사슬 전체에서 발생하는 모든 탄소배출을 의미한다. 2021년 기준으로 HD한국조선해양의 스코프3는 9998만1685(tCO2eq)에 해당한다. 이는 스코프1과 스코프2를 합산한 95만5342t에 비해 100배나 큰 규모다. 스코프3 배출량은 데이터 수집과 통제 자체가 어렵지만 탄소중립 흐름에 따라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한 수치의 공시 요구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글로벌 흐름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 5월 국내 조선업계 최초로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조선 부문에서 발생하는 연간 탄소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해(2018년 대비 2030년 28%, 2040년 60%),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2018년에 비해 2022년 탄소 배출량이 증가했지만 올해부터 감축량을 늘리면서 탄소중립을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2018년은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 정점으로 꼽혀 감축목표 수립을 위한 기준연도로 활용되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탄소중립 이행 로드맵에 에너지 효율화, 친환경 연료 전환, 재생에너지 도입,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등의 세부계획을 담았다. 가삼현 부회장은 “탄소중립은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의 책임이자 의무”라며 “조선·해양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해 바다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6.23 07:00
산업

슈퍼사이클 진입? 패션 대기업들, 1분기 최고 성적 찍고 함박웃음

올해 1분기 패션 기업들이 실적에 날개를 달았다. 코오롱인더스트리FnC(코오롱FnC)와 삼성물산 패션 부문,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K패션 간판 기업들이 전년보다 큰 폭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글로벌 의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기업 한세실업과 영원무역도 호실적을 자랑했다. IB 업계에서는 패션 업계가 '슈퍼사이클(초호황)'에 진입했다며 2분기에는 더 나은 실적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슈퍼사이클 진입한 패션가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패션 대기업인 코오롱FnC와 삼성물산, 신세계인터내셔날, LF, 한섬 등 5개 업체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1975억 원이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분기 5개사 영업이익 1040억 원보다 2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사실상 팬데믹 이전으로 완전히 복귀했다. 세부 내용이 나쁘지 않다. 코오롱FnC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600% 늘어난 154억 원을 달성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2.2% 상승한 2663억 원이었다. 삼성물산은 이른바 '신명품' 선전 덕에 매출 4740억 원으로 12.6%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4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0% 급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영업이익은 331억 원으로 전년 대비 55.6% 늘었고, 매출도 3522억 원으로 3% 오르면서 사상 최대 성적을 냈다. 현대백화점그룹의 한섬은 여성복이 고른 성적을 내면서 매출이 전년 대비 17.4% 증가한 3915억 원, 영업이익은 30.7.% 늘어난 591억 원을 벌었다. LF그룹 역시 매출 4508억 원으로 전년보다 13.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74.3% 늘어난 479억 원을 달성했다. 대기업만의 일은 아니다. 해외 업체로부터 수주를 받아 의류 만들어 수출하는 OEM 기업도 분위기가 좋다. 영원무역은 올 1분기 영업이익 1458억7138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2%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663억7061만 원으로 34.9% 늘었다. 한세실업은 1분기 매출 5812억 원으로 전년 동기 3756억원 대비 5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66% 증가한 490억 원, 영업이익률은 8.4%였다. 앞서 메리츠증권은 올해 국내 의류 OEM 업체가 슈퍼사이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서구권의 패션 부분 성장세가 가파르고, 특히 최대 소비국인 미국은 소매 의류 재고율은 최저치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IB 업계는 영원무역과 한세실업이 올해 최대 실적을 작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리오프닝에 소비 확대 업계는 호실적의 비결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소비 회복을 꼽는다. 그동안 집에서 머무느라 옷 구매를 하지 않았던 소비자들이 비대면이 종료되자 모임이나 출근 등 외출할 때 입고 나갈 옷부터 사고 있다는 것이다. 패션 기업의 한발 빠른 움직임도 도움이 됐다. 코오롱FnC와 신세계인터내셔날 등은 최근 골프와 테니스 등 스포츠에 입문하는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가 늘자 관련 브랜드 론칭에 집중했다. 덕분에 코오롱FnC의 골프웨어 브랜드 '왁'은 올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77% 신장했다. 삼성물산 패션 부문은 빈폴 골프와 구호, 토리 스포츠 등을 앞세워 스포츠웨어 사업을 전개 중이다. 구호는 지난해 하반기 처음으로 가을·겨울 시즌 골프웨어를 출시했는데, 반응이 나쁘지 않았다. 구호는 올해도 구호 골프 캡슐 콜렉션 신제품을 내놨다. 코로나19 속에 단행한 자사몰 비중 확대도 빛을 봤다. K패션 대기업들은 수수료가 발생하는 플랫폼 입점 외에도 자사몰로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안간힘을 썼는데, 성과가 나오면서 영업이익도 늘었다. 1분기보다 2분기 실적이 더 나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서정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거리두기 정책 해제로 의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중장년층 및 유아·아동층의 패션 소비가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연중 성수기 중 하나인 5월 가정의 달이 있기 때문에 2분기에도 관련 업체들의 실적이 눈에 띄게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요즘 현장 분위기가 아주 좋다. 1분기보다 2분기를 더 기대하는 눈치다"며 "리오프닝 특수가 겹치면서 올해가 매출과 영업이익 부분에서 패션가는 너나 할 것 없이 크게 점프하는 원년이 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2.05.24 07:00
경제

SK하이닉스 43조원 사상 최대 매출...미국 아닌 중국에 2.4조 투자

SK하이닉스가 지난해 매출 40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28일 2021년 매출이 42조9978억원으로 전년 대비 34.8% 늘어났다고 공시했다. 이는 반도체 슈퍼사이클(초호황기) 때인 2018년(40조4450억원)의 실적을 3년 만에 뛰어넘은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12조4103억원으로 전년 대비 147.6%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2018년(20조8437억원) 이후 3년 만에 최대치다. SK하이닉스의 실적 호조는 코로나19 장기화 등에 따라 원격 근무 및 학습 수요, 데이터센터 등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급증한 덕분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SK하이닉스는 중국 장쑤성 우시 D램 생산라인을 운영하는 현지 법인에 2조3940억원을 출자한다. 이번 출자금은 올해 말부터 2025년까지 향후 3년간 SK하이닉스 우시 D램 반도체 공장 보완 투자 재원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2006년부터 우시 C2팹에서 메모리반도체 D램을 생산해왔고, 2019년에는 총 1조원을 추가로 투자해 기존 C2팹을 확장한 C2F팹을 준공했다.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 공장에서 D램 칩의 절반가량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D램 생산량의 15%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우시 공장에 첨단 반도체 생산을 위한 EUV(극자외선) 노광장비를 반입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미국이 중국의 군사력 증대에 악용될 수 있다며 반대해 무산됐다. 회사 측은 우시 공장 EUV 장비 도입까지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 있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이번 출자는 중국 우시 D램 공장의 일상적인 보완 투자 개념으로 향후 3년간 나눠 집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1.28 09:00
경제

가트너, "삼성전자 3년 만에 인텔 제치고 반도체 매출 1위"

삼성전자가 지난해 인텔을 제치고 반도체 매출 세계 1위를 탈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해 삼성전자가 2018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의 인텔을 제치고 반도체 매출 세계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가트너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반도체 매출은 전년보다 31.6% 증가한 759억5000만 달러(약 90조3000억원)로 731억 달러에 그친 인텔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13.0%, 인텔이 12.5%다. 삼성전자는 2018년 반도체 매출 1위였으나 2019년 인텔에 정상을 내준 뒤 2년 연속 2위에 머물렀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3분기에 시장 점유율에서 인텔에 근소하게 앞서왔다. 지난해 1위 자리를 되찾은 것은 전 세계적으로 메모리 수요가 늘어난 데 힘입은 것으로 풀이된다. 가트너는 “원격 작업 및 학습 수요 등으로 시장 수요가 급증하면서 메모리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반면 지난해 인텔은 전년보다 0.5% 성장하는 데 그쳐 상위 25개 반도체업체 가운데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 매출은 전년보다 40.5% 늘어난 363억2600만 달러로 전년에 이어 3위에 랭크됐다. 이어 마이크론(284억4900만 달러)과 퀄컴(268억5600만 달러) 역시 전년과 동일한 각각 4위와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전년보다 25.1% 증가한 총 5835억 달러를 기록해 처음으로 5000억 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2021년 실적을 발표하면서 메모리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역대 최대인 279조4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메모리 슈퍼사이클’ 시기인 2018년의 243조7700억원을 뛰어넘는 규모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1.20 11:24
경제

삼성전자 사상 첫 분기 매출 70조원 달성

삼성전자의 분기 매출이 사상 처음으로 70조원을 돌파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이어진 반도체 호황과 신형 폴더블폰의 흥행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8일 올해 3분기 잠정 경영실적(연결 기준)을 집계한 결과 매출 73조원, 영업이익 15조8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3분기 대비 매출은 9.02%, 영업이익은 27.94% 증가한 것이다. 삼성전자의 분기 매출이 70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종전 최대였던 지난해 3분기(약 67조원) 기록을 1년 만에 갈아치웠다. 영업이익은 당초 시장 전망치(16조원)보다는 낮았으나 반도체 초호황기(슈퍼사이클)였던 2018년 3분기(17조5천700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깜짝실적'(어닝서프라즈)이다. 지난 2분기부터 살아나기 시작한 반도체가 호실적을 견인했다. 이날 삼성전자의 부문별 실적이 공개되진 않았다. 하지만 증권가는 3분기 반도체에서만 9조7000억∼10조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2분기(6조9000억원)보다 3조원 가량 늘어난 것이며 2018년 3분기 이후 3년 만에 기록한 두 자릿수 영업이익이다. 주력인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고정거래가격이 3분기에 정점을 찍었고, 상반기까지 부진했던 시스템 반도체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도 최근 수율 개선과 신규 고객 확보 등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스마트폰 실적도 좋다. 하반기에 갤럭시 노트 시리즈 대신 승부수를 띄운 갤럭시Z폴드3와 Z플립3 등 '폴더블폰'이 출시 이후 100만대 이상 팔리는 '대박'을 치면서 삼성의 폴더블폰 대중화 전략이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증권가는 삼성전자가 모바일(IM) 부문에서 2분기(22조6700억원)보다 4조∼5조원 이상 높은 27조∼28조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부문도 스마트폰은 물론 노트북·태블릿용 중소형 OLED 판매가 늘면서 1조5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소비자가전(CE)의 영업이익은 2분기(1조600억원)보다 4000억원 이상 감소한 6000억∼7000억원 정도로 예상됐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가로 집콕·펜트업(억눌린) 수요가 한풀 꺾이면서 TV 판매가 상반기보다 부진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 사태도 생활가전의 원재료·물류비 상승과 영업이익이 감소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10.08 09:41
생활/문화

애플에 밀리고 샤오미에 치이고…갤럭시S21, 전작보다 덜 팔렸다

삼성전자의 글로벌 1위 타이틀이 애플과 중국 OVX(오포·비보·샤오미)의 공세에 위태로운 가운데 올해 1월 출시한 '갤럭시S21'(이하 갤S21) 시리즈는 전작보다 못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4일 키움증권에 따르면 갤S21 시리즈는 올해 1월 출시 후 6개월간 1350만대가 팔렸다. 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봤을 때 '갤럭시S20'과 '갤럭시S10' 시리즈보다 판매량이 각각 20%, 47% 감소했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플래그십 판매 부진, 베트남 봉쇄에 따른 생산 차질이 더해져 6월 점유율은 15.7%까지 하락했다"며 "하반기 대화면 노트 시리즈를 폴더블(화면이 접히는)폰으로 대체하는 등 플래그십 라인업을 재정비하는 과도적 상태에 있다"고 말했다. 최근 가장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는 곳은 샤오미다. 미국 제재로 움츠러든 화웨이의 빈자리를 성공적으로 꿰찼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의 2021년 2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보고서를 보면 샤오미는 처음으로 분기 및 상반기 출하량 2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2분기에 5730만대를 출하하며 19% 점유율로 가까스로 1위를 지켰다. 4990만대를 출하한 샤오미의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72.9%대 달한다. 4~6위를 쓸어간 중국의 오포·비보·리얼미도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출하량이 각각 44.7%, 33.5%, 174.5% 증가하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삼성전자와 애플(3위)의 성장률은 5.6%, 7.5%에 그쳤다. 신작 매출이 실망스러운 삼성전자와 달리 애플은 첫 5G 라인업으로 성공을 거뒀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아이폰12' 시리즈가 출시 7개월 만에 1억대가 팔렸다고 밝혔다. 전작보다 2개월가량 앞선 기록이다. LTE로 전환하면서 슈퍼사이클(장기호황)을 달성한 '아이폰6' 시리즈와 비슷한 수준이다. 애플은 2022년 '아이폰14' 시리즈를 출시할 가능성이 큰데, 내달 선보이는 '아이폰13' 시리즈와 달리 고급 모델에 티타늄 합금을 적용하는 등 사양을 큰 변화를 줄 전망이다. 이에 업계는 애플이 내년을 진정한 슈퍼사이클로 설정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는다. 김지산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애플 대비 프리미엄 브랜드가 열세다. 가성비에서는 OVX의 도전이 심화하고 있다"며 "성능 및 디자인 차별화, 보급형 라인업의 원가 경쟁력 강화 등에서 성과가 요구된다"고 분석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8.05 07:00
경제

7월 수출 63조8600억원…65년 한국 역사상 최대치

올해 하반기 수출 증가세 둔화 우려에도 7월 수출이 65년 한국 무역 역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세계 교역 회복세가 뚜렷해 하반기 수출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국내 유일 대형 컨테이너 선사인 HMM의 파업 조짐 등으로 낙관만 할 수 없는 상황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7월 수출액은 지난해 7월보다 29.6% 증가한 554억4000만달러(63조8600억원)로 집계됐다. 무역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가장 많은 월 수출액으로, 종전 최고치인 2017년 9월 551억2000만달러보다3억2000만달러 많다. 역대 7월과 비교하면, 그동안 1위였던 2018년 7월(518억달러)보다는 30억 달러 이상 많은 것이다. 하루 평균 수출액도 32.2% 증가한 22억6000만달러(2조6000억원)를 기록했다. 휴가철인 7월은 다른 달보다 하루 평균 수출액이 낮지만, 올해는 7월 사상 처음으로 22억 달러를 넘어섰다. 7월 신기록은 수출 효자 품목인 반도체, 자동차 등 5대 품목이 앞에서 끌고, 신성장 품목들이 뒤에서 받쳐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반도체는 110억 달러어치가 수출돼 최근 3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특히 지난달은 반도체 슈퍼사이클로 알려진 2018년 7월(104억 달러) 실적을 앞지르며 역대 7월 중 1위를 차지했다. 석유화학은 포장재·방역용품 등의 수요 급증으로 59.5% 증가하며 역대 2위 수출액을 기록했다. 일반기계도 주요국의 경기회복으로 건설·공작기계 등의 수출품이 선전하며 18.4% 증가했다. 자동차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가 완화하고, 친환경차·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의 수출 호조로 역대 7월 중 수출액 2위를 달성했다. 바이오헬스·이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 유망 신산업들도 모두 역대 7월 수출액 중 1위 실적을 기록했다. 정부는 하반기에도 세계 경제 및 교역 회복세가 뚜렷해 수출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올해 5월까지 전 세계 누적 교역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7.4%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외 주요 기관들의 전망도 밝혔다. 산업연구원, 무역협회, 현대경제연구원, 한국은행은 올해 연간 수출액을 6000억달러(691조2000억원) 이상, 무역액은 1조 달러(1152조원) 이상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올해 1∼7월 누적 수출액은 3587억달러로 역대 가장 많다. 지금까지 연간 최고 수출 실적은 2018년 6049억달러다. 하지만 우려도 있다. 최근 델타 변이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고, 우리 수출 기업들이 원자재 가격 상승과 높은 물류비용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국적 선사 HMM의 임금협상 난항이 걱정거리로 떠올랐다. 노사는 임금인상률과 격려금을 두고 팽팽히 맞서고 있다. 그동안 임금동결 등으로 회사 살리기에 매진했던 노조는 '더는 못 참겠다'며 두 자릿수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중앙노동위원회 쟁의조정 신청에 이어 파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HMM은 국내 유일의 대형 컨테이너 선사여서 파업 시 국내 기업들의 수출길이 막혀 물류대란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해상 운임이 급등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은 HMM 파업 시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1.08.01 17:51
생활/문화

외신 "아이폰12 중고가 상승세"…애플 첫 5G폰 프리미엄

애플의 첫 5G 스마트폰인 '아이폰12' 시리즈의 중고가가 최근 상승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17일 해외 IT 매체 폰아레나는 온라인 스마트폰 쇼핑몰 '셀셀'의 연구를 인용해 "애플의 아이폰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보다 가치가 하락하는 속도가 느리다"며 "아이폰12 시리즈도 예외는 아니다"고 말했다. 폰아레나에 따르면, 아이폰은 출시 후 첫 6개월 동안 평균적으로 가치가 34.5% 떨어졌다. 해당 기간 '아이폰11' 시리즈는 가치가 44% 하락했다. 아이폰11과 아이폰12 모두 출시 첫 달에 가치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아이폰12는 중고가가 오르는 추세다. 해외에서 출고가 1399달러(약 160만원)인 아이폰12 프로 맥스(512GB)는 판매 첫 달 가격이 710달러(약 81만원)로 하락했지만, 6개월째에 진입해 중고가가 995달러(약 114만원)로 올랐다. 이에 반해 아이폰11 프로 맥스(512GB)의 경우 출시 한 달 만에 가격이 1449달러(약 165만원)에서 850달러(약 97만원)로 내려갔다. 6개월 뒤에는 830달러(약 95만원)까지 떨어졌다. 출시 당시 849달러(약 97만원)였던 아이폰11 256GB 모델은 한 달 만에 580달러(약 66만원)로 급락했다. 지난 1월 판매를 시작한 삼성전자의 '갤럭시S21' 시리즈는 첫 3개월 동안에만 최대 50%까지 가치가 떨어졌다. 아이폰12는 애플의 첫 5G 모델이라는 프리미엄이 붙어 '아이폰6' 이후 오랜만에 슈퍼사이클을 경험하고 있다. 화질을 개선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도입을 확대한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해 4월 누적 기준 아이폰12 시리즈 출하량이 1억대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출시 7개월만으로, 전작의 기록을 2개월 앞당겼다. 폰아레나는 "아이폰12에 대한 강한 수요가 구매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며 "이는 잃어버린 가치의 일부를 만회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7.17 15:52
경제

이재용, 상속 관문 넘었지만 오너리스크 부각에 경쟁사 추격까지 '산 넘어 산'

상속 배분이라는 관문을 넘겼음에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오너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 게다가 삼성전자가 주춤하는 사이 경쟁사들이 대대적인 투자로 선언하고 있어 초격차 전략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이 부회장의 불법 경영권 승계 의혹과 관련한 두 번째 공판기일이 6일 열렸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2부는 이날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 및 시세조종,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이 부회장에 대한 공판기일에서 전 삼성증권 직원 한모씨에 대한 증인 신문을 진행했다. 해당 재판의 첫 증인 신문이었다. 한씨는 삼성증권에 근무할 당시 미전실과 함께 삼성그룹 지배구조에 관해 자문을 해줬으며 이 과정에서 2012년 '프로젝트G' 보고서 작성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프로젝트G가 미전실 주도로 세운 이 부회장의 승계 계획안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부회장이 많은 지분을 보유한 제일모직 가치를 고평가하고 삼성물산 가치를 저평가해 합병함으로써 그룹 지배력을 공고히 하는 내용을 담았다. 한씨는 프로젝트G에 지배구조 개선 필요성이 명시된 이유에 대해 "그룹 지분율이 약해질 우려가 있고, 만약 승계 등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지분율이 약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또 프로젝트G에 '회장님 승계 시 증여세 50% 과세', '그룹 계열사 지배력 약화'라고 적혀 있는 것에 대해 "승계 문제가 발생하면 대주주가 보유한 지분을 팔아 세금을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그룹 전체의 지분율이 떨어질 수 있다고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영권 불법 승계 재판과 더불어 이 부회장은 삼성생명 1대주주인 삼성물산의 최대주주로서 금융당국의 적격성 시사를 주기적으로 받게 되는 상황에 놓였다. 금융감독원은 고 이건희 회장의 지분 상속으로 삼성물산의 최대 주주(18.13%)가 된 이 부회장의 적격성 심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금융회사 최대주주 중 최다출자자 1인(법인인 경우 그 법인의 최다출자자)의 적격성을 2년 주기로 심사하고 있다. 금감원은 작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심사를 시작했고, 최근 삼성 일가의 상속재산 분할 합의가 완료됨에 따라 확정된 내용을 심사에 반영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생명의 1대주주가 삼성물산으로 바뀜에 따라 이 부회장은 최대주주 자격 심사를 꾸준히 받게 됐다. 최대주주 적격성 요건을 충족하려면 5년 이내에 금융 관계 법령이나 공정거래법, 조세범 처벌법을 위반해 벌금형 이상의 형사처벌을 받은 이력 등이 없어야 한다.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과 관련해 뇌물공여 등 혐의로 징역 2년 6개월의 형을 받았다.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의 경우 최대주주 적격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및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부정 재판은 금융관계법령에 해당한다. 일각에서는 고려저축은행 대주주인 이호진 태광그룹 전 회장 사례를 들어 금융사지배구조법 개정 이전 행위도 결격 사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이호진 전 회장이 대주주 적격성 유지요건 충족명령을 이행하지 않자 작년 12월 보유주식 일부를 처분하라고 명령한 바 있다. 오너리스크가 불거진 가운데 삼성전자는 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사들에 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이날 1분기 반도체 부문에서 매출 19조원, 영업이익 3조37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작년 1분기 대비 매출은 8% 가까이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6% 감소했다. 올해 반도체 슈퍼사이클임을 고려하면 기대치를 밑도는 성적표다. 무엇보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인텔보다 떨어져 위기감이 맴돌고 있다. 인텔의 1분기 매출은 197억 달러(약 22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37억 달러(약 4조1000억원)로 작년 동기(매출 198억 달러, 영업이익 70억 달러)보다 악화됐지만 삼성전자보다 좋은 성적표를 받았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 기업인 대만의 TSMC는 역대급 실적으로 승승장구중이다. 1분기 매출은 129억 달러(약 14조5000억원), 영업이익은 53억6000만 달러(약 6조원)로 모두 사상 최고였다. 삼성전자보다 매출은 작은데 영업이익이 2배 가까이 높았다. TSMC는 지난해까지도 삼성전자와 영업이익에서 엎치락뒤치락 했으나 이번에 큰 차이로 삼성을 따돌린 것이다. 증권가는 올해 1분기 삼성전자가 메모리 부문에서 3조5000억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올렸으나 파운드리 등 비메모리 부문에서 1000억원 정도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비메모리의 부진으로 삼성전자의 1분기 반도체 영업이익률은 17.7%까지 떨어졌다. 인텔의 영업이익률인 18.8%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5.06 17:5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