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스포츠일반

페레이라가 무너졌다…UFC 중량급도 ‘다게스탄 시대’, 안칼라예프 챔피언 등극

다게스탄 전사 마고메드 안칼라예프(32∙러시아)가 알렉스 페레이라(37∙브라질)를 꺾고 UFC 라이트헤비급(93kg) 챔피언에 등극했다. 안칼라예프(20승 1무 1패 1무효)는 지난 9일(이하 한국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시 티모바일 아레나에서 열린 ‘UFC 313: 페레이라 vs 안칼라예프’ 메인 이벤트 라이트헤비급 타이틀전에서 챔피언 페레이라(12승 3패)에게 만장일치 판정승(49-46, 48-47, 48-47)을 거뒀다. 예상대로 페레이라에게 가장 힘겨운 상대였다. 안칼라예프는 왼손잡이 자세로 서기 때문에 페레이라의 주무기인 카프킥이 잘 통하지 않았다. 레슬링 전략도 주효했다. 비록 테이크다운은 성공시키지 못했지만 테이크다운 시도로 붙은 뒤 클린치에서 니킥과 짧은 펀치로 라운드를 가져갔다. 안칼라예프는 경기 내내 전진했다. 보통은 페레이라가 강력한 파워를 바탕으로 상대를 압박하는 양상이 펼쳐지지만 안칼라예프는 두려워하지 않고 페레이라를 철창으로 몰았다. 천하의 페레이라도 뒷걸음질을 하는 상황에서는 위력적인 공격을 적중시키지 못했다. 그럼에도 대결은 팽팽했다. 페레이라는 라이트헤비급 5연승을 이어온 저력을 보여주며 천적 스타일의 선수와 접전을 벌였다. 1라운드 탐색전은 카프킥을 더 많이 적중시킨 페레이라가 가져갔다. 2라운드엔 안칼라예프가 왼손 스트레이트 펀치로 페레이라를 그로기로 몰아넣었다. 4라운드엔 안칼라예프가 철창에 페레이라를 몰아넣고 컨트롤하며 점수를 땄다. 치열한 접전이 펼쳐진 3라운드와 5라운드가 관건이었다. 판정단 전원은 3라운드에 다리 쪽에 타격을 집중한 페레이라보단 머리와 몸통 쪽에 타격을 넣은 안칼라예프의 손을 들어줬다. 5라운드엔 페레이라 둘, 안칼라예프 하나로 판정이 갈렸다. 결국 만장일치로 안칼라예프가 승리했다. 안칼라예프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차마 말로 표현할 수 없다. 아주 오랜 세월 추구했던 꿈을 지금 이뤘다. 벨트가 지금 내 허리에 감겨 있다”고 감격했다. 이어 “전략은 압박, 압박, 압박”이었다며 “페레이라의 이전 상대들은 항상 카운터를 노리려고 했지만 난 내가 압박하고 상대가 카운터를 노리게 만들었고, 그 전략은 통했다”고 설명했다. 안칼라예프는 중량급에도 다게스탄의 시대를 알렸다. 라이트헤비급(93kg)은 체중 제한이 없는 슈퍼헤비급이 없는 UFC에서 헤비급(120.2kg) 다음으로 한계 체중이 높은 체급이다. 경량급인 라이트급(70.3kg)을 주름잡고 있는 전 UFC 라이트급 챔피언 하빕 누르마고메도프와 현 챔피언 이슬람 마카체프에 이어 전사의 나라 다게스탄의 강력함을 중량급에서도 보여줬다. 타이틀 4차 방어에 실패한 페레이라는 판정 결과에 불만을 표했다. 그는 “안칼라예프가 상대를 펜스에 몰아넣는 건 알고 있었다”며 “이런 경기에 승리를 준다면 이런 스타일의 경기를 하는 선수들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것밖에 안 된다”고 꼬집었다. 현재 두 선수는 바로 2차전을 벌일 걸로 전망되고 있다. 공식 판정은 안칼라예프가 이겼지만 페레이라가 이겼다는 의견도 많아 2차전에서 확실히 승부를 가리길 원하는 여론이 높다. UFC 회장 데이나 화이트는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 재대결에 대한 질문에 “아마도”라고 대답했다. 안칼라예프 또한 찬성이다. 그는 “페레이라가 원한다면 기꺼이 재대결을 받아주겠다”고 말하며 “어쩌면 2차전에선 그가 경기 내내 도망가지 않고 진짜로 싸울지도 모른다”고 도발을 덧붙였다. 페레이라도 복수 의지를 불태웠다. 그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2차전에선 (부족했던 부분을) 조정하겠다. 훨씬 더 나은 모습으로 돌아올 테니 믿어달라. 절대 꿈을 포기하면 안 된다”고 타이틀 탈환을 다짐했다. 코메인 이벤트에선 UFC 라이트급(70.3kg) 랭킹 3위 저스틴 게이치(36∙미국)가 2년 만에 또 다시 11위 라파엘 피지예프(29-28, 29-28, 29-28)를 판정으로 제압했다. 게이치(26승 5패)는 1라운드 피지예프의 보디킥에 고전했지만 2라운드 강력한 오른손 어퍼컷으로 녹다운을 터뜨리며 경기를 뒤집었다. 경기 1주일 전 손 부상을 입은 댄 후커의 대타로 들어온 피지예프는 준비 기간 부족으로 2라운드부터 체력이 떨어지며 경기를 내줬다. 이로써 게이치는 지난해 UFC 300에서 맥스 할러웨이에게 당한 치욕적인 버저비터 KO패의 기억을 씻어내고 다시 승리 트랙으로 돌아왔다. 게이치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나는 다시 돌아와야 했다. 모두에게 내가 세계 3위란 걸 보여줘야 했다”며 “얼마나 바닥으로 떨어져 있는지는 중요치 않다. 중요한 건 다시 올라서고자 하는 의지”라고 강조했다. 두 선수 모두 혼신을 다해 싸운 끝에 이번 경기는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로 선정됐다. 상금은 각각 5만 달러(약 7237만원)다. 게이치는 UFC 14경기에서 14번의 보너스를 받으며 ‘하이라이트’라는 이름값에 걸맞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게이치가 다음으로 원하는 건 마지막 타이틀 도전이다. 게이치는 UFC 254에서 하빕 누르마고메도프에게, UFC 274에서 찰스 올리베이라에게 도전해 모두 패했다. 그래도 여전히 마지막 기회를 믿는다. 게이치는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 다음 행보에 대한 질문에 “나는 챔피언 벨트를 원한다”고 답했다. 이어 “챔피언은 피지예프와는 완전히 다른 상대”라며 “그와 싸우기 위해선 바로 달리기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화이트 UFC 회장은 이에 대해 “게이치는 여전히 세계 3위”라며 “그러니 그가 타이틀 도전권을 받을 가능성은 상당히 있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김희웅 기자 2025.03.10 12:54
스포츠일반

은가누도 실신시킨 조슈아, 충격의 KO패…주먹 한 방에 고꾸라졌다

세계적인 복싱 스타 앤서니 조슈아(34)가 충격적인 패배를 맛봤다. 상대 선수의 주먹을 맞고 그대로 링 위에 쓰러졌다.조슈아는 22일(한국시간) 영국 런던의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IBF 헤비급 타이틀전에서 대니얼 뒤부아(27)에게 5라운드 KO패를 당했다.조슈아는 뒤부아의 오른손 훅에 맞고 그대로 쓰러졌고, 다시 일어서려 했으나 중심을 잃고 앞으로 고꾸라졌다. 결국 그의 세컨드는 수건을 던지며 경기 포기를 알렸고, 뒤부아가 승리했다.그야말로 충격적인 패배다. 2012 런던 올림픽 슈퍼헤비급 금메달리스트인 조슈아는 프로로 전향해 복싱 3대 기구 헤비급 챔피언에 등극한 최강 복서다. 지난 3월에는 UFC 헤비급 챔피언 출신인 ‘괴물’ 프란시스 은가누(프랑스)와 복싱 대결에서 강력한 펀치로 실신시키는 등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번에도 조슈아의 승리를 점치는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나 예상과는 정반대의 일이 벌어졌다.조슈아는 1라운드에 다운당하며 뒤부아에게 기세를 내줬고, 3라운드에도 또 한 번 다운당했다.그러다 5라운드 초반에 뒤부아의 안면에 주먹을 꽂으며 돌진했고, 이때 카운터 펀치를 맞고 그대로 쓰러졌다.김희웅 기자 2024.09.22 13:37
스포츠일반

‘45세’ 원챔피언십 전 헤비급 최강, 레슬링 세계챔프 상대 재기 노린다

브랜던 베라(45·미국/필리핀)가 아시아 최대 단체 ‘원챔피언십(ONE Championship)’ 종합격투기 무대를 호령한 옛 영광을 되찾을 수 있을까. 연패 탈출을 목표로 19개월 만에 출전한다. 베라는 오는 12월 3일 필리핀 마닐라의 ‘SM몰 오브 아시아 아레나(수용인원 1만5000명)에서 열리는 원챔피언십 164번째 넘버링 대회 메인카드 제4경기(헤비급)를 통해 아미르 알리아크바리(35·이란)와 대결한다. 원챔피언십 전 헤비급 챔피언 베라와 세계레슬링선수권 금메달리스트 알리아크바리가 충돌한다. 베라는 2015~2021년 지켜온 왕좌를 뺏겨 자존심이 상해있다. 2019년 라이트헤비급으로 내려가 2체급 석권에 도전했다가 실패한 이후 승리가 없다. 알리아크바리는 2015년 종합격투기 데뷔 후 2019년까지 10승 1패를 기록한 후 진출한 원챔피언에서 1승 2패로 기대를 밑돌고 있다. 생애 첫 2연패로 체면을 구겼다가 올해 8월 첫 승리를 거뒀다. 둘 다 동기부여는 충분한데다가 화끈한 경기가 공통점인 만큼 명승부가 기대된다. 베라는 원챔피언십 6경기(4승 2패)를 모두 KO로 이기거나 졌다. 알리아크바리는 종합격투기 KO승률 72.7%(8/11)를 자랑한다. 베라는 세계킥복싱협회(WKA) 슈퍼헤비급 챔피언 출신답게 타격 기술이 좋다. 알리아크바리는 2010·2013 세계선수권 -96·120㎏ 금메달로 두 체급을 정복한 그레코로만형 레슬러다운 힘을 실어 날리는 펀치가 위협적이다. 2005년 WEC 헤비급 그랑프리 우승, 2013년까지 UFC 8승 등 종합격투기 파이터로서 경험은 베라가 앞선다. 알리아크바리가 2021년 강지원(27)한테 1분 54초 만에 펀치 KO패를 당한 원챔피언십 데뷔전처럼 수비 문제를 노출한다면 놓치지 않을 것이다. 베라는 2014~2018년 필리핀에서 원챔피언십 데뷔 4연승을 달렸다. 홈팬의 응원을 받을 이번 경기 역시 승리를 꿈꿀 것이다. 그러나 40대 중반의 한복판에 접어든 나이는 변수다. 몸 관리를 아무리 잘해도 하루하루 파이터로서 기량이 줄어들 수 있다. 타격을 버텨내는 신체적인 내구성 감소 역시 불가피하다. 베라가 경기를 잘 풀어가더라도 알리아크바리의 강렬한 주먹을 허용하면 언제든 큰 위기에 처할 수 있다. 원챔피언십 공식 홈페이지는 베라의 ▲다운을 뺏기에 충분한 카운터 공격 ▲허벅지에 충격을 쌓아 기동력을 떨어뜨리는 로킥, 알리아크바리의 ▲해머 같은 파워 펀치 ▲월드클래스 레슬링과 그라운드 앤드 파운드를 두 선수의 대표적인 장점으로 꼽았다. 김희웅 기자 sergio@edaily.co.kr 2022.11.30 19:3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