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축구

[스포츠는 요지경] 1983년 논산 훈련소 ‘빅매치’

사회에서 볼 좀 찬다는 사람들과 프로페셔널한 축구 선수의 기량 차이는 어느 정도 될까요. 1983년 논산 훈련소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축구 선수들이 입대했다는 소식에 조교들이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한 판 붙자", "몇 점이나 접어드릴까요", "5점이면 충분하지", "축구는 열 한명이 하는 거니까 11점을 접어드리겠습니다."  5점을 접어달라는 것도 자존심이 상할 일인데 두 배가 넘는 11점을 접어준다니 조교들은 기가 찰 노릇. "좋아, 대신 너희들 우리한테 깨지면 각오해"라며 쏘아 붙였지만 축구 선수도 가만있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만약 저희들이 이기면요?"에 돌아온 답은 "앞으로 훈련 중 힘든 건 모두 열외다." 잔디는 고사하고 자갈이 가득한 운동장에서 용케 운동화를 꿰차고 &#39논산 훈련소 빅매치&#39가 시작됐습니다. 전후반 35분. 11-0 기간병의 리드로 킥오프.  상대를 잘 못 골랐습니다. 훈련병 팀에는 꾀돌이 미드필더 박항서, 할렐루야 출신의 꺾다리 공격수 오석재, 재간둥이 스트라이커 이상철(전 울산현대 코치, 현 축구협회 기술위원), 듬직한 수비수 이장수(현 베이징 궈안 감독), 지금은 국가대표 오범석의 아버지로 더 유명한 골키퍼 오세권 등이 포진하고 있었습니다. 이상철 기술위원은 "모두 13명이 함께 입대했다. 골키퍼, 미드필더, 수비, 공격 등 어느 포지션 하나 빠지는 선수가 없이 조직력이 잘 맞았다"고 당시를 회상했습니다. 결과는 14-11. 전후반 내내 조교들은 단 한 골도 넣지 못했습니다. 오세권씨는 "마음만 먹으면 더 넣을 수도 있었지만 그 정도로 끝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이 날 승리로 이들의 훈련병 생활은 편해졌을까요. 오세권씨는 "군대에서 봐주는 게 어딨어. 그 때 뿐이지"라고 빙긋 웃었습니다.  병역 비리로 축구계가 시끄럽습니다. 병역의무는 지엄하지만 축구 선수에게 2년간 공을 못찬다는 것은 치명타가 아닐 수 없습니다. 김두현이 잉글랜드로 이적하지 못하고 일단 임대되는 것도 병역을 해결하지 못한 탓이 큽니다. 비리를 감싸는 것은 아니지만 병역을 이행하면서 축구로 사회와 국가에 봉사할 수 있는 해법을 마련하길 기대해봅니다.이해준 기자 2008.02.04 11:13
축구

[스포츠는 요지경] 배관공-택시기사, 리버풀과 맞대결

싱글 수준의 아마추어 골퍼가 공식 대회에서 타이거 우즈와 함께 스킨스 게임을 벌인다면 어떤 기분일까요. 동네에서 테니스께나 친다고 어깨에 힘주는 아저씨가 로저 페더러와 맞붙는다면. 잉글랜드 FA컵에서는 이런 일이 현실로 이어집니다. FA컵 4라운드 경기 중 잉글랜드 축구팬의 가장 큰 관심을 받는 경기는 27일 0시(한국시간) 앤필드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명문구단 리버풀과 아마추어나 다름없는 6부리그 팀, 이름도 촌스럽게 긴 &#39하반트 앤드 워터루빌&#39(이하 하반트)의 격돌입니다. AP통신은 &#39배관공, 미장이, 택시 운전사, 환경미화원으로 짜여진 팀이 FA컵 136년 역사의 가장 큰 이변에 도전한다&#39는 기사를 전세계에 타전했습니다. 하나부터 열까지 비교할 수 없는 팀입니다. 앤필드는 4만5000석의 관중석이 수시로 만원사례를 이루지만, 하반트의 홈 평균 관중은 불과 606명. 제라드 등 쟁쟁한 스타가 포진한 리버풀에는 주급 2만 달러가 우습지만 허번트의 선수들은 따로 직업을 갖고 남는 시간에 공을 찰 뿐입니다. 하반트는 컨퍼런스 디비전 승격을 위해 9억여원을 투자해 관중석을 간신히 만들었지만 리버풀은 오는 2009년 완공을 목표로 4600여억원를 쏟아부어 경기장 신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하반트의 주장은 "우리에겐 마치 월드컵 결승전에 나서는 것과 같은 기분이다. 4만 팬들의 환호 속에서 경기를 치른다는 생각만으로도 소름이 돋는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FA컵 3라운드에서 리그1(3부리그에 해당)의 선두를 달리는 스완시를 3-1로 꺾은 하반트는 "4라운드 진출만으로도 대단한일"이라며 자족하면서도 "축구에서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라며 또 한번의 기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어떨까요. 축구협회는 지난해부터 K3리그를 출범시켰습니다. 동네 조기축구팀이 한 걸음 진화한 셈이죠. 지난해 출전한 10개 팀 중 상위 5개팀은 올해 FA컵 예선에 출전합니다.예선 라운드에서 대학과 실업팀을 꺾는다면 이번 가을 용인 시민축구단, 서울 유나이티드 등이 K리그 팀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해준 기자 2008.01.25 11:25
스포츠일반

[스포츠는 요지경] 경기장 온도 10도 이하면 배구 경기 못한다

‘영상 10도이하면 경기를 할 수 없다고?’ 새해 첫날인 1일 서울의 최저 온도가 영하 8도를 밑돌고, 체감 온도는 영하 15도에 이르렀다. 이런 날씨에서 등산을 제외하고 실외운동을 하는 것은 무리이다.  실내 운동인 배구의 경우, 온도가 너무 내려가면 경기를 열 수 없다. 구기 종목 가운데 경기 개시 여부판단을 날씨가 아니라 ‘기온(Temperature)’으로 결정하는 종목은 배구가 유일하다. 같은 실내 종목인 농구도 기온 규정이 없다. 야구의 경우, 비가 많이 오지 않는 이상 경기를 한다. 지난 2001년 4월4일 일본인 투수 노모 히데오(당시 보스턴)가 볼티모어를 상대로 노히트 노런을 기록할 때도 눈이 펑펑 쏟아 졌지만 경기는 진행됐다. 축구의 경우도 현재 열리고 있는 유럽 각국 리그를 보더라도 눈이나 영하의 온도에 구애받지 않고 경기를 연다. 물론 폭우가 쏟아져도 ‘수중전’으로 열린다.  그러나 배구는 실내 운동이지만 경기 개시 여부 판단을 온도로 결정한다. 기준 온도는 국내용과 국제용이 다르다. 국내 리그에서는 경기장 온도는 영상 10도(화씨 50도)이하가 되어서는 안된다.국제대회의 경우, FIVB(국제 배구연맹)가 주최하는 세계대회 및 공식대회는 훨씬 높다. 최소 16도(화씨 61도)보다 낮지 않아야 한다고 되어 있다. 최고 온도는 25도(화씨 77도).  공교롭게도 가장 낮은 기온을 기록한 1일 배구가 인천 도원체유관에서 열렸다. NH농협 2007~2008 V리그 남자부 대한항공과 삼성화재, 여자부 GS칼텍스와 KT&G경기였다. 이 경기가 제대로 열리기 위해 체육관 관리 요원들은 아침일찍 나와 출입문을 최대한 닫고 코트에 있는 온풍기를 풀가동해 10도 이상을 유지했다. ‘실내여서 온도가 낮지 않겠지’라는 생각이 들겠지만 체육관이 오래됐고 썰렁해 관중들이 들어오기전에는 추위를 느낄 정도이다.  반면 더울 때는 25도 이하를 유지하기 위해 에어컨을 풀가동한다. 프로리그 원년인 2005년에는 5월에도 경기가 열려 당시 대전 충무체육관을 홈으로 사용하던 삼성화재 관계자는 부랴부랴 에어컨을 더 설치해 겨우 경기를 치를 수 있었다. 같은 해 국내서 열린 그랑프리와 월드리그에서도 실내 온도를 맞추기 위해 관계자들이 진땀을 흘린 적이 있다. 이석희 기자 2008.01.01 10:13
축구

[스포츠는 요지경] 차범근, 하키 선수 될 뻔 했다?

한국 축구의 전설 차범근이 하키 선수가 될 뻔했다는 사실 아십니까. 반대로 두 번씩이나 한국 남자 하키를 세계 4강으로 이끈 ‘하키계의 히딩크’ 조성준 감독은 원래 축구 선수 출신이었습니다.  얼마전 조성준 하키 감독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이 분이 재미난 말씀을 하시더군요. 본인은 원래 축구 선수 출신이고, 차범근 감독은 하키 선수 출신이라는 이야기였습니다. 얼마 후 차감독을 만날 기회가 생겨 확인을 했습니다.   화성 출신의 차범근 감독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군 대표 달리기 선수로 나설 정도로 재능을 보였지만 정식으로 축구를 배우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어려서부터 축구를 하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을 품었고, 중학교는 축구부가 있는 영도중으로 진학했죠. 그러나 축구와의 소중한 인연은 그리 빨리 닿지 않았죠. 기막히게도 입학후 얼마 지나지 않아 축구부가 없어진 것입니다. 대신 하키부가 생겼죠. 차 감독은 기억을 더듬으며 “1학년 말부터 2학년 1학기까지 한 학기 정도 하키를 했다”며 추억에 잠기더니 “내가 축구도 잘 했어요”라며 환하게 웃었습니다. 빠르고 영리하고 몸을 사리지 않은 차감독이니 어련했겠습니까. 하키부에서도 소중한 존재였지만 소년 차범근은 축구에 대한 애정을 포기할 수 없었고 아버지를 졸라 경신중에서 테스트를 받고 전학을 했습니다. 축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중학교 3학년 부터인 셈이죠. 차범근은 이후 경신고로 진학해 축구를 시작한지 3년만에 청소년 대표로 태극마크를 달고 축구인생을 일찌감치 화려하게 꽃피웠습니다.   그렇다면 조성준 하키감독은 어땠을까요. 조 감독은 충북 오선초등학교에서 축구로 운동을 시작했지만 축구하는 모습을 본 하키 감독에게 스카우트 당했습니다. 인생이 묘하게 꼬인 거죠. 두 분 모두 종목을 바꿔 자기 분야에서 대가에 올라선 것도 공통점입니다. 만일 두 사람이 종목을 바꾸지 않았다면 어땠을까라는 상상도 재밌습니다. 사람의 운명이 아주 사소한 것에서 바뀐다는 생각도 듭니다.   조성준 하키 감독은 하키를 선택한 것을 혹시나 후회하지는 않을까요. 조감독의 대답은 이렇습니다. “그런 생각을 안해본 것은 아니다. 하지만 조금도 후회는 없다. 다만 하키를 하는 후배들이 앞으로 좀 더 좋은 여건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만들고 싶다”고 했습니다. 하키에 대한 자부심도 대단합니다. “축구는 대중 스포츠지만 하키는 골프와 버금가는 고급 스포츠다. 고급 스포츠는 대개 개인적인 종목이지만 하키는 단체 운동이기에 규율과 협력을 배울 수 있어 영국 왕실 등 귀족이 즐기는 운동”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해준 기자 2007.12.28 10:3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