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프로축구

33년 차·2년 차 두 감독, 대학 축구 빛낸 최우수 감독상 동시 수상 [IS 피플]

정진혁(56) 전주대 감독과 최재영(39) 선문대 감독이 올해 대학축구를 빛낸 최고의 감독으로 선정됐다. 둘은 지난 7일 서울 강남구 호텔리베라에서 열린 2022 한국대학축구연맹 시상식에서 최우수 감독상을 동시 수상했다. 정진혁 감독은 1989년부터 전주대를 이끌고 있다. 최재영 감독은 2021년 12월 선문대의 감독을 맡았다. 전주대는 올해 대학축구 첫 대회로 열린 제18회 통영 1,2학년 대학축구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08년, 2018년 준우승의 아픔을 딛고 세 번째 도전 만에 대회 우승에 성공했다. 춘계한산대첩기, 추계태백산기 등에서도 4강 진입 성적을 냈다. 이 성과를 인정받아 정진혁 감독은 지도자 생활 중 처음으로 한국대학축구연맹 최우수 감독상을 받았다. 정진혁 감독은 “한 해 동안 노력 많이 해주고 최선을 다해준 전주대 선수들에게 감사하다. 전주대 구성원들의 성원도 큰 힘이 됐다”라며 “선수들한테 주어진 경기 시간에 최선을 다하는 마음을 심어주고자 했다. 자신과 동료 선수를 믿었던 게 전주대의 가장 큰 무기였지 않나 생각한다. 어떠한 팀과 붙더라도 두려움 없이 이길 수 있다는 믿음이 강했다”고 했다. 정진혁 감독은 올해 목표를 ‘전관왕’으로 설정했다. 하지만 춘계, 추계 대회에서 결승 문턱을 넘지 못했다. 정 감독은 “저학년 선수층이 두꺼워서 전관왕을 할 자신감이 있었는데, 적은 경기 경험이 발목을 잡았다. 골 결정력이 부족했다. 실점도 쉽게 했다”라며 “동계 훈련부터 잘 준비해 춘계, 추계대회에서 우승하는 게 내년 목표다. 선수들의 간절함도 상당하다”고 밝혔다. 선문대는 지난 7월 태백산기 제17회 1,2학년대학축구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추계태백산기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했고, 춘계한산대첩기에서는 3위에 올랐다. 최재영 감독은 감독 생활 첫 시즌에 정상의 자리에 올랐다. 최 감독은 “(전임 감독이었던) 안익수 FC서울 감독님께서 좋은 팀을 만들어주셨다. 선수들이 열심히 할 수 있게 잘 이끌어주셔서 좋은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최재영 감독은 안익수 감독 특유의 색채 짙은 축구를 잘 계승했다. 후방부터 패스 워크를 통한 빌드업 축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최재영 감독은 “빌드업 작업은 이전과 비슷할 수 있는데, 수비 조직력 등에서 팀 색깔이 바뀌고 있다”라며 “나는 속도가 굉장히 빠른 축구를 선호한다. ‘토털 사커’를 추구한다. 경기장에서 선수들이 하나가 된 조직적인 축구를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대학축구연맹은 시상식 선정위원회 내규에 따라 9개 부문 수상자를 결정했다. 우수지도자상은 박종관 단국대 감독, 하석주 아주대 감독, 홍광철 호원대 감독이 받았다. 우수선수상은 이규빈(동국대) 서호성(한양대) 등 16명이 수상했다. 안효연 동국대 감독이 특별상을 받았다. 심판상은 고민국(주심) 이경순(부심) 심판에게 돌아갔다. 울산대가 페어플레이상을 받았다. 신연호 대학축구연맹 기술이사와 서혁수 이사는 공로패를 받았다. 또한 이상호 태백시장과 안익규 통영시 교육체육지원과 과장, 최태섭 대학축구연맹 사무총장, 임준 안양시체육회 사무국장, 김용일 스포츠서울 기자 등은 감사패를 받았다. 김영서 기자 zerostop@edaily.co.kr 2022.12.13 05:30
프로축구

[IS 피플] 한국 축구 자존심 살렸다... 안효연 감독의 12일 매직

“일본을 이겨야 한다는 동기부여가 많이 됐다.” 안효연 감독(44·동국대)이 이끄는 한국 대학축구 선발팀은 지난 17일 안양종합운동장에서 끝난 일본 대학 선발팀과 2022 제20회 덴소컵 한·일 대학축구정기전에서 3-2로 이겼다. 지난 6월 일본에서 열린 맞대결에서 0-5로 완패했던 한국 선발팀은 3개월 만에 홈에서 가진 설욕전에서 승리했다. 일본과의 대회 역대 전적은 8승 2무 8패로 동률을 이뤘다. 올해 한국 축구대표팀은 16세 이하(U-16)부터 A대표팀까지 전 연령대에 걸쳐 잇따라 일본에 완패를 당했다. 한국 U-16 대표팀은 지난 6월 일본에 0-3으로, U-23(23세 이하) 대표팀은 같은 달 아시안컵 8강전에서 0-3으로 졌다. 대학 선발팀도 0-5로 무릎을 꿇었다. A대표팀은 지난해 3월 열린 평가전(0-3 패)에 이어 7월 동아시안컵에서도 일본에 0-3으로 연패했다. 안효연 감독은 일간스포츠와 통화에서 “한국 축구가 최근 일본에 계속 패배하지 않았나. 선수들도 현재 상황의 심각성을 알고 있었다. 우리가 한국 축구를 대표해서 (연패를) 끊어야 한다고 선수들에게 강조했다. 이 부분이 선수들에게 (일본을 꺾어야 한다는) 동기부여가 많이 된 것 같다”고 했다. 축구인들에게 관심이 많이 쏠린 경기였다. 그만큼 부담감을 느끼면서도 안효연 감독은 주변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변석화 대학축구연맹 회장은 안 감독에게 코치·선수 선발에 대한 전권을 일임했고, 프로축구 K리그1(1부) 강원FC 최용수 감독은 5일부터 16일 사이 강원도 태백 등지에서 소집훈련을 갖는 대학 선발팀이 두 차례 연습경기를 하도록 배려했다. 안효연 감독은 “축구 관계자들이 안양종합경기장에 많이 와주셔서 선수들뿐만 아니라 코치진도 ‘일본을 이겨야 한다’고 힘을 모았다”며 “하석주 아주대 감독 응원이 큰 힘이 됐다. 최용수 감독님도 ‘효연이는 무조건 이길 수 있어’라며 용기를 북돋워 주셨다”며 돌아봤다. 이날 황선홍 올림픽대표팀 감독도 관전했다. 한국 선발팀은 12일간의 짧은 소집훈련을 가졌다. 지역·권역별 우수 선수를 선발해 1년 동안 호흡을 맞춰온 일본 선발팀에 비하면 준비 기간이 턱없이 부족했다. 남윤성 축구해설위원도 “(짧은 기간) 패스 플레이를 통한 조직력 있는 팀을 만들기는 사실 힘들다. 안효연 감독님의 전술과 선수들의 정신력이 빛을 발휘했다”고 말했다. 한국 선발팀은 빠른 역습을 통한 침착한 마무리로 3골을 터뜨렸다. 높이에 대한 강점도 유지하면서 일본 수비수들에게 부담을 줬다. 남윤성 해설위원은 “무작정 롱 패스를 통한 역습을 하기보다 빠른 측면 선수들을 이용한 전진 속도가 좋았다. 훈련 기간이 짧았지만, 안효연 감독이 자신의 축구 색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선수들을 선발한 게 주효했다”고 짚었다. 안효연 감독은 “축구는 실수를 적게 하는 팀이 이기는 스포츠다. 6월에 패배도 실수 때문에 완패한 것이다. 태백에서 준비할 때 실수를 줄이는 부분에 중점을 둬 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본 경기에서 실수가 많이 나왔다. 하지만 선수들이 경기에서 이기고자 하는 열망과 간절함이 실수를 극복했다”고 덧붙였다. 김영서 기자 zerostop@edaily.co.kr 2022.09.19 12:20
축구

안효연, 감독님 제가 넣었어요

4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프로축구 k리그 수원삼성과 대전시티즌과의 개막전에서 역전골을 성공시킨 안효연과 차범근감독이 포옹하고 있다.수원=김민규 기자 2007.03.04 20:2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