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건
경제

케이캡 이후 없는 국산 신약, 삼성제약 췌장암 치료제 근접

2020년에도 국산 신약이 출시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올해 국산 신약이 나올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외 제약사가 신약으로 허가받은 성분은 총 23개다. 이중 국내사가 허가권을 가진 성분은 3개다. 한독의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치료제 '울토미리스주', 유영제약의 골관절염 치료제 '레시노원주', 환인제약의 뇌전증 치료제 '제네빅스정'이다. 그러나 이 3가지 성분도 '국산 신약'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한독과 환인제약 제품은 수입 신약이며, 유영제약 신약도 기존의 히알루론산 성분들을 새롭게 가교 결합한 성분이다. 이 외 성분은 모두 해외 제약사의 신약이었는데 특히 다국적 기업의 실적이 두드러졌다. 화이자는 3가지 성분을 허가받아 가장 높은 실적을 냈다. 각각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호흡기를 통한 곰팡이 감염병), 비소세포폐암, 유방암 치료제다. 아스텔라스는 류머티즘 관절염과 백혈병 치료제를, 로슈는 소아 고형암과 신경내분비종양 치료제를 새로 허가받았다. 마지막 국산 신약은 지난 2018년 7월 허가받은 HK이노엔의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정'이다. 이 30번째 국산 신약을 끝으로 지금까지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제품이 배출되지 않고 있다. 삼성제약이 개발 중인 췌장암 치료제 리아백스주가 임상 3상을 마무리하며 신약 출시에 근접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혁신신약이 하나 나오려면 15년이 넘게 걸리고 자금도 1조∼2조원이 필요할 만큼 신약 개발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11일 막을 올린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개발 성과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1.11 10:3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