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경제일반

알리·테무 공습에 중국 해외직구 121% '껑충'

지난해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해외 직접구매(직구)는 저가 상품으로 공략하는 중국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 미국을 제치고 처음 1위 지역으로 올라섰다.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27조3470억원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이는 2001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이다.다만 증가폭은 2021년(20.2%), 2022년(10.3%)보다는 둔화했다.상품군별로 보면 여행·교통서비스가 전년보다 44.0% 증가한 24조912억원으로 집계됐다. 팬데믹 그늘에서 벗어나면서 해외여행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기프티콘'과 같은 이(e)쿠폰 서비스도 최근 선택지가 다양해지면서 전년보다 34.9% 늘어나 9조8천820억원을 기록했다.전체 거래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음식료품은 29조8천690억원으로 집계돼 1년 전보다 12.1% 증가했다.반면 컴퓨터 및 주변기기(-4.6%), 서적(-5.3%), 스포츠·레저용품(-2.1%)에서는 감소했다.상품군별 구성비는 음·식료품(13.1%), 음식서비스(11.6%), 여행·교통서비스(10.6%) 순으로 크다.여행·교통, 문화·레저, e쿠폰, 음식, 기타 서비스를 제외하고 상품만 추린 온라인쇼핑 상품 거래액이 전체 소매판매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25.5%였다.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167조8276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7.0% 늘었다.지난해 해외 직구는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6조원을 돌파했다.작년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은 6조7567억원으로 전년 대비 26.9% 증가했다. 직구 시장은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저가 상품 공세로 크게 성장한 중국이 견인했다.지역별로 중국은 3조2873억원으로 전년보다 121.2% 폭증했다. 전체 직구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그간 1위 자리를 지켜온 미국은 1년 전과 비교해 7.3% 줄어든 1조8574억원으로 집계됐다. 역대 처음 중국이 미국을 앞질렀다. 일본은 엔저 영향 등으로 전년보다 11.0% 늘어난 4742억원으로 집계됐다.상품군별로는 의류·패션 관련 상품(43.5%), 생활·자동차용품(35.9%), 스포츠·레저용품(65.5%) 등이 크게 늘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2.01 13:41
산업

'5월 비수기 이겨내자'…'할인 경쟁' 불 붙은 배달앱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배달앱 3사의 '할인 경쟁'이 한창이다. 단건 배달에 대해 한 달 내내 할인을 해주고, 늘어난 포장 주문에 대한 쿠폰을 뿌리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은 매일 무제한 쿠폰에 매주 포인트까지 제공하는 '5월 배민은 쿠폰 맛집'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달 말까지 단건 배달 서비스 '배민1'으로 주문하면 주문 금액 1만5000원 이상인 경우 3000원, 1만원 이상인 경우 2000원을 할인해주는 쿠폰을 제공한다. 배민1을 이용하고 일반 배달 주문을 할 경우라면, 하루 한 번 매일 1만5000원 이상 주문 시 2000원 할인 쿠폰도 있다.단건 배달만 진행하는 쿠팡이츠는 최근 쿠팡과 연계해 '와우 멤버십'의 혜택 연장선으로 배달음식 주문 시 5~10% 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와우 멤버십에 가입한 회원은 한달에 4990원을 회원비로 내면 로켓배송 상품 1개만 사도 무료배송과 로켓직구 무조건 무료 배송, 30일 무료 반품, 와우 회원 전용 할인 쿠폰, 신선식품 새벽배송 로켓프레쉬, 쿠팡플레이 콘텐츠 무료 시청 등 혜택을 받는다. 여기에 쿠팡이츠 할인까지 추가된 것이다.쿠팡 와우 멤버십 회원수는 누적 1100만명을 기록하고 있다. 쿠팡이츠 내 와우 멤버십 혜택은 현재 강남·서초구 등을 제외한 서울 일부 지역에서 가능하고 있지만, 향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요기요는 '포장 주문'에 대해 매일 5%, 최대 1500원을 할인받을 수 있는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배달비 상승 등으로 늘어나는 포장 주문을 겨냥한 혜택이다.배달앱이 너도나도 쿠폰 경쟁 등 거래액 올리기에 집중하는 데에는 줄어든 거래액을 끌어올리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배달앱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거래액이 줄기 시작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1월 음식서비스(배달음식) 온라인 거래액은 2조2295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8.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배달앱 3사의 이용자 감소도 이어지고 있다. 아이지에이웍스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배달앱 3사의 지난 3월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는 2898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34만명(18%) 감소했다.회사별로는 배달의민족과 요기요가 1929만명과 670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25%와 24.12% 줄었고, 쿠팡이츠는 298만명으로 전년 동월(568만명) 대비 48% 감소했다.배달앱 업계 관계자는 "4~5월은 날씨가 좋아 흔히 비수기로 분류한다. 그래도 가정의 달을 맞아 혜택을 준비한 것"이라며 "7~8월 성수기가 오면 거래액이 다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3.05.04 07:00
산업

여행가고 놀러가고…작년 온라인쇼핑 거래액 200조원 돌파

작년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돌파해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특히 온라인 여행 서비스와 레저 서비스 결제액이 1년 전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늘었다.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2월 및 연간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06조4916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4% 증가했다. 이로써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001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200조원을 돌파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상품군별로 보면 서비스 거래액(55조6945억원)이 25.7% 증가하며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특히 여행 및 교통서비스 거래액이 93.5%, 문화 및 레저서비스 거래액이 97.9% 각각 늘었다. 기프티콘 등 모바일 '선물하기' 서비스가 포함된 e-쿠폰서비스 거래액도 19.5% 늘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다만 온라인으로 음식 배달을 주문하는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1년 전보다 1.4% 증가하는 데 그쳤다.통계청 관계자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장기간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해제되며 증가 속도는 조금씩 더뎌지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지난해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53조6776억원으로 13.4% 증가하며 역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작년 4분기 기준 온라인쇼핑 거래액(54조9021억원)과 모바일쇼핑 거래액(40조2607억원)도 각각 최대치를 나타냈다.1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18조7423억원)은 전년 동월 대비 5.2% 늘었다. 2022년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은 5조3240억원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해 최대치를 새로 썼다.해외 직구는 중국(11.2%)과 일본(29.8%) 등에서 주로 늘었다. 상품군별로는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8.6%), 음·식료품(7.4%) 직구가 주로 늘었고, 가전·전자·통신기기(-18.3%)는 줄었다. 해외 소비자가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역직구'는 전년 대비 58.1% 감소했다.통계청 관계자는 "해외 역직구의 경우 대상 국가가 거의 중국인데, 지난해 코로나19에 따른 봉쇄 조치가 이어지며 중국 구매상들의 화장품 구매 등이 저조했다"고 설명했다.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3.02.01 14:41
경제

‘배달음식’ 온라인 하루 평균 거래액 역대 최대

온라인으로 배달음식 등을 시켜 먹는 음식서비스의 지난 2월 거래액이 1년 전보다 23% 증가하며 일 평균 거래액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지난 1일 발표한 2022년 2월 온라인쇼핑 동향 자료를 보면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2조 2443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23% 늘었다. 하루 평균 거래액은 약 802억 원으로, 2017년 관련 항목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대치다. 통계청은 메뉴의 지속적인 다양화와 고급화, 간편결제 확대 등 모바일 거래 활성화가 음식서비스 이용 증가에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 이민경 과장은 "이 밖에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환자 급증으로 인한 자택 내 격리 증가와 이로 인한 배달 서비스 이용 증가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5조 4314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3.7%, 1조 8537억 원 증가했다. 음식서비스 외에도 여행 및 교통서비스가 35.6%, 가전 전자 통신기기 20%, 생활용품이 17.9% 늘며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여행 및 교통서비스의 경우 1년 전 같은 달이 크게 감소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백신 접종률 증가에 따라 예약이 다소 증가했다는 점이 영향을 끼쳤다. 이 밖에 자동차 및 자동차용품 항목도 1년 전보다 46.8%나 늘며 거래액 2,248억 원을 기록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2.04.02 10:52
연예

소비자들, 폭설에 "주문·배달 자제하자"

지난 6일 오후부터 전국에 폭설이 내리면서 도로 곳곳이 마비되고 교통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이렇듯 최악의 환경에서 배달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배달기사들의 안전을 생각해 주문을 자제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7일 배달 앱 배달의민족은 '현재 눈이 많이 와 배달이 지연될 수 있다'는 안내문을 올렸다. 쿠팡이츠는 배달기사들에게 "금일 서울 전 지역 도로 상황이 좋지 않아 파트너들의 안전을 위해 일시적으로 서비스 중단을 진행한다. 새롭게 운행 진행 시 별도로 공지할 예정이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소비자들도 이 소식을 접하고 되도록 주문을 피하자고 입을 모으고 있다. 쇼핑 정보를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한 이용자는 "이런 날씨는 간 보지 말고 바로 (배달을) 중단해야 한다. 돈 몇 푼에 죽음으로 내모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이용자는 "이런 날 배달하는 분들 항상 조심해야 한다"고 걱정하기도 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일 오후 9시 기준 서울은 3.8㎝의 적설량을 기록했다.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장기화하면서 온라인 쇼핑 이용률은 크게 늘었다. 이 가운데 음식이나 식료품 배달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11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처음으로 15조원을 넘어섰다. 배달음식, 간편조리식, 식재료, 건강보조식품 등 음식서비스, 음·식료품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0.6%, 47.1% 늘었다. 같은 기간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0조25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9% 증가했다. 음식서비스, e쿠폰서비스의 순으로 거래 비중이 높았다. 정부도 비대면 외식을 장려하기 위해 쿠폰 지원을 재개했다. 배달 앱에서 주문과 결제를 2만원 이상 총 4회 하면 다음 달 카드사를 통해 환급이나 청구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비대면 수요와 정부의 지원 정책이 맞물려 온라인 주문이 급증하는 시점에 폭설로 길이 막히자 배달이 지연되는 사례가 급격히 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비자가 불편을 호소하기보다 안전사고 예방이 최선이라는 데 생각을 같이하고 있다. 경기도 성남시의 한 온라인 맘카페 회원은 "눈 많이 오는 날 배달하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음식이 엎어지면 오롯이 배달기사가 물어낸다"라며 "오늘 같은 날은 배달음식을 자제하자"고 말해 호응을 얻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1.07 12:1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