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연예일반

[오동진 영화만사] ‘연인’ 과거로 현실을 배우게 하다

조선의 왕 인조가 인기다. 인조는 결코 인기를 얻을 만한 인물은 아니다. 그러니 인조가 아니라 사실은 ‘인조의 시대’가 인기라는 얘기다. 인조는 조선 27대 왕 중에서 가장 못나고 비열하며 정통에서도 어긋난 임금이었다. 서울 인왕산 뒤 냇가인 홍제천에서 칼을 씻고(이후 세검정을 지었다) 산을 타고 넘어가 창덕궁의 광해군을 끌어 내린 후 스스로 왕이 된 인물이다. 당시 이름은 능양군. 광해군은 자신의 이복 삼촌이었다. 그렇게 왕이 된 인조는 병자호란으로 청에게 삼전도의 굴욕을 당했다. 청에 볼모로 잡혀 갔다 돌아 온 자신의 아들 소현세자를 시기해 그를 독살했다는 설이 지금까지 파다하다. 청에 끌려갔던 수많은 여자들을 두고는 몸이 더럽혀졌다는 이유로, 양반 가문의 여자인 경우 호적에 올리지 못하게 하다가 홍제천에서 몸을 씻으면 다시 집안에 받아 들이게 하는 기행 정치를 하기도 했다. 그때 나온 말이 환향녀(還鄕女)이지만 이 시대 이후로 화냥년이란 비속어가 됐다. 그러니 인조는 인기를 모을 수 있는 임금이 아니다. 비난 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영화와 TV드라마는 비극과 비운, 재앙과 음모를 먹고 자란다. 인조의 얘기는 만들어질 때마다 기이하게도 큰 인기를 모은다. 황동혁 감독이 만든 영화 ‘남한산성’이 그랬고 안태진 감독의 영화 ‘올빼미’는 2022년 코로나 후유증이 아직 채 가시기 전임에도 332만명을 모으며 기염을 토했다. 그렇게 한바탕 휩쓸고 지나간 듯 했던 인조시대의 열풍을 요즘 MBC드라마 ‘연인’이 다시 일으키고 있다. 이 드라마는 평균 시청률 12%대를 기록하며 안방에서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붙들고 있다. ‘연인’의 강점은 캐릭터이다. 등장인물들과 그 역을 해내는 배우들의 역할이 크다. 남궁민은 얄미운 캐릭터를 얄미울 정도의 연기력으로 능수능란하게 그렸다. 안은진은 새삼스러운 발견이다. 영화 ‘올빼미’에서 악독한 소용 조씨(인조의 후궁) 역을 맡았을 때 그를 눈에 두지는 못했다.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에도 나왔지만 이번처럼 메인 타이틀 롤은 아니었다. 그러니 ‘연인’은 안은진의 재발견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남한산성’에서 이병헌이 했던 최명길 역은 김태훈이 맡았다. 사극이 거의 처음인 배우인 만큼 시청자들로서는 또 다른 재발견의 연기자인 셈이다. 문성근의 괴력 같은 연기도 이 드라마의 화제성을 올리는데 한 몫하고 있다. 문성근은 디즈니플러스 ‘무빙’을 비롯해 줄기찬 악역 혹은 개성있는 배역으로 인상적인 연기를 펼치고 있다. 쇳소리가 나는 낮은 보이스가 그의 연기의 장점이다. 극작가 황진영이 써내는 발군의 대본은 이 드라마를 고급스럽고 세련되게 만들었다. TV드라마가 빠지기 쉬운 궁중 암투극의 상투성을 넘어서 인조시대의 암운, 조선이라는 거대한 체제와 시대에까지 시청자들을 단숨에 호흡하게 만든다. 조선시대라는 거대 담론에다 한편으로 전쟁과 비정상의 통치 체제를 겪으며 엇갈리는 연인의 러브 스토리를 적절하게 오가는 리듬감이 매우 뛰어나다. 지칠 만 하면 두 남녀의 연애담이 펼쳐지고 손발이 오그라들 때쯤엔 다시 청과 조선, 조선의 궁중 권력 다툼으로 화면을 재배치 한다. 기본적으로 작가 황진영의 역사관이 잘 정제돼 있는 것으로 보이며 과거의 시대를 추상이 아니라 특정 인물과 민중으로 사고하는 식의 구체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인’의 인기는 격변의 시대가 낳은 극적인 에피소드 때문만이 아니라, 그리고 두 남녀가 보여주는 달콤하고 애달픈 사랑 이야기 때문만이 아니라, 그 두 가지가 뒤엉켜 새로운 이야기로 나아가는 변증법적 서사 구조 때문에 인기를 모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인’의 인기는 다분히 사회정치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드라마에는 사람들 각자가 느끼는 시대정신이라는 키워드가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반추하고 미래를 계획하고 싶은 것이다. 그것이야 말로 역사 드라마가 지니는 요체 중의 요체이다. 과거는 미래이고 미래는 과거이다. 사람들은 지금 이 드라마를 통해 크나 큰 혼란기를 겪을 때 과거 사람들은 어떻게 이겨냈을까를 보고 싶어 하는 셈이다. 적어도 드라마를 보면서 위안과 대리만족을 느끼고 싶은 것이다. 허구가 현실을 이기고 가상이 진짜를 앞선다. 허구의 드라마 한편이 우리 사회 현실의 답을 찾고 있다. ‘연인’의 역할이 참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이유다. 좋은 드라마란 이런 작품을 두고 하는 말이다.오동진 영화평론가 2023.11.16 06:05
연예일반

‘올빼미’ 유해진, 왕이 된 남자 [일문일답]

‘왕의 남자’(2005)의 남사당패 광대가 17년 후 ‘올빼미’에서 마침내 왕 인조가 됐다. ‘왕의 남자’ 조감독으로 유해진과 처음 만났던 안태진 감독은 새로운 왕의 얼굴을 그리기 위해 유해진에게 러브콜을 보냈고, 유해진은 기꺼이 응답했다. 영화 ‘올빼미’ 개봉을 앞둔 11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유해진과 만났다. 안태진 감독으로부터 인조 역 제안을 받은 뒤 “내가 왜 왕이냐”고 물었다는 유해진. 기댈 곳은 시나리오뿐이었다는 그는 치열한 고민을 통해 자신만의 인조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데뷔 이래 첫 왕 역이다. “나도 처음에는 의아했다. 그래서 안태진 감독이 처음 찾아왔을 때 ‘왜 나냐’고 물었다. 너무나 왕 같은 배우들이 많은데 왜 나를 왕으로 하고 싶었는지 궁금했다. 그러니까 안 감독이 ‘그런 것에서 벗어나고 싶었다’고 하더라. 그 말 듣고 많이 고민 안 했다. 사실 나한테 왕 역이 언제 또 들어올지 모르지 않나(웃음). 그래서 홀라당 수락을 했다.” -외적인 부분도 신경을 많이 쓴 것 같은데. “의상은 정말 신경을 많이 썼다. 질부터 다르더라. 궁중 의복 하는 분이 와서 의상을 해줬는데, 그 옷을 입으니 사람이 정말 달라지더라. 촐랑대고 그럴 수가 없었다(웃음). 또 수염 길이를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도 고민을 많이 했다. 수염을 길게 붙이니까 제법 폼은 나는데, 너무 뻔한, 많이 봐왔던 그런 임금 같더라. 아예 짧게도 해볼까 하다가 중간점을 찾은 게 영화 속 버전이다.” -첫 임금이었는데 성군이 아니어서 아쉽지는 않았나. “그런 마음은 없다. 나한테 맞는 왕이었다고 생각한다. 내가 평범한 왕을 연기했다면 도리어 매력 없이 보였을 것 같다.” -역사적으로도 많은 부정적 평가가 있는 인물이다. 어떻게 연기하려고 했나. “역사에 있는 인물이기는 하지만 우리 영화가 있는 그대로의 역사를 그린 작품은 아니기 때문에 ‘올빼미’ 안에서의 인조만 생각했다. 이 영화 안에서의 인조는 연민을 가질 여지가 없는 인물 같다. 끝까지 올라가려다 바닥으로 떨어지는 그런 인간을 표현하고자 했다.” -류준열과 세 번째 같은 작품이다. “언론 시사회 때 영화를 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주맹증이라는 장애를 가진 인물을 연기한다는 게 쉽지 않았을 텐데 너무나 능숙하게 극을 쭉 끌고 가더라. 내가 준열이가 출연한 다른 작품을 많이 보지 않아서 몰랐는데, 영화를 보면서 ‘극을 잘 끌고 가는구나’란 생각을 했다.” -현장 분위기는 어땠나. “워낙 무거운 이야기다 보니 현장은 진지한 분위기였다. 나는 원래 무게 있고 진지한 걸 할 때 다른 배우들하고 같이 잘 안 있는 편이다. 쉴 때도 농담하고 그런 분위기가 아니었다. 쉬는 시간엔 그냥 혼자 촬영장 주변을 계속 걸어 다녔다.” -폭발적인 감정신, 구안와사 등 표현하기 쉽지 않은 장면들이 있었을 것 같은데. “기댈 데는 시나리오밖에 없었다. 그냥 시나리오를 보고 자기 최면을 걸었다. ‘그래, 이럴 수 있겠다’ 하고. 그래야 그 배역을 연기해낼 수 있는 거니까. 그러면서 디테일적인 부분을 신경을 썼다. 구안와사의 경우에는 처음에는 특수분장을 하자는 제안을 받았다. 그런데 특수분장을 하면 연기를 하는 데 제약이 있을 것 같아서 내가 그냥 해보겠다고 했다. 안태진 감독도 처음에는 ‘괜찮겠느냐’고 염려스러워하다가 나중에는 ‘(특수분장) 안 하길 잘했다’고 하더라.” -아들 소현세자(김성철 분)의 죽음 앞에 오열하는 장면도 인상적이었다. 마음이 죽은 것처럼 연기하더라. “그 장면에서 진짜 슬피 울었다. 콧물도 나올 정도로(웃음). 그 순간 정말 많은 생각이 있었을 것 같더라. 그래서 내가 연기한 인조라면 그 순간엔 진짜 눈물을 흘렸을 거란 생각을 했다.” -소용 조씨(안은진 분)에게 소리를 지르는 장면에선 정말 왕 같지가 않더라. “그게 ‘올빼미’ 속 인조를 잘 보여주는 장면 가운데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거기서 인조가 조씨의 뺨을 때리지 않나. 리허설 때 안 감독과 안은진이 내가 때리기 좋게끔 자세를 바꿔주겠다고 하더라. 그래서 그렇게 하지 말라고 했다. 그냥 대사를 치고 있으면 내가 어떻게든 때릴 테니까, 그게 이 사람(인조)일 것 같으니까 내가 한 번 알아서 해보겠다고 했다. 그 장면을 보면 인조가 조씨의 뺨을 아래에서 위로 친다. 그렇게 때리리라곤 상상을 못 했을 거다. 그런 장면들이 모여 그 인물이 만들어지는 거라 본다. 아, 물론 진짜 때린 건 아니다. (웃음)” -영화 찍으면서 실제 침도 좀 맞았나. “못 맞았다. 내가 침을 좀 무서워한다. 주사는 괜찮은데 침에는 익숙해지질 않는다.” -‘올빼미’를 기다리고 있을 관객들에게 한마디 해준다면. “극장에서 보면 좋을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영화를 호젓하게 홀로 보는 즐거움도 있지만, 사람들과 함께 봐서 좋은 점도 있지 않나. 극장에 와서 보시면 좋은 시간을 가질 수 있을 만한 영화라고 생각한다. 오셔서 극장의 재미를 느끼고 가시면 좋겠다.” 정진영 기자 afreeca@edaily.co.kr 2022.11.13 12: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