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일반
SM “하이브의 적대적 M&A 반대…가장 큰 피해자=팬덤”
SM엔터테인먼트 CFO 장철혁 이사가 하이브의 적대적 M&A 시도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발표했다.장 이사는 20일 SM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하이브의 적대적 M&A 시도에 대한 반대 입장을 상세히 전했다. 그는 “SM의 새로운 비전과 미래인 ‘SM 3.0’이 발표되자마자, 최대 주주의 지분 매각에 이어 경쟁사의 적대적 M&A 시도가 논의되고 있다. 이것은 그동안 글로벌 넘버 원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의 도약을 꿈꿔왔던 600여 SM 임직원의 치열한 고민과 노력뿐만 아니라 팬, 아티스트들과 함께 추구해 온 SM만의 가치와 자부심까지 모두 무시하는 시도”라고 밝혔다.# ‘특정 주주를 위한 SM’으로 회귀장 이사는 하이브가 지분 14.8%를 인수해 SM의 최대 주주가 되고 공개매수를 통해 약 40%의 지분을 달성하겠다 밝힌 것에 대해 “현 경영진 및 이사회와 협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명백한 적대적 M&A 시도에 해당한다. 하이브는 SM 이사회를 장악함으로써 경영권을 행사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러한 지배구조에서는 전체 주주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의사 결정이 어려워지고 하이브가 주장한 SM의 독립적 경영 보장 역시 지켜지기 어려운 약속이기 때문에 ‘특정 주주를 위한 SM’이라는 잘못된 과거로 회귀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장 이사는 “하이브는 SM에 실사 자료 제공 협조 요청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의사 결정을 내린 이사회가 존재하는 곳이다. 기업 거버넌스가 합리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들이 SM을 인수하게 되면 SM 역시 취약한 거버넌스 아래 놓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SM, K팝 산업이 아닌 하이브만을 위한 사업 시너지장 이사는 “SM IP의 위버스 입점은 SM 자체 플랫폼 사업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며 IP 수익화 관련 별도 사업 부문 운영 중인 하이브에 SM IP 및 미래 수익이 귀속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M 아티스트가 위버스 플랫폼에 입점하는 것이 양사를 위한 관점이 아니라 하이브의 추가 수익 창출만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장 이사는 K팝 시장의 독과점 우려하면서 가장 큰 피해자는 팬덤일 것이라 밝혔다. 그는 “SM과 하이브 양사는 국내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선도하는 대형 기획사다. 두 회사가 합쳐진다면 전체 시장 매출의 60%가량을 차지하는 독과점적 지위를 가지게 될 것”이라며 K팝 시장의 다양성 저해를 우려했다. 이어 “이러한 독과점으로 가장 큰 피해를 겪는 것은 결국 팬들”이라며 하이브 산하 여러 레이블의 공연 티켓 가격 상승을 하나의 예시로 들었다.# 하이브의 의도적인 공정위 사전 심사 회피→SM 미래에 리스크 요인장 이사는 “M&A 추진 과정상 문제도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하이브 측의 구주 인수와 공개매수는 같은 날 공시된 하나의 거래이기 때문에 공정위 사전 심사를 거쳤어야 하는 사안이지만, 공정위 심사 전 유리한 입지를 차지하기 위한 계산을 가진 하이브로 인해 오히려 SM이 안게 될 리스크가 생겼다는 것. 더불어 “지분 인수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추후 이루어질 공정위 심사는 SM의 미래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만일 독과점 이슈로 인해 기업결합신고가 반려된다면 대량의 SM 지분이 시장에 쏟아져 주가 급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어 "조건부 결합 승인을 받을 경우, 하이브에서 공정위가 제시한 시정 조치 실행을 위해 피인수사인 SM의 사업 규모를 축소할 우려가 존재한다. 설사 승인을 받는다 하더라도 심사과정의 지연으로 인해 SM이 그리는 사업전략을 구현해나가는 데에 중대한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세빈 기자 sebi0525@edaily.co.kr
2023.02.20 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