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23건
산업

'고공행진 비만치료제' 누가 먼저 출시할까

올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비만치료제가 국내외에서 최대 이슈가 되고 있다. '비만치료제 말고는 할 얘기가 없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글로벌 기업들의 초대박에 이어 국내 업체들도 조금씩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어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계열 비만치료제가 체중 감량에 심혈관, 신장질환 등 적응증 확장으로 인해 호실적을 내고 있다.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앤드설리번 등을 인용해 올해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노보 노디스크의 ‘오젬픽’이 32조원,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가 29조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나고 밝혔다. 여기에 위고비와 젭바운드까지 더하면 비만치료제의 합산 매출이 102조5000억원 수준에 달한다고 예측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12세 이상 청소년에게 처방될 수 있도록 허가되는 등 비만치료제 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한국 업체 중 누가 가장 먼저 비만치료제를 내놓을지도 관심사다. 현재 진행 상황으로는 한미약품이 가장 앞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비만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 임상 3상 중간 톱라인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톱라인 결과는 최종 임상 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먼저 공개하는 일부 핵심 지표를 뜻한다. 에페글레나타이드가 최대 30% 체중 감량 효과 등이 확인됐다고 공개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6일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으로부터 비만치료제 ‘HM17321’(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1상 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비만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한미약품의 주가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한미약품은 역대 최고가를 이미 경신했고, 이달 49만4000원까지 치솟는 등 ‘50만원 벽’ 돌파를 노리고 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비만치료제에 대한 임상 진행 상황 등을 고려하면 한미약품이 국내 업체 중에는 가장 빠르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일동제약도 지난 9월 비만·당뇨 등을 겨냥한 대사성 질환 신약 후보 물질의 임상 1상 연구 결과, 4주 투약 시 최대 13.8%의 체중 감량 효능이 나타났다고 공개하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 19일 비만치료제 개발과 관련해 출사표를 던졌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먹는 ‘4중 작용 비만치료제’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4중 작용 비만치료제는 1개 약물로 4개 대사·호르몬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해 체중 감량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서 회장은 “4중 작용제 비반응 비율은 5% 이하, 체중 감소율은 약 25%가 될 것으로 본다. 근육 감소 등 부작용을 줄이는 치료제로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명선 DB증권 연구원은 비만치료제와 관련해 “내년에도 비만 및 관련 대사질환에 대한 관심이 트렌드가 될 것이다. 국내 기업들의 신규 비만치료제 개발 및 기존 비만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제형 기술의 성과를 기대할 것”이라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2025.11.21 06:30
골프일반

안소현, 취약 계층 난방비 지원 위한 자선골프대회 4년째 개최

안소현(30·삼일제약)이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을 위한 자선골프대회를 4년 연속 열었다.안소현은 지난 19일 충북 제천시 킹즈락CC에서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 마련을 위한 자선골프대회를 열고 모금된 기부금을 민간구호단체 월드비전에 전액 기부키로 했다.매년 취약계층을 위해 선행을 이어가고 있는 안소현은 자신의 팬까페 회원들과 함께 2022부터 올해까지 4년간 자선골프대회를 마련했다.이날 자선골프대회는 삼일제약, 힐크릭, 볼빅, 유니시티, 엔젠바이오, 렉스필, 베스컨, Argent 골프 등의 후원사에서 협찬한 모자, 일일하우, 토트백, 신년 볼세트, 프로바이오닉 플러스, 풉팝퐁젤리, 퍼리키헤어미스트, 못난이꽈배기 등이 참가기념품으로 제공됐다. 라운드 후에는 안소현의 클럽 애장품 경매가 진행됐으며, 경매를 통해 발생한 수익 역시 월드비전에 기부하기로 했다.안소현은 "올해로 자선골프대회가 4년째를 맞았다. 어려운 이웃을 돕는 자리에 4년째 많은 분과 함께하게 돼 기쁘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어가겠다. 모든 분들이 따뜻한 겨울을 지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대회에 참가해주신 사프란 팬까페 회원들과 후원사 그리고 뜻을 함께한 분들에게 깊은 감사 인사를 드린다"고 말했다.이은경 기자 2025.11.20 11:38
산업

[AI 바이오뉴스] 바이오주 뜬다는데 '뜨거운 톱5' 종목은

11월 13일 AI가 분석한 제약바이오에서 가장 핫한 종목에 대한 결과입니다. (글·사진 출처:AI 검색 플랫폼 퍼플렉시티) 2025년 11월 기준 최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투자자들에게 가장 뜨거운 주식 종목 5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에이비엘바이오대형 글로벌 기술수출 계약 소식 등으로 최근 급등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 알테오젠코스닥 시가총액 1위 달성, 신약 플랫폼과 기술수출 기대감으로 강세.​ 리가켐바이오임상 파이프라인, 기술수출 이슈로 장중 최고가 경신 및 강세.​올릭스RNA 관련 신약 개발, 실적 호조 및 바이오 대장주로 부각.​HLB 그룹주 (HLB, HLB글로벌 등)영국계 자본 투자 유치, 신규 항암제 임상 등 글로벌 성장 기대감.​이외에도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지씨셀 등도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바이오 업종은 글로벌 기술수출, 신약 파이프라인, 투자 유치 등의 모멘텀에 시장의 주목이 쏠려 있습니다. 2025.11.13 15:40
산업

[AI 제약뉴스] 비만·항체신약, 바이오시밀러 등 11월 이슈 '톱3'

11월 05일 AI가 분석한 11월 제약·바이오 업계 이슈에 대한 결과입니다. (글·사진 출처:AI 검색 플랫폼 퍼플렉시티) 2025년 11월 들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눈에 띄는 이슈 3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주요 글로벌 행사 참가 및 AI 신약 개발 역량 부각국내 기업들이 '바이오 유럽 2025', 'CPHI Worldwide', '월드 ADC' 등 글로벌 바이오·제약 행사에 대거 참가하며 AI 기반 신약 개발과 CDMO(위탁개발·생산) 역량을 적극 홍보했습니다. 대웅제약 등은 마이크로니들 혁신 제형과 바이오시밀러 등의 미래 기술로 글로벌 계약 및 신규 고객 확보에 나서며, 한국 K-바이오는 글로벌 기술제휴 허브로 부상 중입니다.​ 비만·항체 신약 및 임상 결과 기대감11월 다양한 국내 기업들이 항체·약물접합체(ADC), 비만·자가면역·알츠하이머 등 다수의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연구 결과 발표와 FDA 허가 기대감에 힘입어 주가 및 투자심리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보로노이, 바이오솔루션, 한미약품, 파로스아이바이오, 디앤디파마텍 등 주요 업체들의 임상 진전이 업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미·중 글로벌 정책 변화와 바이오시밀러 시장 이슈미국 정부의 바이오·의약품 관세 정책 변화, 바이오시밀러 관세 불확실성, 국내 신약개발 과정의 자금난 및 글로벌 경쟁 심화가 업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부는 '글로벌 5대 바이오 강국 도약'을 선언했지만, 자금 부족·높은 진입장벽 때문에 현실과 목표 간 간극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이와 같은 이슈들을 중심으로, 국내 바이오업계는 글로벌 협력과 기술 혁신, 임상 결과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활발한 움직임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5.11.05 10:52
산업

셀트리온, 일라이 릴리 미국 공장 인수 관련 '아일랜드 정부 승인'

일라이 릴리 미국 공장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셀트리온이 이제 미국 정부 승인 절차만 남겨두게 됐다. 3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아일랜드 정부 기관인 경쟁소비자보호위원회(CCPC)로부터 일라이 릴리 미국 생산 시설 인수에 대한 기업결합승인을 최종적으로 허가받았다고 공지했다.셀트리온과 릴리 미국 공장은 일정 규모 이상 매출이 발생하는 아일랜드 법률에 의거해 인수를 위한 기업결합승인 획득이 필수적이다. 이로써 규제 승인 절차는 미국 기업결합신고만을 남겨놓은 상황이다.셀트리온은 "현재까지 추진하고 있는 과정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다"며 "회사는 남은 절차를 성실하고 신중하게 준비하여 조속한 시일 내 승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김두용 기자 2025.11.03 08:30
산업

코스맥스엔비티, 블루메이지와 바이오 기반 항노화 소재 공동개발

코스맥스그룹의 건강기능식품 ODM(연구·개발·생산) 기업 코스맥스엔비티는 지난 27일 글로벌 바이오소재 기업 블루메이지(Bloomage Biotechnology Corporation)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최근 밝혔다.코스맥스엔비티는 고령화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항노화 제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번 협약을 추진했다.블루메이지는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글로벌 바이오소재 선도기업으로 전 세계 70여개국에 진출했다. 특히 히알루론산 분야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이다. 생명공학 기술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바이오소재를 연구·개발하며, 제약·화장품·식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코스맥스엔비티와 블루메이지는 최신 바이오 기술을 적용한 소재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최근 바이오업계는 물론 화장품과 건기식 업계에선 생물학적 발효와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기능성분 개발과 상용화 사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생물학적 기술을 활용해 뛰어난 기능성을 보여주면서도 친환경성까지 갖춘 원료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코스맥스엔비티와 블루메이지는 이러한 산업 흐름에 맞춰, 타깃 물질 선정부터 연구개발, 생산, 공급까지 전 과정을 긴밀히 협력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예정이다.향후 양사는 일반식품 및 건기식 분야에서 공동연구, 품질 고도화,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등 다양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장기적인 공동 성장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김남중 코스맥스엔비티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기술과 시장 역량을 상호 공유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함께 이끌어갈 것”이라며 "코스맥스엔비티가 미래 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지영 기자 2025.11.02 11:45
산업

일동제약, P-CAB 신약 물질 글로벌 상업화 추진

일동제약그룹이 P-CAB(칼륨경쟁적위산분비억제제) 신약 물질의 글로벌 상업화를 겨냥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일동제약은 ‘CPHI’와 ‘BIO-Europe’ 등 유럽 지역에서 열리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비즈니스 행사에 참가, 대원제약과 공동 개발 중인 P-CAB 신약 후보물질 ‘파도프라잔’과 관련한 글로벌 파트너링 활동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CPHI’와 ‘BIO-Europe’ 행사는 각각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 11월 3일부터 5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될 예정이다.파도프라잔은 위벽 세포의 양성자 펌프(H+/K+-ATPase)에 작용해 칼륨 이온(K+)과 수소 이온(H+)의 교환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위식도 역류 질환 치료제이다.해당 약물은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계열사인 유노비아가 발굴해 비임상 및 임상 1상 연구를 거쳐 대원제약에 라이선스 아웃한 신약 후보물질로, 현재 국내에서 임상 3상 시험 단계에 진입해 있다.지난해 유노비아는 대원제약과 파도프라잔 공동 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대원제약이 파도프라잔에 대한 임상 2·3상과 허가 추진 등 후속 개발 작업을 수행하고 한국 내 개발 및 상용화 등의 권리를 갖는 한편, 유노비아는 선급금과 상업화에 따른 로열티 등을 수령하는 조건이다.앞서 유노비아가 수행한 임상 1상 시험에서 파도프라잔은 기존 P-CAB 약물 대비 약효 발현 속도가 빠르고 위산 분비 억제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야간산분비(NAB) 저해 측면에서 뛰어난 효능을 보였다. 또 약물상호작용(DDI) 및 간독성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파악돼 안전성 면에서도 차별화된 약리적 특성을 확인했다. 대원제약이 수행한 임상 2상에서는 미란성 위식도 역류 질환 환자의 점막 결손 치료율 및 자각 증상 개선도 측면에서 활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효능을 나타냈다. 또 안전성과 내약성 또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대원제약은 임상 3상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취득, 신약 상용화를 위한 후속 개발 작업에 돌입한 상태다.일동제약그룹 관계자는 “글로벌 위장관 치료제 시장에서 P-CAB 제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유노비아는 파도프라잔과 관련한 해외 개발과 상업화 등 글로벌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2041년까지 유지되는 물질 특허를 갖고 있어 라이선스 아웃을 비롯한 글로벌 사업 추진에 유리한 요건을 갖춘 상태”라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2025.10.29 17:11
스포츠일반

휴온스, 건강한 그룹 이미지로 '성장'과 '근성' 스토리 이어간다

휴온스그룹이 스포츠마케팅을 통해 건강한 그룹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올해도 변함없는 지원과 믿음을 통해 ‘성장’과 ‘근성’의 스토리를 이어가고 있다. 휴온스 여자프로 골프단은 지난 2018년 창단 이래 실력과 잠재력을 겸비한 선수단 구성을 바탕으로 올 시즌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휴온스 골프단은 올 시즌 기존 김소이, 강지선, 조은채에 박도영, 윤혜림을 새로 영입해 전력을 강화했다. 특히 2021년부터 합류한 김소이는 선수단 주장으로 지난달 5일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900라운드 참가’ 기록을 달성하며 성실함과 실력을 증명했다. KLPGA 1부 투어에서 900라운드 기록은 역대 8번째다. 휴온스 당구팀 ‘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는 지난 2021년 제약업계 최초로 출범한 이래 꾸준히 전력을 다져왔다. 창단 이래 최초로 선수단 변동 없이 2025~26 시즌을 맞았다. 주장인 최성원과 이상대, 김세연, 차유람, 이신영, 하비에르 팔라손, 로빈슨 모랄레스 등이 조화를 이뤄 경기를 펼치고 있다.올 시즌 개인리그에서 두드러지는 활약을 펼치고 있다. 차유람은 2025~26 시즌 개막전인 ‘우리금융캐피탈LPBA 챔피업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최성원은 ‘SY 베리테옴므PBA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기록하며 명불허전의 기량을 입증했다.휴온스는 골프단 및 당구팀 운영 외에도 다양한 스포츠마케팅 활동을 펼치며 건강한 기업문화와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다. 2022~23 시즌부터 프로배구 V리그에 장내 광고 후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장애인 스포츠 선수들의 꿈과 도전을 지원하는 일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 2020년부터 장애인 스포츠 선수들을 채용·운영해 휴온스글로벌, 휴온스, 휴온스바이오파마 소속으로 뛰는 선수가 총 19명이다. 휴온스그룹 관계자는 “적극적인 스포츠마케팅 활동을 통해 휴온스그룹의 ‘글로벌 토탈 헬스케어’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있다”며 “앞으로도 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김두용 기자 2025.10.01 06:00
산업

SK바이오팜, 세계 뇌전증 2위 시장 일본에 'NDA' 제출

SK바이오팜의 파트너사인 오노약품공업이 일본에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에 대한 신약허가를 신청했다. SK바이오팜은 30일 오노약품공업이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에 세노바메이트의 신약허가신청(NDA)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일본의 뇌전증 환자 수는 약 100만명에 달하며, 이 중 30%는 기존 항경련제로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번 NDA 제출의 바탕이 된 임상 3상(YPK3089C035)은 한국, 중국, 일본 성인 부분 발작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로, 기존 항경련제 치료에도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서 세노바메이트의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이를 토대로 SK바이오팜의 중국과 한국 파트너사는 각각 지난해 말과 올해 초 NDA를 제출했고, 이번에 일본 파트너사도 NDA를 제출했다.SK바이오팜은 2020년 10월 일본 오사카에 본사를 둔 R&D 중심 제약기업 오노약품공업과 일본 내 세노바메이트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허가 신청·승인 마일스톤 및 상업화 단계에 따른 세일즈 마일스톤과 로열티를 수령하게 된다.SK바이오팜은 미국 직판과 기술 수출을 통해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주요 시장 25개국에서 세노바메이트를 상업화했다.현재는 적응증 및 연령 확장을 통해 시장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최근 적응증 확장을 위해 진행한 청소년 및 성인 대상 전신 발작(PGTC Seizure)에 대한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확보했다. 임상 세부 결과는 12월에 열리는 2025 미국뇌전증학회(AES)에서 발표될 예정이다.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일본은 미국에 이어 단일 국가로서 세계 뇌전증 시장 2위에 해당하는 주요 시장"이라며 "이번 NDA 제출로 세노바메이트가 한·중·일 3개국 모두에서 상업화 절차에 돌입한 것은 아시아 시장 내 입지 확대에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2025.09.30 17:00
생활문화

[AI 제약뉴스] 추석 선물로 인기, 건기식 '베스트5'

9월 30일 AI가 분석한 추석 선물로 주목 받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결과입니다. (글·사진·그래픽, 출처:AI 검색 플랫폼 퍼플렉시티) 2025년 추석 명절을 앞두고 제약사에서 선물로 가장 인기를 끌거나 주목받는 건강기능식품 5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홍삼 선물세트(정관장, 종근당 등)추석 건강식품의 스테디셀러로 피로 회복, 면역력 강화, 활력 증진을 위한 제품.오메가3(혈행 건강 제품)고지혈증, 혈행 개선, 심혈관 보호를 위해 중장년층 선호도가 높음.비타민·종합영양제(멀티비타민 등)남녀노소 실용적으로 챙길 수 있고, 가족 단위 선물에 적합.루테인(눈 건강기능식품)스마트폰과 PC 사용이 늘어난 현대인의 눈 건강을 지원하는 제품으로 인기.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장 건강과 면역력 증진을 위한 기능성 유산균 보충제가 선물용으로 각광. 각 제품군은 제약사별 다양한 브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절 특가나 프리미엄 패키지 등이 주요 판매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025.09.30 16:5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