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산업

SK, 글로벌 물류사 지분 투자의 ‘마법’ 8년 만에 얼마 벌었나

SK㈜가 글로벌 물류사 ESR케이만 투자를 통해 원금 2배 이상의 ‘대박’ 성과를 거뒀다. 9일 투자은행(IB) 업계 등에 따르면 SK㈜는 최근 ESR케이만이 홍콩증권거래소 상장 폐지를 통해 비상장 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구주 양수도를 통해 보유 지분 전량의 매각을 완료한 것으로 확인됐다.2016년 중국 물류업체 이샹과 싱가포르 물류 부동산 투자사 레드우드가 합병해 설립된 ESR케이만은 2024년말 운용자산(AUM)이 1500억 달러(약 210조원)에 이르는 글로벌 물류기업이다. SK㈜는 ESR케이만이 홍콩 증시에 상장되기 전인 2017년 8월과 2018년 9월 두 차례에 걸쳐 4900억원을 투자해 지분 약 11%를 보유한 3대주주로 등극했다.이후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이 가속화하면서 2019년 11월 홍콩 증시에 상장한 직후 ESR케이만 주가는 공모가(16.8홍콩달러) 2.5배 수준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SK㈜는 상장 이듬해인 2020년 9월 전체 발행 주식의 4.6%에 해당하는 1억4000만주를 주당 22.5홍콩달러에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해 4800억원을 확보했다. 보유 지분의 약 40% 매각만으로 투자 원금 대부분을 회수한 것이다.이어 2021년 12월 지분 3.1% 블록딜을 통해 추가로 3500억원의 이익을 거뒀다. 다시 올해 2분기 지분 1.4%를 1290억원에 매각한 데 이어 지난 7월 잔여 지분 1.04%도 전량 처분했다.잔여 지분 처분에 따른 이익 규모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올해 상반기 반기보고서 상 잔여 지분의 장부 가치는 약 985억원 수준으로 반영됐다.이로써 SK㈜는 4900억원을 투자한 뒤 8년간 1조575억원을 회수함으로써 5675억원의 차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체 회수액이 투자원금의 2배가 넘는다. 한편 SK㈜는 ESR케이만 이외에도 차량공유 플랫폼인 쏘카, 중국 식음료 유통기업 조이비오, 베트남 마산그룹의 보유 지분과 투자 증권 등 총 1조8000억원 규모의 포트폴리오를 매각 예정 자산으로 분류해 반기보고서에 포함했다. 김두용 기자 2025.09.09 10:01
경제

ESG 투자에 딱인 '대체육' 베팅하는 정용진·최태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재계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친환경 기조의 대체식품도 덩달아 주목받고 있다. 대기업의 수장부터 관심을 드러내면서 미래의 먹거리로 부각되고 있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대표적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식물성 식품 등을 생산하는 미국의 농식품 스마트 스타트업인 벤슨 힐바이오시스템에 2차 투자를 결정했다. 정용진 부회장은 지난해 벤슨 힐에 1차 투자에 이어 올해 하반기에 2차 투자를 하며 대체육(식물성 고기)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투자 규모는 말할 순 없지만 1000억원 단위의 많은 금액은 아니다"며 "전 세계적으로 식량 안보가 중요해 이마트도 유망한 식품군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다. 벤슨 힐은 농산물을 스마트하게 관리하는 플랫폼이 있고, 대체육이 주력 상품 중 하나인 회사”라고 말했다. 정용진 부회장은 대체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마트에서는 14개종의 식물성 단백질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최근 동물성 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식물성 재료 푸드 4종을 출시했다. 여기에 신세계푸드도 독자 브랜드 ‘베러미트’를 앞세워 대체육 시장에 진출했다. 베러미트는 신세계가 2016년부터 직접 개발에 나서며 공을 들인 식품이다. 신세계푸드 노브랜드 버거의 대체육 너겟인 ‘노치킨 너겟’ 역시 완판 행진을 할 정도로 입소문이 나고 있다. 축산업은 지구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꼽힌다. 전 세계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중 15%가 축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 세계 모든 교통수단이 발생시키는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많은 규모다. 'ESG 경영 전도사'로 불리는 최태원 회장도 소셜미디어(SNS)을 통해 대체식품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지난 3일 최 회장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미국 현지에서 구매한 것으로 보이는 대체육과 아이스크림, 버터, 우유 등 대체 식품들의 사진을 올렸다. 최 회장은 "이 중 1등은 단연 발효단백질 바닐라 아이스크림이다. 대체 유단백질로 바닐라 맛을 살리기가 가장 어렵다"고 말했다. 이 아이스크림은 SK가 작년 540억원을 투자한 미국 퍼펙트데이의 제품이다. 2014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퍼펙트데이는 2019년 세계 최초로 소에서 추출한 단백질 유전자로 발효유 단백질 생산에 성공한 바 있다. 대체 단백질은 대규모 동물 사육 없이 혁신 기술로 단백질을 구현해 농축산업 탄소배출 감축, 식품 안전성 등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ESG 투자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SK는 최근 미국의 대체 단백질 개발사 네이처스파인드에 약 290억원을 투자했다. 이어 중국 식음료 기업인 조이비오 그룹과 1000억원 규모의 중국 대체식품 투자 펀드 조성을 포함한 투자 협력 양해각서를 맺었다. 여기에 유럽·북미·아시아 등 22개국에 진출한 영국의 대체육 생산 기업 미트리스팜 투자도 추진 중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전체 단백질 식품 시장의 2%에 불과한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은 2035년에는 11%(약 290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MZ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생)는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고,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환경 문제 해결의 대안이 되고 있는 대체육의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8.12 07: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