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사회

카눈 오전 1시쯤 휴전선 넘어 4만 가구 정전...항공 11일 정상운행

제6호 태풍이 카눈이 11일 오전 1시쯤 휴전선을 넘어 강화 북쪽에서 계속 북상하고 있다. 전국에서 이번 태풍으로 제방 유실, 주택 침수 등 361건의 시설 피해가 집계됐다.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6시 현재 공공시설 184건, 사유시설 177건의 피해가 집계됐다고 밝혔다. 도로 침수·유실은 64건(부산 39건, 경북 11건 등)이며 토사 유출은 6건, 제방 유실 10건, 교량 침하 1건, 가로수 쓰러짐을 포함한 기타 98건 등이다.주택 침수는 30건(강원 19건, 대구 11건)이며 주택 파손은 3건이 집계됐다. 상가 침수는 16건(대구 15건)이며 토사 유출은 8건(부산 7건), 간판 탈락 등 기타는 118건이다. 집계되는 시설 피해 건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부산·울산, 대구, 경남 등지에서 4만358가구가 정전돼 현재까지 94.2%가 복구됐다. 경남, 전남 등지의 농작물 침수나 낙과 등 피해는 여의도(290㏊)의 3.5 배에 달하는 1019㏊다. 농경지 20.2ha도 유실됐다.비닐하우스 파손 규모는 0.7ha이며 토종닭 폐사 150마리도 집계됐다.이번 태풍으로 전날 대구 군위군에서는 하천에서 67세 남성이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대구 달성군에서 전동휠체어를 타고 가던 60대 남성이 소하천에 추락한 후 실종됐다. 이들은 태풍 인명피해가 아닌 안전사고로 집계됐다.태풍으로 일시대피한 사람은 17개 시도 125개 시군구에서 1만1705가구 1만5862명이다. 경북이 9804명으로 가장 많고 경남은 2967명, 전남은 977명, 강원은 869명이다. 일시대피자 가운데 7353가구 9741명은 귀가했으나 나머지는 마을회관 등 임시주거시설이나 친인척집에 머무르고 있다.현재 도로는 676곳이 통제됐다. 국도 20호선 경주 건천면 도로가 침수·유실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둔치주차장 290곳, 하천변 600곳, 해안가 199곳도 통제 상태다. 국립공원 21개 공원 611개 탐방로와 숲길 전 구간 등도 통제 중이다. 여객선 24개 항로 28척 운항이 중단됐으며 항공기 결항은 없다. 철도는 지반약화나 낙석우려, 피해복구 진행 등의 이유로 영동선(강릉∼석포), 태백선, 경북선, 경전선, 충북선(일부) 등 5개 노선 운행이 중지됐으며 이 외 노선은 시설 점검이 끝나 정상 운행중이다.9일 이후 누적 강수량은 오전 5시 기준 강원 고성 402.8㎜, 경남 양산 350.0㎜, 경북 경주 318.0㎜, 울산 305.0㎜, 전북 남원 275.0㎜, 부산 263.5㎜ 등이다.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카눈은 오전 5시 현재 강화 북쪽 약 80km 육상에서 시속 13km로 북북서진하며 더 북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심기압은 994hPa이며 최대풍속은 시속 65km(18m/s)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8.11 07:33
연예

바비·마이삭보다 센 하이선…한반도 종단, 수도권이 위험하다

제9호 태풍 ‘마이삭’이 한반도를 빠져나가자마자 더 강력한 세력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다가오고 있다. 기상청은 3일 하이선이 오후 3시 기준 괌 북서쪽 1100㎞ 부근 해상에서 시속 22㎞의 속도로 서북서진 중이라고 밝혔다. 태풍의 중심기압은 965hPa, 강풍반경은 340㎞, 최대풍속은 강한 수준인 초속 37m다. 하이선은 4일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해 일본 오키나와 동쪽 해상을 지나는 6일에는 최대풍속이 초속 53m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 바비(초속 45m), 마이삭(초속 49m)보다도 위력이 세다. 역대 가장 바람이 셌던 2003년 태풍 매미의 최대풍속은 초속 51.1m였다. 하이선은 일본을 지나 7일 새벽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대구, 춘천 부근 지역을 지나며 한반도 중앙을 남에서 북으로 관통하는 게 현재 가장 가능성이 큰 이동 경로다. 하이선이 부산 부근을 지나는 7일 오후 3시쯤 최대풍속은 정점을 지나 다소 약해진 초속 39m로 예상된다. 하지만 여전히 강한 수준인 데다 상당수 지역이 태풍의 중심 주변에 놓이면서 피해 규모는 바비나 마이삭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서울과 수도권 지역도 태풍을 직접적으로 맞게 될 수 있다. 하이선이 서울과 가장 가까워지는 시점은 7일 오후 7시, 거리는 80㎞로 예상됐다. 윤기한 기상청 통보관은 “고수온 해역을 거쳐오기 때문에 강한 태풍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강도도 변동성이 크고 일본 열도를 거쳐서 올 경우 동해안 인근으로 진로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마이삭이 할퀴고 간 한반도 동쪽 곳곳에선 피해가 속출했다. 부산에서는 2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날 오전 1시35분쯤 부산 사하구 한 아파트에서 60대 여성 A씨가 흔들리는 베란다 창문에 테이프를 붙이려다 유리가 깨지면서 크게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부산 기장군에서는 70대 남성이 오전 2시 40분쯤 태풍으로 흔들리는 지붕을 고정하다가 추락사했다. 부산에서는 경찰 추산 부상자도 14명에 달했다. 오전 2시17분 부산 해운대 미포선착장에서 50대 남성이 방파제에 들어갔다가 파도에 휩쓸려 왼쪽 다리가 부러졌다. 울산에서도 이날 오전 1시55분쯤 남구 선암동의 집 창문이 파손되면서 1명이 다쳤다. 고리원전 4기도 발전을 멈췄다. 이날 0시59분 신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신고리 2호기, 고리 3호기, 고리 4호기가 순차적으로 멈췄다. 원자로 정지로 인해 외부에 방사선 영향은 없으며, 정지된 원자로는 안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는 발전소 밖 전력계통 이상으로 추정하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3일 오후 4시30분 현재 전국에서 1550건의 시설피해가 보고됐다. 공공시설 피해가 825건, 사유시설 피해가 725건이다. 사유시설 피해는 주택침수 40건, 주택파손 76건, 차량침수 16건, 간판파손 146건, 건물외벽 파손 44건, 선박 침몰·파손 24건 등이었다. 벼 쓰러짐, 낙과, 밭작물 침수 등 농경지 피해면적은 5151㏊로 잠정 집계됐다. 천권필 기자, 부산·제주·경남·울산·전북=이은지·최충일·위성욱·백경서·김준희 기자 feeling@joongang.co.kr 2020.09.04 07:47
경제

충북 시간당 60㎜ 폭우…산사태, 주택 침수 피해 속출

30일 오전 충북 지역에 시간당 60㎜ 안팎의 장맛비가 내려 주택침수 등 피해가 속출했다. 충북도 등에 따르면 갑자기 내린 폭우에 나무가 쓰러지거나 하천에 고립된 사람이 구조됐다. 이날 오전 6시40분 제천시 송악면 월악리에서 산사태로 쏟아진 토사가 길을 막아 복구 중이다. 충주 대소원면에는 주택 지붕 위로 나무가 쓰러졌다. 청주시 흥덕구 원평동에는 논 1만㎡와 비닐하우스 12동이 침수됐다. 이날 오전 3시쯤 흥덕구 송절동 배수펌프장 인근 도로가 침수됐고, 낙뢰로 배수시설이 고장 나 복구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오전 3시40분쯤 흥덕구 오송읍 삼정리 인근 왕복 4차로에 1t가량의 토사가 덮쳐 1차로 통행이 제한됐다. 옥산면과 오창읍에서도 각각 주택 1채, 2채가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청주 무심천 수위는 통제선(60㎝)을 넘어선 230㎝로 높아지면서 하상 도로 전 구간(내사교∼방서교)이 통제되고 있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4시15분쯤 증평군 증평읍 굴다리에 침수된 차량에서 고립된 1명을 구조했다. 오전 5시38분에는 진천군 초평면 용저리 지전교 하천 인근에서 김모(73)씨 등 3명을 구했다. 오전 6시55분쯤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에선 낚시하던 2명이 불어난 물에 고립돼 가까스로 구조됐다.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에선 캠핑카가 침수됐으나 안에 사람이 타고 있지는 않았다. 청주기상지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현재 진천 광혜원 150㎜, 청주 오창 136㎜, 괴산 105㎜, 충주 노은 113㎜, 진천 99㎜, 증평 92㎜의 강수량이 기록됐다. 청주, 보은, 옥천, 영동, 증평, 괴산에는 호우경보가 내려졌고 충주, 제천, 단양에는 호우주의보가 발효 중이다. 특히 청주 오창에는 이날 오전 1시45분부터 1시간 동안 69㎜의 폭우가 쏟아졌고 괴산, 진천, 청주 청남대에는 각각 64.5㎜, 48.5㎜, 41.5㎜의 시간당 강우량이 기록됐다. 도내 전역에는 31일 오전까지 50∼150㎜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충북도 관계자는 “내일까지 50∼150㎜, 많은 곳은 200㎜ 이상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보돼 산사태나 축대 붕괴, 저지대 침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청주=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2020.07.30 10:1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