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산업

미래 먹거리인데...롯데헬스케어 기술 도용 의혹

롯데그룹이 미래 먹거리로 주목하고 있는 롯데헬스케어가 제품 도용 의혹을 받고 있다. 19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기술 도용 의혹과 관련해 알고케어에 기술침해 행정조사 전담 공무원을 파견해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알고케어는 롯데헬스케어가 2021년 9월 알고케어가 개발 중이던 카트리지 방식의 영양제 디스펜서(정량 공급기) 제품을 도입·투자하고 싶다며 알고케어 측과 미팅을 했다. 이후 롯데헬스케어는 올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3'에서 영양제 디스펜서 제품 '캐즐'을 공개했다.알고케어는 롯데헬스케어가 2021년 미팅을 통해 영양제 디스펜서에 대한 사업 전략 정보를 획득·도용해 캐즐을 개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자사 제품과 캐즐이 카트리지 구조와 원리, 디스펜서 컨셉 등 면에서 비슷하다는 것이다.알고케어는 올해 CES 2023에서 알고케어 제품을 전시하던 중 '롯데헬스케어 제품과 유사하다'는 일부 관람객 반응을 통해 캐즐을 알게 됐다며 공정거래법과 부정경쟁방지법 위반으로 판단해 법적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이에 대해 롯데헬스케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롯데헬스케어는 신사업 검토 시점부터 이미 맞춤형 건강관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건강기능식품 소분 판매에 대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었다"고 맞서고 있다.알고케어는 헬스케어 스타트업으로 2019년 11월에 설립됐다. 알고케어는 이 제품으로 CES에서 혁신상을 받았고 오는 3월 출시를 앞두고 있다.중소벤처기업부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사건 인지 즉시 기술침해 행정조사 전담 공무원과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소속 전문가인 변호사를 파견해 중소기업의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중기부는 피해기업이 기술침해 행정조사와 기술분쟁조정을 신청하면 신속히 조정이 성립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조정 불성립 시 소송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또 피해기업의 아이디어 탈취 대응을 위해 디지털포렌식을 통한 증거자료 확보, 법무지원단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 보호와 관련한 법령상의 위법 여부 및 신고서 작성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아울러 기업 요청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 특허청 등 소관 부처 신고를 위한 법률 자문도 지원하기로 했다.중기부는 "새 정부는 기술탈취에 따른 중소기업 피해를 신속하고 실질적으로 구제하기 위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근절'을 국정과제로 추진 중"이라며 "기술탈취 피해구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강화하고 법원 자료요구권 신설 등 법·제도를 정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1.19 10:35
경제

삼성전자 기술 탈취 의혹에 국회 기자출입증 도용 물의

삼성전자가 기술 탈취 의혹과 기자출입증 무단 도용으로 논란을 빚고 있다. 지난 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삼성전자의 중소기업 기술탈취 의혹을 제기됐다. 정의당의 류호정 국회의원은 한 중소업체가 개발한 스마트폰 액정 보호필름 부착 기술을 탈취 여부를 삼성전자에 물었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이종민 삼성전자 상무는 의혹을 부인하다 류 의원의 녹취 공개에 롤러 키트를 제공한 적이 있다고 시인했다. 이어 류 의원이 “삼성전자에서 기술이 담긴 도면도 요구했다고 한다”라며 비판하자 이 상무는 재발 방지를 약속하며 물러섰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류 의원의 폭로로 알려진 기자출입증 도용에 대해서는 거듭 사과하기도 했다. 삼성전자의 대관업무 담당 임원이 국회 출입기자 등록증을 이용해 국회 건물을 출입하며 논란이 빚어졌다. 삼성전자는 8일 입장문에서 "자사 임원이 부적절한 방법으로 국회를 출입한 것에 대해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이외 국회 절차를 위반한 사례가 더 있는지 철저히 조사하고 있다. 잘못된 점이 있으면 반드시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에 따르면 물의를 빚은 해당 임원 A씨는 책임을 지겠다며 사의를 표명했고, 회사는 이를 즉각 수리했다. 삼성의 임원 A씨가 국회 출입기자증으로 국회를 드나들었다. 최근 삼성전자 부사장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신청하자 A씨가 매일 국회를 찾아간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삼성이 정치권 로비 등을 위해 유령 언론사를 만든 게 아니냐는 의혹까지 불거지기도 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10.11 14:4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