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크래프톤 김정훈·김창한 비오너 임원 중 주식부호 1, 2위

주식 재산 100억원이 넘는 비오너가 주식 부호가 27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이달 6일 기준 시총 2조원이 넘는 149개 주식종목 중 오너 일가를 제외한 비오너 출신 임원과 주주의 주식평가액을 분석한 결과, 주식 재산이 10억원을 넘는 임원은 165명으로 집계됐다.이들의 주식평가액 규모별로 보면 10억원대가 72명으로 가장 많았고, 20억원대 34명, 30억원대 8명, 40억원대 10명, 50억∼100억원 14명, 100억원 이상 27명으로 조사됐다. '100억 클럽'에 가입한 비오너 주식 부자는 지난해 8월 조사 당시(22명)보다 5명 늘었다.비오너 주식 부자 1·2위는 크래프톤그룹에서 나왔다. 크래프톤그룹 계열사인 라이징윙스의 김정훈 대표이사는 크래프톤 주식을 84만3275주 보유하고 있다. 이달 6일 종가로 곱한 주식평가액은 2723억원으로 파악됐다. 여기에는 크래프톤 주가가 작년 조사 당시 15만5100원에서 올해 32만3000원으로 108.3% 뛴 것이 크게 작용했다.김창한 크래프톤 대표이사는 55만4055주를 보유, 주식 재산 1771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크래프톤에서는 이들 2명 외에도 송인애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대표이사(428억원)와 류성중 주주(292억원)의 주식재산이 100억원을 넘었다.삼성전자가 지분 투자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이정호 대표이사는 작년 1위에서 올해 3위로 밀려났다. 레인보우로보틱스 주식 132만5060주를 보유 중인 이 대표의 주식 평가액은 1731억원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에서는 허정우 기술이사(509억원)와 임정수 기술이사(437억원)가 400억원이 넘는 주식 재산을 보유했다.손인호 실리콘투 부사장(956억원)과 지희환 펄어비스 최고기술책임자(756억원), 윤재민 펄어비스 부의장(721억원), 스콧 사무엘 브라운 하이브 사내이사(599억원), 민경립 시프트업 부사장(562억원) 등도 주식 재산 규모가 500억원을 넘었다.작년 기준 매출 100대 기업 중에서는 김정남 DB손해보험 부회장(121억원)이 주식재산 100억 클럽에 속했다. 금융권에서는 김용범 메리츠금융지주 부회장의 주식 재산이 작년 164억원에서 올해 313억원으로 늘었다.반면 국내 매출 1위 기업인 삼성전자에서는 6일 기준으로 2만8000주를 보유한 박학규 사장(19억원)의 주식 재산이 비오너 임원 중 가장 많았다. 한종희 부회장(17억원)이 뒤를 이었다.SK하이닉스에서는 2만2114주를 보유한 박정호 부회장(34억원)의 주식 가치가 비오너 중 가장 컸고, 현대차에서는 호세 무뇨스 사장(22억원)의 주식평가액이 가장 높았다.오일선 CXO연구소장은 "최근에는 게임업체 등에서 활약하는 30∼40대 중에서 100억원 넘는 신흥 주식 부자가 다수 배출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9.12 14:33
산업

비오너 주식재산 1위, 어떤 기업의 CEO?

주식재산이 100억원 이상인 비오너 주식부자가 22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31일 '2023년 국내 주식종목 중 비오너 임원 및 주주 주식평가액 현황' 분석 결과, 주식평가액이 100억원과 1000억원이 넘는 비오너 주식부자가 각 22명과 3명이라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지난 25일 종가 기준 시총 규모가 2조원이 넘는 141개 기업이다.비오너 주식부자 1위는 삼성전자 관계사에서 나왔다. 삼성전자가 10% 넘게 지분 투자를 한 레인보우로보틱스에서 나왔다.이정호 대표이사는 레인보우로보틱스 주식을 132만5060주를 보유해 주식평가액이 1428억원에 달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임원 중 100억원 이상의 주식부자가 2명 더 있다. 허정우 기술이사가 420억, 임정수 기술이사가 361억원 기록했다. 특히 임정수 기술이사는 34세로 30대로 주식부자가 됐다. 전체 2, 3위는 게임 회사에서 나왔다. 2위는 크래프톤 계열사인 라이징윙스의 김정훈 대표이사였다. 김 대표가 보유한 크래프톤 주식은 84만3275주로 평가액은 1307억원을 넘겼다.펄어비스의 지희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펄어비스 주식을 224만3520주(주식평가액 1008억원)를 보유해 3위에 올랐다.펄어비스의 윤재민 부사장(962억원)과 하이브의 스콧 사무엘 브라운 사내이사(858억원)는 주식평가액 4∼5위에 이름을 올렸다.또 올해 상반기 주가 상승으로 이목을 끈 에코프로비엠에서는 최문호 사장(417억원), 김병훈 주주(384억원), 허태경 주주(273억원) 등 3명이 주식평가액 100억원을 넘어섰다.작년 6월 초 같은 조사에서 비오너 주식부자 1위를 차지했던 에스디바이오센서 이효근 대표이사의 주식평가액은 2201억원에서 495억원으로 급감했다. 에스디바이오센서 주가는 종가 기준 작년 6월 2일 4만8900원에서 이달 25일 1만100원으로 급감했다.한편 조사 결과, 비오너 출신 임원이 1주 이상 주식을 보유한 경우는 3568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주식재산이 10억원 넘는 임원은 173명으로 집계됐다. 이를 다시 주식평가액 규모별로 살펴보면 10억원대가 80명으로 최다였다. 이어 20억원대 27명, 30억원대 24명, 40억원대 9명, 50억~100억원 미만이 11명이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8.31 11:59
경제

비 오너가 임원 중 1000억원 이상 주식 갑부 4명은

100대 대기업의 비 오너가 임원 중 100억원 이상의 주식부호가 18명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식재산 1000억원이 넘는 갑부도 4명이나 됐다. 한국CXO연구소가 14일 ‘국내 시가총액 100대 기업 내 비 오너 임원 주식평가액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시가총액 100대 기업(이달 9일 기준) 중 오너 및 오너 일가를 제외한 비 오너 출신 임원을 대상으로 제한했다. 보유 주식은 금융감독원에 보고된 현황(7일 기준)을 참고했고, 주식평가액은 보유 주식 수에 지난 9일 종가를 곱한 금액으로 산출했다. 주식부자 1위는 서용수 펄어비스 사내이사다. 펄어비스 창립 멤버인 서용수 이사의 공식적인 업무는 그래픽개발 총괄이다. 서 이사는 해당 회사 주식을 336만2595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일 종가 8만300원으로 계산된 서 이사의 주식평가액은 2700억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2위는 남궁훈 카카오게임즈 대표이사다. 남궁 대표이사는 카카오게임즈 주식 3%, 241만2500주를 갖고 있다. 9일 종가 8만4500원으로 곱한 지분가치가 2038억원이나 됐다. 카카오게임즈가 처음 상장된 작년 9월 10일 기준 남궁훈 대표이사의 주식가치는 1505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1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500억원 이상 불었다. 3~5위는 모두 펄어비스 임원들이 이름을 올렸다. 윤재민 경영총괄 부사장(224만400주), 지희환 프로개발 총괄 사내이사(221만3520주), 정경인 대표이사(110만400주) 순이다. 윤재민 부사장(1799억원)과 지희환 이사(1777억원)에 정경인 대표이사는 883억원으로 조사됐다. 셀트리온 기우성 대표이사는 326억원으로 6위를 차지했다. 기 대표이사는 셀트리온 주식을 12만4431주 갖고 있다. 주식재산이 10억원 넘는 임원은 106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100억원 이상의 주식부호가 18명이다.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이 10대 그룹 임원 중 유일하게 포함돼 체면을 겨우 세웠다. 김 부회장은 삼성전자 주식을 21만주 보유해 주식평가액 166억원 수준이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7.14 14:1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