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민관, 포털뉴스 신뢰성·투명성 강화 머리 맞댄다
포털뉴스의 부당한 기사 배열과 확증 편향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의체가 출범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24일 '포털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본격적인 논의에 나선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포털 중심의 뉴스 서비스 생태계가 공정하게 조성될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의 신뢰성과 투명성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미디어·법학 등 관련 분야 전문가와 관계 부처로 구성했다. 약 6개월간 운영할 예정이다. 2000년 전후 출시한 포털의 뉴스 서비스는 언론사 제휴로 기사를 제공받고, 언론사 구독 또는 추천 서비스로 이용자에게 기사가 노출되는 구조다. 포털 내에서 쉽게 다수의 언론사 뉴스를 볼 수 있다는 편의성 덕분에 2021년 기준 포털 뉴스 이용률은 79.2%에 달했다. 포털 중심의 언론 생태계는 긍정적 기능도 있지만, 뉴스 서비스 제공 방식과 확증 편향 등 문제도 떠올랐다는 게 방통위의 설명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용자의 편리함과 권익을 보장하면서도 균형 잡힌 여론 형성을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뉴스 추천 알고리즘으로 인한 기사 배열의 책임성·신뢰성 및 포털의 뉴스 서비스 제공 방식·절차의 투명성 제고를 골자로 하는 '미디어 플랫폼의 신뢰성·투명성 강화'가 새 정부 국정과제로 선정됐다. 방통위는 국정과제의 구체적인 이행을 위해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구성·운영에 관한 투명화 방안과 확증 편향을 유발하는 알고리즘 추천 등의 개선 방안을 논의해 포털이 본연의 기능인 뉴스 매개자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뉴스 서비스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포털 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는 전문가의 논의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정책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관련 업계와 이용자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도 수렴할 방침이다. 안형환 방통위 부위원장은 "이번 협의체로 이용자의 편의성 등 포털 뉴스의 긍정적 기능을 살릴 것"이라며 "포털이 뉴스 매개자라는 본연의 역할을 다해 균형적인 여론을 형성하고, 건전한 언론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5.24 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