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건
경제

시중은행 '마통' 푸는데…카뱅은 언제?

5000만 원 수준으로 묶여 있던 마이너스통장 한도가 속속 풀리고 있다. 올해 초 인터넷전문은행이 막아놨던 마이너스통장을 재개하더니 시중은행은 한도를 차츰 올리는 추세다. 반면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막았던 마이너스통장 신규거래를 열지 않고 있어, 그 시점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이 이날부터 5000만 원이던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1억 원으로 늘린다. 엘리트론, 쏠편한직장인대출 등 주요 직장인 신용대출 상품의 한도도 1억5000만 원에서 2억 원으로 상향된다. NH농협은행 역시 다음 달 4일부터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5000만 원에서 2억5000만 원으로 높이기로 했다. 앞서 우리은행도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상품에 따라 8000만 원에서 3억 원까지 늘리기로 결정했다. 작년 1월 29일 신용대출 상품과 대상에 상관없이 모든 마이너스통장의 한도를 5000만 원으로 낮춘 지 약 1년 2개월만의 상향 조정이다. 이미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은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작년 상반기 수준으로 돌려놓은 상태다. KB국민은행은 지난 7일부터 한도거래방식 신용대출(마이너스통장) 상품의 한도를 전문직군 대상 상품(KB닥터론·KB로이어론·에이스전문직 무보증대출 등)은 최대 1억5000만 원, 일반 직장인 대상 상품(KB직장인든든신용대출·KB급여이체신용대출·본부승인 집단신용대출 등)은 1억 원으로 늘렸다. 이는 지난해 9월 16일 당국의 가계대출 축소 요청 등에 따라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일괄적으로 줄인 뒤 약 6개월 만에 정상화한 것이다. 하나은행의 경우에도 일찌감치 지난 1월 말 '하나원큐신용대출'의 마이너스통장 대출 한도를 5000만 원에서 최대 1억5000만 원으로 높이는 등 8개 주요 신용대출 상품의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작년 8월 이전 수준으로 되돌렸다. 지난해 아예 마이너스통장 문을 잠가놨던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올해 초 빗장을 풀었다. 케이뱅크의 경우 지난해 11월부터 연말까지 신용점수 820점 이상의 고신용자를 대상으로 마이너스통장 신규 개통과 한도증액을 중단했다가 다시 영업을 시작했다. 현재 한도는 1억5000만 원 수준이다. 출범 열흘 만에 여신 영업을 중단해야 했던 토스뱅크 역시 대출 영업을 재개했다. 대출 한도는 케이뱅크와 마찬가지로 최대 1억5000만 원이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중신용대출 비중이 어느 은행도 못한 성적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만 유일하게 마이너스통장을 재개하지 않고 있다. 이달 중신용대출과 전·월세 보증금 대출 금리를 4.067%에서 3.578%로 인하하며 대출 영업에 나서는 듯했으나, 마이너스통장의 신규거래는 열지 않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마이너스통장 중단은 지난해 10월 1일부터다. 카카오뱅크 마이너스통장은 비대면으로 쉽고 간편하게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 많은 금융소비자의 선택을 받아왔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마이너스통장 잔액은 7조5000억 원으로, 케이뱅크의 가계대출 전체 규모(7조4900억 원, 2월 말 기준)도 넘는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마이너스통장은 고신용 대상 상품이라서 현재 마이너스통장뿐만 아니라 고신용 신용대출은 재개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올해 중저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실수요 중심의 대출 위주로 진행하며, 고신용 대상 상품재개는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2.03.31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