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연예

"배짱도 정도껏…" 신인들의 무모한 몸값 베팅

부르는게 값이다. 드라마에 나오는 배우들의 출연료가 회당 1억원 이상이 된 게 어제 오늘이 아니지만 이런 상황을 이용해 한 몫 챙기려는 신인배우들의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 2년 전부터 눈에 띄면서 지난해 라이징스타로 자리매김한 한 배우는 하반기 방송될 지상파 드라마 주인공으로 낙점됐다. 불과 얼마 전 조연으로 활약하며 받은 출연료는 700만원(이하 1회당) 남짓이다. 주인공이 되고 요구한 출연료는 7000만원. 무려 10배나 뛰었다. 제작사는 매니지먼트에서 요구한 금액을 전부 맞춰주진 못 했지만 근접한 금액을 지불하기로 결정했다. 그렇게까지 해서 해당 배우를 캐스팅한 이유가 있다. 한 관계자는 "최근작이 한류를 타면서 아시아권에서 인기있는 라이징스타로 손꼽히게 됐다. 글로벌 플랫폼이 활성화됨에 따라 해외 판권 계약을 할 때 해당 배우의 캐스팅 유무가 큰 작용을 한다. 그래서 신인이지만 원하는 금액을 맞출 수 밖에 없다.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앞서 말한 사례는 그 과정이 순탄치는 않았으나 결과만 놓고 봤을 때 결국 제작사와 매니지먼트 모두 '윈 윈'이다. 또 다른 드라마 출연을 앞둔 배우도 몇 년 전부터 흐름을 타더니 지난해 주인공으로 우뚝 섰다. 벌써 차기작이 정해져 한창 촬영 중이며 그 다음 작품에 대한 얘기도 들려오고 있다. 오는 연말, 혹은 내년 초 방송될 드라마 제작사를 상대로 이 배우의 매니지먼트가 요구한 회당 출연료는 8000만원. 꼭 그 배우가 아니여도 상관없기에 제작사에서는 그렇게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고 괜한 배짱을 튕긴 매니지먼트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돼 버렸다. 정도껏 출연료 인상을 요구했어야하는데 터무니 없는 금액에 업계 관계자 모두가 혀를 내둘렀다. 문화평론가 이호규 씨는 "예전부터 무분별하게 높은 배우들의 출연료가 문제가 됐지만 이를 본 신인들과 그 소속사의 막무가내 갑질이 업계 질서를 흐린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며 "물 들어올 때 노 저으란 말이 있지만 반대로 영원한 건 절대 없는 법이라는 것도 알아야한다"고 말했다. 김진석 기자 superjs@joongang.co.kr 2020.04.23 08:01
경제

월2000만원 받는 김어준···박원순 "오히려 부족한 편"

박원순 서울시장이 방송인 김어준의 출연료와 관련해 “방송 기여도로 따지면, 오히려 충분히 못 주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채익 자유한국당 의원은 18일 오후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시가 운영하는 서울교통방송(tbs) 라디오 토크쇼 ‘김어준의 뉴스공장’ 운영에 대해 “진행자 김씨의 1회당 출연료가 100만원이다. 한 달이면 2000만원을 받아가는데, 다른 사람들에게는 (회당) 20만, 30만원 주면서 왜 김어준에게는 이렇게 돈을 많이 주는가?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편향적인 MC라고 생각하는 사람인데 이래도 되나”고 물었다. 이 의원은 또 tbs 시사프로그램 출연자들의 정당별 구성 비율에 대해서도 “출연자 수 기준으로 더불어민주당(42.4%), 자유한국당(15.1%), 바른미래당(14.5%), 민주평화당(12.2%), 정의당(12%), 무소속(3.9%)의 순이”이라며 “집권여당과 제1야당 비율이 3배 차이가 나는데, 누가 봐도 편파적으로 출연자를 선정하는 것 아닌가”라고 질문했다. 이러한 질문에 박원순 서울시장은 “요즘 교통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이 최고의 청취율을 보이는데, 김어준씨의 경우 타 방송사로부터 교통방송보다 훨씬 높은 출연료를 제안받고 있는 상태다. 기여도로 보면, 오히려 충분히 못 주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출연자 비율의 불균형 문제에 대해선 “화요일엔 바른미래당 하태경, 목요일엔 평화당 박지원 의원, 금요일엔 자유한국당 나경원 의원이 고정출연해서 말할 기회를 드리고 있다”며 “한국당이 상대적으로 (숫자가) 적은 건 출연 요청을 해도 안 나와서 그런 것”이라고 답변했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18.10.19 13:5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