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산업

최태원, 중국 기술 속도 경계 "상대의 목 치려면 팔 내어준다는 각오 도전"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중국의 기술 발전 속도를 경계하며 제조업 강화에 목소리를 높였다. 3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 회장은 전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미래세대와의 AI 토크 콘서트'에서 “중국이 AI도, 제조업도 우리나라를 앞서는 형태로 가고 있다”며 “경쟁자인 중국의 속도를 보면 시간이 흘러 우리가 쫓아가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인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풀링(끌어당기는 힘)이 필요하다"며 "모든 기업이 제조 데이터를 모으고 시스템을 제대로 만들어서 제조 경쟁력을 급격히 올리는 프로그램이 없다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대한상의와 카이스트가 공동 개최한 이번 행사는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하고 AI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대화하자는 취지로 마련됐다.행사에는 최 회장과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등 기업 대표를 비롯해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 정송 카이스트 AI대학원장, 카이스트 학생 및 예비 창업자 200여명이 참석했다.최 회장은 "트럼프가 관세를 올려 공장을 한국이 아닌 다른 국가로 옮기는 상황이 생기더라도 백그라운드 기술이 없으면 다른 나라에서 성공할 수 없다"며 "AI와 제조업을 결부한 경쟁자들이 공장을 만들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또 "얼마나 독보적이냐가 경쟁력이고, 그래서 우리가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지금 줄 서서 사야 하는 것"이라며 "SK도 글로벌 전쟁을 하려면 힘들고, 상대의 목을 치려면 팔을 내어준다는 각오로 도전하고 쟁취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SK의 AI 미래 전략으로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칩 솔루션을 만드는 것"을 꼽으며 "메모리를 넘어 메모리를 확장하는 플랜을 만들고, AI 데이터센터를 가장 싸게 짓는 길을 갈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지금처럼 AI를 만드는 데 리소스(자원)가 많이 들어가는 상황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나름대로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적은 리소스라도 효과적으로 쓸 방법을 찾는 것이 제일 문제"라고 진단했다.이와 함께 참석자들에게 "명분이 있는 꿈을 가지고, 그 꿈을 로직(논리)으로 만들어 액션을 취하라"며 "피보팅(전략 수정)을 하면서 리소스를 최대한 잘 활용해야 실수를 적게 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김두용 기자 2025.04.03 08:36
금융·보험·재테크

NH농협, 디지털전략 자문위원회 출범…생성형 AI 도입 논의

NH농협은행은 급변하는 디지털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들로 꾸린 '디지털전략 자문위원회'를 출범했다고 24일 밝혔다.디지털전략 자문위원회는 정재호 디지털전략사업부문 부행장을 위원장으로 하며, AI(인공지능), IT, 법률 분야의 외부 전문가를 자문위원으로 구성했다.자문위원으로는 안현실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객원교수, 구태언 법무법인 린 테크 총괄변호사,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 주재걸 카이스트 AI대학원 교수가 위촉됐다. 이날 첫 자문위원회에서는 농협은행의 생성형 AI 도입 방안과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고도화 계획을 안건으로 다뤘다.정재호 디지털전략사업부문 부행장은 "자문위원의 통찰과 제언을 경청해 신기술을 활용한 고객 중심 디지털 금융서비스를 강화하는 밑거름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4.06.24 15:07
IT

KT-과기정통부, 대학원 AI 개발 챌린지 개최

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인공지능(AI) 개발 대회 '2023 AI 대학원 챌린지 위드 KT 믿:음'을 공동 주최하고, 오는 23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이번 대회는 KT의 초거대 AI인 '믿:음'을 이용해 해결할 수 있는 신규 과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이를 적용할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는 챌린지다. 실무형 AI 핵심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했다.AI대학원과 AI융합혁신대학원 등 19개 대학원 소속 학생이라면 누구나 '인공지능 팩토리' 홈페이지에서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다.참가자들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KT의 AI 연구·개발 포털 '지니랩스'에서 AI 기술과 API(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KT는 1차 예선에서 과제의 독창성과 초거대 AI 모델의 이해도, 데이터 수집 방안과 개발 가능성을 평가한다. 2차 결선에서는 개발 성능과 정확도, 효율성 등을 종합해 오는 8월 10개 팀을 선정할 계획이다.KT는 최종 선정 팀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KT CTO상·정보통신기획평가원 원장상 등을 시상하고, 참여 대학원 중 2곳을 뽑아 AI대학원상을 준다.이와 함께 총 2900만원의 상금과 KT 입사 지원 시 우대 혜택을 제공한다.김이한 KT 융합기술원장은 "참가자들이 KT의 초거대 AI 기술을 직접 경험하고 실무 역량을 쌓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3.07.05 14:10
산업

첫 AI대학원 심포지엄 참여 LG, AI 생태계 확장 나선다

LG가 과기정통부 주최 ‘2022 인공지능대학원 심포지엄’에 민간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후원사로 참여하는 등 민관학 협력을 통해 AI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2022 인공지능대학원 심포지엄은 인공지능 글로벌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대학원들의 성과를 공유하고 민관학 교류와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행사로 18, 19일 양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올해로 3회째인 이 행사는 국내 인공지능대학원들의 운영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인공지능대학원협의회, 인공지능혁신허브, LG 등 4개 기관이 공동 주관했다. '글로벌 디지털 인재의 산실, AI대학원'을 주제로 열린 올해 심포지엄에선 세계적 AI 석학인 이홍락 미국 미시간대 교수 겸 LG 최고AI과학자(CSAI)가 기조강연을 맡았다. 이 교수는 강연에서 "지도학습 방법으로 인간이 분류한 데이터를 단기간에 다량으로 학습한 AI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는 잘 수행할 수 있지만 현실 세계의 다양한 문제 상황에 놓일 경우 일반화된 성능을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LG AI연구원은 과기정통부와 함께 인공지능대학원 학생들의 실전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인공지능대학원 챌린지’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지난 7월부터 14개 대학원 165개팀이 ‘백신 및 면역치료제 개발을 위한 항원∙항체 반응 예측’을 주제로 경연을 진행했으며, 중앙대 ‘CVML’팀이 첫 우승팀으로 이름을 올렸다. CVML팀은 이날 진행한 시상식에서 최고상인 과기정통부장관상과 함께 1000만원의 상금을 받았다. 행사에서는 이 밖에도 '글로벌 AI 리더가 되기 위한 전략 방안'을 주제로 한 패널 토론, AI대학원과 기업 간 주요 산학 협력·연구 성과 발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AI 기술 강연인 '튜토리얼' 등이 마련된다. LG는 이번 행사에 채용 상담 및 기술 시연을 위해 대규모 부스를 운영한다. LG AI연구원을 비롯해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 CNS 등 주요 계열사 8곳은 LG 통합 부스에서 각 사의 최신 AI 기술 시연과 AI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활동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08.18 11:1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