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연예

‘킹스맨’ 3D 영상회의가 현실로…LGU+, 진일보한 세계 최초 5G AR글래스 상용화

영화 ‘킹스맨’에서 주인공이 안경을 쓰고 진행하는 ‘3D 영상회의’가 올해 안에 가능할 전망이다. LG유플러스는 11일 서울 용산본사에서 간담회를 열고, 증강현실(AR) 글래스 ‘U+리얼글래스’를 오는 21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U+리얼글래스는 안경을 쓰듯 기기를 착용하면 렌즈를 통해 원하는 콘텐트를 보여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다. 렌즈가 투명해 서비스 이용 중에도 앞을 볼 수 있고, 이용자를 둘러싼 360도 공간에 콘텐트 화면 배치 및 크기 조정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 기존에 MS·구글 등이 B2B 시장을 공략한 AR글래스는 2000달러(237만원) 이상의 높은 가격과 300g이 넘는 무게(일반 안경 약 30~50g), 머리에 쓰는 형태의 AR헤드셋 등으로 시장 확산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LG유플러스가 초경량 AR글래스를 개발한 스타트업 엔리얼와 손잡고 내놓은 U+리얼글래스는 이런 한계를 뛰어 넘었다. 더구나 60만원대의 가격과 무게 88g의 B2C향 5G AR글래스 상용화는 글로벌 시장을 통틀어 이번이 처음이다. 송대원 LG유플러스 미래디바이스담당(상무)는 “U+리얼글래스는 현실적인 가격대와 88g이라는 경량화된 무게로 AR글래스 시장에 대한 허들을 대폭 낮추고자 했다”고 말했다. 송 상무는 또 “VR 기기와 달리 전방을 볼 수 있고, 스마트폰과 달리 양손에 자유를 준다는 점에서 진일보했다”며 “특히 안경 형태의 착용 방식은 편의성도 상당히 높아 기존 헤드셋 형태의 AR 기기보다 호평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LG유플러스와 엔리얼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앱을 U+리얼글래스에서 볼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반기에는 미국의 AR·VR 협업 플랫폼 개발사인 스페이셜과 협업해 원격회의 시스템 ‘스페이셜’도 출시한다. 스페이셜은 각자 다른 공간에 위치한 사람들이 가상의 회의실에 모여 협업을 할 수 있는 AR글래스 앱 서비스다. 최대 10명까지 접속이 가능하며, 각 개인은 자신을 대표하는 아바타로 다른 이들에게 보여진다. 회의에서는 단순 대화나 손짓을 통한 설명뿐만 아니라, 파일로 된 자료나 동영상을 띄워 함께 볼 수도 있다. 영화 킹스맨에 나오는 3D 영상회의가 현실화되는 것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핸드 제스처(손짓) 기반의 앱 서비스도 나올 전망이다. 엔리얼이 화면에서의 앱 조작을 스마트폰이 아닌 손짓 인식으로 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가상 스크린 터치 장면이 실제로 구현되는 것이다. U+리얼글래스의 출고가는 69만9000원(VAT 포함)이다. 서비스는 U+5G 가입자만 이용할 수 있으며,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20’과 연동이 가능하다. LG전자의 ‘LG벨벳’도 서비스 제공을 앞두고 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0.08.11 16:52
생활/문화

LGU+, AR글라스 3분기 출시…“세계 최초 B2C 상용화”

LG유플러스는 AR글라스 제조기업 엔리얼과 손잡고 B2C향 AR글라스를 올 3분기에 출시한다고 4일 밝혔다. 엔리얼의 AR글래스 ‘엔리얼 라이트’로 88g의 무게로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AR글래스는 VR과 달리 안경처럼 투명한 렌즈를 통해 서비스 이용 중에도 앞을 볼 수 있다. 여기에 360도 공간을 활용해 콘텐트를 배치하고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LG유플러스 측은 “고객 대상 AR글래스 사전체험을 진행했던 다양한 경험과 긍정적인 반응을 바탕으로 5G 서비스를 더해 B2C향으로 독점 출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오는 8일부터 LG유플러스는 전국 24개 매장을 시작으로 올 3분기 출시 예정이며, AR글래스 ‘엔리얼 라이트’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해당 매장에서는 AR글래스를 직접 착용하고 360도 UX를 통해 고해상도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100인치 이상의 화면으로 볼 수가 있고, 크기 변화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실제 공간에서 실감나는 AR 좀비 게임도 실행해 이용해 볼 수 있으며, 유튜브, 페이스북 등 다양한 앱을 자유롭게 배치해 멀티로 사용하는 등 AR글래스에서의 색다른 UX를 실제로 체험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에 맞춰 엔리얼과 함께 AR글래스 온라인 앱 개발 세미나를 개최한다. 5일 오전 10시 30분부터 한 시간 동안 올쇼TV를 통해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다. LG유플러스 송대원 미래디바이스담당 상무는 “기존 AR글래스는 높은 가격대와 무거운 무게, 콘텐츠의 한계로 인해 일반 고객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이를 개선한 ‘엔리얼 라이트’를 세계 최초로 B2C 상용화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0.06.04 18:17
생활/문화

LGU+, 초경량에 가성비 높은 엔리얼 'AR 글래스' 시범 서비스

LG유플러스는 AR 글래스 제조기업 엔리얼과 협력해 AR 글래스 ‘엔리얼 라이트’를 국내에서 시범 서비스한다고 21일 밝혔다.AR 글래스는 안경을 쓰듯이 자연스럽게 기기를 착용하고 콘텐트를 감상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이다. LG유플러스는 엔리얼의 AR 글래스로 내년 1분기까지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고, 고객 의견 반영 및 보완, AR글래스 플랫폼 구축 등 상용화 준비 과정을 거쳐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이다.LG유플러스 21일부터 순차적으로 전국 35개 매장과 영화관, 지하철 등 5개 팝업스토어에 고객 체험존을 운영하며,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다.이번 시범 서비스는 AR 글래스와 5G 스마트폰인 ‘V50S 씽큐’를 연동한다. 스마트폰과 AR 글래스를 USB선으로 연결하면, AR 글래스의 고화질 마이크로 OLED로 3D AR 콘텐트를 실감나게 감상하고, 2D·3D 일반 콘텐트를 100인치에 달하는 대화면으로 즐길 수 있다.‘U+AR’ 앱의 스타 콘텐트를 스마트폰 화면이 아닌 현실 세계에서 만나 좋아하는 스타가 펼치는 공연을 AR 글래스를 착용한 상태로 직접 360도 돌아보며 앞모습과 함께 뒷모습까지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U+모바일TV’의 콘텐트도 AR 글래스의 대화면으로 보면서 재생되는 화면을 확대, 축소하는 것은 물론, 원하는 위치로 화면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LG유플러스는 엔리얼과 이번 시범서비스를 시작으로 다양한 5G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텔레프레즌스(원격회의)를 비롯, 5G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키보드·마우스를 연결하면 AR 글래스를 통해 100인치 이상의 대화면으로 PC 작업이 가능한 클라우드PC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AR 글래스를 활용한 쇼룸 서비스도 검토한다. LG하우시스 전시장을 방문한 고객들에게 AR 콘텐트로 시공된 제품이나 공간을 설명하는 데 적용할 예정이다. 희귀동물 등 3D AR 콘텐트를 활용한 실감형 교육도 준비한다.5G 상용화 이후 VR·AR 콘텐트는 고객들이 가장 실감하는 일상의 변화를 주고 있으나, 아직까지 콘텐트를 즐기기 위한 디바이스는 VR용 HMD가 유일했다. HMD는 몰입감은 높은 반면, 주변을 볼 수 없고 무게도 무거운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기기 형태에 대한 고객 니즈가 높아지는 추세다.이번에 선보이는 AR 글래스 ‘엔리얼 라이트’는 지난 5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 AR엑스포 ‘AWE 2019’에서 글로벌 이통사와 제조사들로부터 현존하는 AR 글래스 중 상용화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88g의 초경량 무게와 499달러의 가성비로 눈길을 끌었다.LG유플러스 송대원 미래디바이스담당 상무는 “기존 AR 글래스 제품들은 높은 시장 전망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고가로 인해 진입 장벽이 높았다”며 “엔리얼과 제휴를 통해 고객들이 U+5G의 풍부한 콘텐트를 보다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AR 글래스를 대중화할 것"이라고 말했다.양사는 AR글래스 생태계 조성에도 힘쓴다. 내년 1분기 AR글래스에 관심 있는 국내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엔리얼 테크 데이’를 개최한다. AR 글래스 관련 앱 개발이 가능한 SDK를 설명하고,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국내 AR 글래스 활성화에 노력할 방침이다.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19.11.21 16:0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