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초임도 한 해 2억 넘게 받아…전용차·골프 회원권·비즈니스 클래스에 원어민 강사 수업까지 제공
연말이 다가오면서 주요 대기업들이 속속 임원인사를 발표하고 있다. 삼성그룹이 7일 485명에 달하는 임원 승진인사를 실시했으며, LG그룹도 지난달 29일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이밖에 현대중공업, 신세계, 코오롱, KT 등이 임원인사를 실시했다. 올해 임원인사로 삼성그룹에서는 335명이 새로 임원이 됐으며 LG그룹에서도 76명의 신규임원이 탄생했다. 재계에서는 올 연말에 30대 대기업에서 약 500여명의 신규임원이 탄생할 것으로 전망햇다. 샐러리맨이라면 누구나 꿈을 꾸는 임원. 임원이 되면 무엇이 달라질까. 삼성, LG, 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의 임원이 되면 무엇이 달라지는지 알아봤다.
억대연봉·비즈니스 클래스는 기본
임원이 되면 생기는 가장 큰 변화는 역시 급여다. 삼성그룹의 경우 초임 임원인 상무의 연봉은 1억 5000만원 선이다. 여기에 연봉의 절반에 이르는 초과이익분배금(PS)과 생산성 격려금(PI) 등 성과급을 포함하면 한 해에 받는 돈은 2억원이 훌쩍 넘는다.
여기에 전무와 부사장 등 직급이 오를 때마다 급여는 배 이상 오른다. 현대·기아차의 경우 직급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초임 임원인 이사대우의 연봉은 1억6000만원선, 이사는 2억원선을 받는다. 전무급부터는 대우가 많이 달라진다. 연봉이 3억원대로 오르고 각종 수당을 포함하면 4억원 선에 이른다.
LG그룹은 상무가 되면 연봉이 일단 100%인상된다. 또 성과급 부여폭이 확대되기 때문에 성과만 좋게 올린다면 훨씬 많은 성과급을 챙길 수 있다.
SK그룹은 신임 임원의 평균 연봉이 1억 5000만원 안팎이고 다양한 성과급 체계가 적용된다. 한화나 코오롱, 효성 등도 임원이 되면 연봉 100% 정도 인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의 임원이 되면 50여 가지가 달라진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임원이 되면 연봉 외에 각종 대우가 달라진다. 이 때문에 직장인들은 대기업 임원을 직장인들이 ‘별’에 비유하곤 한다.
삼성그룹의 경우 임원이 되면 모두 전용차가 제공된다. 상무는 배기량 3000㏄ 미만 그랜저와 SM7, K7 등 6종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전무급 이상은 3500㏄ 미만의 제네시스 등을 받는다. 운전기사와 기름값, 보험료 등 기본 유지비 등도 회사가 부담한다. 전무급 이상 임원에게는 별도의 비서와 독립 사무공간이 제공된다. 상무급부터 부부 동반으로 건강검진을 받는다. 해외 출장시 비행기 좌석이 비즈니스 클래스로 업그레이드되는 건 기본이고 대외업무 종사 임원인 경우에는 골프회원권도 받는다.
LG그룹도 삼성그룹과 임원 처우가 비슷하다. 3000cc급 차량이 지원되고 골프회원권과 법인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항공편으로 출장을 갈 경우 비즈니스클래스 이용이 가능하며 배우자도 정밀 종합건강검진을 받는 혜택을 누린다.
SK그룹은 임원이 되면 별도의 집무실과 담당 비서도 지원된다. 어학능력 향상을 위해 영어, 중국어 원어민 강사와 일대일로 수업을 받을 수 있고 일부 임원들을 대상으로 한 1년간의 국외 연수과정도 있다.
이밖에 대부분의 대기업이 임원들에게 골프회원권 사용권한을 주고 해외출장시 비즈니스 클래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임원은 ‘임시직원’의 준말
임원이 되면 이처럼 많은 혜택을 받게 되지, 그에 못지않은 책임도 생긴다.
우선 임원이 되면 매년 연봉계약을 해야한다. 실적을 내지 못하면 자리가 위태롭다. 대기업의 한 임원은 “일단 임원이 되면 한 부서의 책임자가 된다는 뜻인데, 자기가 맡은 부서가 성과를 내지 못하면 고스란히 그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불황 등으로 회사가 감원 등 구조조정을 할때도 1순위로 거론되는 것이 급여가 많은 임원들이다. 실제로 한국경영자총연합회의 자료에 따르면 대기업 신규 임원의 3분의 1정도가 승진한 후 2년을 못 버티고 회사를 떠난다고 한다. 이 때문에 대기업 임원들 사이에서는 “‘임원’은 ‘임시직원’의 줄임말”이라는 자조섞인 농담이 떠돌아 다닌다.
임원이 됐다고 해서 승진부담이 줄어드는 것도 아니다. 상무가 된지 6년가량 지나면 전무 승진을 해야 되는데 이때 승진하지 못하면 거취를 고민해야 한다. 승진 연한이 되기 전에 회사를 떠나는 경우도 허다하다. 대기업의 한 인사담당자 “100명이 새로 상무가 된다면 그와 비슷한 수의 임원이 회사를 떠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