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운동전 건강관리 및 응급처치 4 운동중·후 건강관리 및 응급처치 5 운동전후 물리치료 6 수송전후 관리요령
7 홀스인스펙션요령 8 배알이 예방방법 9 말의 치아관리
배알이(산통)는 말에 있어서 치명적인 증상으로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이 가는 위중한 병으로 승마인들이 잘 알아야 하는 증상이다. 말에게 산통이 오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급격한 날씨변화·변질된 사료 공급·과식·운동 후 관리미숙·급수시설 문제 혹은 잘못된 급수 방법 등이 있다. 특히 여름에는 변질된 사료로 인한 곰팡이 발생으로 인해 산통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통은 말의 배와 배속의 장기에서 시작되는 고통을 통틀어서 말한다. 그래서 원인이 다양할 수밖에 없다.
▲산통의 종류
산통의 종류는 다양하다. 국내에서는 크게 원인에 따라서 먹이로 인해 생기는 것(먹이의 변질·소화불량·과식)으로 올 수 있고 큰 일교차도 영향을 미친다. 신경성으로 오는 경우도 있다. 스트레스·불안·주변 환경으로 인한 소화 장애가 문제의 원인으로 밝혀지는 경우도 있다. 질병에 의한 것도 있는데 위염·장염·폐렴·복막염이 있을 때는 열이 오르고 내장의 통증으로 인해 산통이 발생하기도 한다.
간혹 기생충으로 인한 경우도 있다. 구충제를 먹이지 않아 장안에 기생충들이 많아지면 소화 효율이 떨어지고 장 점막 손상도 올 수 있다. 구충제를 먹였을 때에도 기생충으로 인한 장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모래·털·갈기·꼬리털 등이 장기로 들어가 배출되지 못하고 똥과 섞이면서 장을 막기도 한다. 이밖에도 변비가 문제의 시작이 될 수 있는데 이것이 심해지면 장 폐색증으로 발전 할 수 있고 장내에 결석으로 인한 막힘 현상이 올 수 있다.
▲산통의 증상
산통으로 인해 말이 고통을 호소하는 증상도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말이 땅을 다리로 심하게 긁는 경우, 먹이를 먹지 않고 고개를 돌려 배를 보는 경우· 마방 또는 마장에서 구르는 증상도 있다. 고통으로 인해 식은땀을 흘리거나 탈수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순수한 의미의 산통은 합병증으로 인한 원인이 아닌 물리적으로 막혔거나 신경성으로 인해 생기는 배알이를 산통이라고 한다.
▲처치방법
산통은 장이 막히거나 원래 위치에서 변위 됐거나 장이 꼬이거나 말려들어가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비정상적인 형태로 인해 가스가 차고 고통을 수반하게 하는 경우다. 문제를 빨리 발견할수록 치료될 확률이 높은데 빠른 시간에 수의사에 의뢰하는 것이 최선이다.
초기에 발견하면 장이 꼬이거나 막혔을 때 해결이 가능하지만 시간이 흐른 후에는 장으로 가는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겨 장이 괴사 될 수 있고 재생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위식채 또는 맹장에 가스가 차면 통증이 심하고 호흡불안·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질식사가 올수도 있다. 약물로 간단히 치료될 수 도 있지만 전체 산통 발생의 20%는 외과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산통 수술시 회복 확률 & 주의사항
박경원 KRA한국마사회 차장은 "산통으로 수술을 할 경우 수술이 잘못되어 말이 죽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만 수술시기까지의 시간이 지체돼 장기 손상이 광범위하거나 발생부위가 깊어 작업을 못하는 상황이 문제다. 또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해 말의 생명을 잃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산통수술 후에는 2주간의 입원치료를 하고 한 달 정도는 요양을 하는 것이 좋다. 이때 합병증이나 재발가능성이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 통계적으로 한번 수술을 받았던 말은 산통에 걸리지 않았던 말보다 재발확률이 높다. 합병증도 주의해야 하는데 수술 후에 많은 합병증 중하나가 장협착·복막염 등이다. 수말일 경우에는 산통 수술 후 발정한 암말과 멀리 격리시켜야 한다. 송상욱은 "과거 산통수술을 한말이 발정난 암말을 보고 흥분해 수술부위가 터져 장이 쏟아져서 바로 죽는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서 대동물인 말을 수술할 수 있는 곳은 5곳뿐인데 서울경마공원의 동물병원과 부산경남경마공원·제주목장·장수목장이 있고 민간에서는 경기도 이천의 J&C병원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