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대표팀 훈련에서 기자들이 가장 바쁠 때는 감독들이 선수들에게 조끼를 나눠주던 순간이었다. 연습 때 조끼 착용 여부에 따라 실전에 나설 베스트 11의 90% 이상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홍명보(44) 축구 대표팀 감독은 17일 소집 후 첫 훈련을 앞두고 “앞으로 훈련 중 입는 조끼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저 훈련 도구일 뿐이다”고 선언했다. 홍 감독의 말은 훈련에서 실천에 옮겨졌다.
물론 홍 감독도 조끼를 사용한다. 때로는 11명씩 팀을 가르고, 한쪽 팀에 조끼를 입힌다. 다른 점이 있다면, 조끼 착용 여부로 주전과 후보를 가르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보통 다른 감독들은 베스트 11으로 나갈 선수들을 따로 구분해 집중적인 훈련을 한다. 반면 홍 감독은 많게는 4번 이상 조끼를 바꿔 입게 하면서 선수 구성을 다양하게 실험한다. 23일 훈련에서는 김신욱(25·울산)·서동현(28·제주)·염기훈(30·경찰축구단)·고무열(23·포항) 등 공격수들을 번갈아가며 조끼를 입게 해 실험했다. 대표팀 경험이 많은 염기훈은 "과거와 다르게 조끼를 입는다고 해서 선발로 나서지 않는 것 같다. 누가 과연 선발로 나설지 선수들도 감을 잡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경기 2~3일 전 미리 베스트 11을 공표했던 조광래 전 감독, 훈련 하루 전 날 하는 미니 게임을 보면 대표팀 윤곽이 그려졌던 최강희 전 감독 때와는 다른 스타일이다. 기자들이 베스트 11을 예측하기는 힘들어졌지만 약 11개월 남은 브라질 월드컵을 겨냥해 막 팀 리빌딩을 시작한 현재 시점에서는 홍 감독의 방식이 꽤 효과적이다.
주전과 후보를 크게 구분하지 않고 동등하게 대하는 모습도 인상적이다. 전술 훈련이 시작되면 23명의 선수는 모두 자신의 포지션에 서서 공을 받을 준비를 한다. 한 포지션당 최소 2명의 선수가 나란히 서있는 모습이 이색적이다. 한 차례씩 번갈아가며 훈련을 반복해 소외되는 사람 없이 모두 전술을 숙지할 수 있다. 전술 이해도가 부족한 선수가 보이면 홍 감독이 따로 불러 설명하기도 한다. 정성룡(28·수원)은 "누구든지 경기장에서 제 몫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과정이라고 느껴진다"고 했다.
덕분에 훈련장에는 활기차고 뜨거운 열기와 냉랭한 긴장감이 공존한다. 이재철 축구협회 홍보팀 대리는 "표정은 모두 밝지만 선수들이 내심 바짝 긴장하고 있다. 어느 누구도 자신이 주전이라고 생각하지 않더라. 경쟁이 어느 때보다 심하다"고 말했다. 손발을 맞춘지 사흘밖에 되지 않았던 한국이 20일 호주와의 2013 동아시안컵 1차전에서 슈팅 21개를 쏘아대면서 경기를 압도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다. 한국은 24일 오후 8시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중국을 상대로 2차전을 치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