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전쟁 정전 협정 60주년 행사가 한국과 미국에서 대규모로 열린 가운데 한국전에서 활약한 전설적인 경주마가 화제를 모으고 있다.
정전 60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달 26일(현지 시간) 미국 버지니아주 콴티코 해병대 본부 내에 있는 국립해병대 박물관에서 미국 해병대 군마(軍馬)로 참전해 큰 공로를 세운 말 ‘아침해’를 기리는 동상 헌정식이 열렸다.
경주마 출신‘아침해’는 1952년 10월 입대해 전쟁터를 누비며 수 백차례 무기와 탄약을 운반하는 군마로 활동하며 '레클리스(Reckless·무모한)'라는 미국 이름을 얻었고, 부상까지 입으며 자신의 임무를 완수해 미 해병대 최초로 하사 계급장과 훈장까지 받았다.
‘아침해’는 서울 신설동 경마장에서 활동했던 경주마였다. 소년마주 김흑문은 아침해를 무척 아꼈지만 지뢰를 밟아 장애인이 된 누이 김정순을 위해 말을 팔기로 결심한다. 누이에게 의족을 사주어야 했던 것이다. 마침 수송용 마필을 구하고 있던 미 해병 1사단 5연대 무반동화기소대 에릭 피터슨 중위는 소년에게 250달러를 주고 ‘아침해’를 샀다.
이때가 1952년 10월이었다. 미 해병은 이 시점을 아침해가 해병에 ‘입대’한 날로 본다. 400kg 밖에 안 되는 이 작은 암말은 총알과 포탄이 날아다니는 전장에서 무거운 탄약더미를 386차례나 나르며 동료해병들을 도왔다.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 총탄을 뚫고 포탄을 져 나른 것만 51 차례다. 이름처럼 ‘무모하도록’용감했다. 아침해는 쏟아지는 총알 속에서 두 번이나 부상을 입었지만 조금도 위축되지 않고 끝까지 자신의 임무를 완수했다.
정전협정이 체결되자 ‘아침해’는 미국으로 건너와 캘리포니아 해병대 1사단 본부에서 편히 지냈다. ‘아침해’의 용맹함은 마침내 랜돌프 해병대 1사단장에게도 알려져 1959년 하사로 진급했고, 다음해 성대한 전역식을 치르고 은퇴했다. ‘아침해’는 생전에 퍼플 하트 훈장(미국에서 전투 중 부상을 입은 군인에게 주는 훈장), 미국 대통령 표창장,미 국방부 종군기장, 유엔 종군기장, 한국 대통령 표창장 등 각종 훈장과 상을 무더기로 받았다.
특히 라이프 매거진은 1997년 특별호에서 세계 100대 영웅에 레클리스를 선정했다. 당시 세계 100대 영웅에는 미국 건국의 아버지 조지 워싱턴과 토머스 제퍼슨, 흑인 노예 해방의 주역 에이브러햄 링컨, 영화배우 존 웨인, 성녀 마더 테레사 등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