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LG유플러스가 SK텔레콤처럼 자회사를 앞세워 알뜰폰 시장에 진출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3사가 모두 알뜰폰 사업을 하게 됐다.
8일 KT의 자회사 케이티스와 LG유플러스의 미디어로그는 각각 알뜰폰 브랜드 'M모바일'과 '유모비'로 알뜰폰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케이티스는 이날부터 반값요금제와 선불요금제를 주력으로 가입자 유치에 나섰다. 반값요금제는 기존 이동통신사보다 최대 55% 저렴하며 롱텀에볼루션(LTE) 뿐만 아니라 3세대(G) 통신 고객도 사용이 가능하다. '반값 망내 무제한요금제'는 KT 및 KT계열 알뜰폰 고객 모두를 무제한 음성통화 대상으로 적용해 요금 절감 폭을 확대했다.
선불요금제는 이용자의 통화량과 데이터사용량 등 사용패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3가지 요금제로 출시됐다. 한 번의 충전으로 국내전화국제전화데이터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올인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중국, 몽고, 우즈베키스탄 등의 국가에 국내 최저요금으로 국제 전화 서비스를 제공해 국내 거주 외국인 고객들의 혜택도 강화했다.
미디어로그는 9일부터 서비스를 한다. 알뜰폰 고객들 중에서도 특히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LTE 고객을 대상으로 저렴한 LTE 요금제와 차별화된 부가서비스로 시장을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총 14종의 요금제 중 표준요금제를 제외한 13종의 요금제를 모두 LTE에 특화된 요금제로 구성했다.
'로그 LTE 30'은 월기본료 3만원에 음성 160분, 데이터 750MB가 주어져 저렴한 가격으로 LTE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다. KT와 LG유플러스의 가세로 알뜰폰 사업자들 간의 요금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