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회 멍때리기 대회의 우승자는 다름아닌 9살 초등학생이었다.
27일 오후 서울 광장에서 열린 멍때리기 대회에는 50여 명이 참가했으며 선발 경쟁률은 약 3대 1이었다.
‘멍 때리다’는 ‘아무 생각 없이 멍하니 있음’을 나타내는 은어로 이 대회에서 참가자들은 낮 12시부터 3시간 동안 가만히 앉아 누가 더 ‘잘 멍 때리는지’를 경쟁했다.
멍때리기 대회의 심사는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멍을 잘 때린’ 참가자들에게 스티커를 붙여주는 것이다. 객관성을 보완하기 위해 몸의 이완 정도도 측정 했다.
심사 기준은 ‘아무것도 하지 않은, 가장 정적인 존재’로 심박측정기에서 심박수가 가장 안정적으로 나오는 사람이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크게 움직이거나 다른 행동을 하면 실격이다.
이날 우승은 초등학생 김모(9) 양에게 돌아갔으며, 우승자에게는 역설적으로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이 갓을 쓴 모양의 트로피가 주어 졌다.
‘멍때리기 대회’는 프로젝트 듀오 전기호(electronic ship)가 주최하고 황원준 신경정신과가 후원 했다.
멍때리기 대회 우승 소식에 누리꾼들은 “멍때리기 대회, 우승 축하합니다” “멍때리기 대회, 2회는 언제 하나?” “멍때리기 대회, 나도 다음에 참가다” “멍때리기 대회, 난 지금도 멍...”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일간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