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계약선수 신분이 된 한상훈과 전 소속팀 한화 구단이 잔여연봉 지급 방식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한화 관계자는 20일 "한상훈 선수가 언론을 통해 팀을 떠나겠다는 밝힌 것을 확인했다"며 "지난해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를 한 뒤 면담에서는 '팀을 떠나겠다'는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소식을 접하고 조금 당황했다"고 밝혔다.
이어 "잔여 연봉 일시불 지급을 요구하고 있는데, 구단 입장에서 수용하기 곤란하다. 한상훈과 계속 이야기를 나누겠다"고 덧붙였다.
한화는 지난해 11월30일 한국야구위원회(KBO)에 제출한 보류선수 명단에서 한상훈을 제외하며 방출했다.
FA(프리에이전트) 계약 기간이 남아있는 선수가 선수가 보류선수 명단에서 빠진 건 다년 계약이 허용된 이후 한상훈이 처음이다. 대신 육성선수 전환을 제안했다. 육성선수 신분이 되면 올 5월 이후 1군 등록이 가능하다.
한상훈은 지난해 12월 자비로 하와이로 건너가 개인 훈련을 했다. 육성선수 전환을 거부하고, 다른 팀에서 기회를 찾겠다는 의사였다. 방출된 이상 그는 어느 팀과도 계약할 수 있는 자유계약선수다.
그러나 이미 다년 계약을 한 한화는 한상훈에게 2016~17시즌 연봉 총 4억원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다.
한상훈은 최근 언론을 통해 "2년치 연봉을 일시불로 받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한화 구단은 "일시불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구단 관계자는 "구단은 매년 정해진 예산 범주 내에서 집행을 한다. 한상훈의 연봉은 2017시즌까지 매년 2억원 지급이 정해진 상황"이고 발했다. 이어 "한상훈의 요구는 언론을 통해서 알았다"고 덧붙였다.
피차 마찬가지다. 한화 구단은 지난해 한상훈을 방출하며 잔여 연봉 지급에 대한 언급을 선수에게 한 적이 없다.
이 문제가 논란이 되자 언론을 통해 "지급 의무를 지키겠다"고 밝혔다. 당시 한상훈에겐 이 내용을 전달하지 않았다. 그러자, 이번엔 선수 쪽에서 언론을 통해 "일시불로 해 달라"고 하는 형국이다.
하지만, 결국 당사자끼리 알아서 해결해야 할 문제다. KBO 관계자는 "한화와 한상훈 사이에 계약조건의 문제이기 때문에 KBO가 관여할 부분은 사실상 없다"고 밝혔다. 이어 "한상훈은 규약상 자유계약신분이며 새로운 팀으로 이적이 가능하다. 한화와 새로운 팀, 모두에서 연봉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