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 주요 은행장들의 임기 만료가 예고되는 가운데 후임자가 누가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KB국민은행과 IBK기업은행은 관료 출신이 은행장이 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벌써부터 '낙하산 인사'라는 얘기가 나와 시끄럽다. 이와 달리 우리은행의 이광구 행장은 숙원인 민영화가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연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국민·기업, '낙하산 인사' 하마평에 좌불안석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은 오는 11월 겸하고 있는 KB국민은행장 자리를 내려놓을 예정이다. 윤 회장의 은행장 임기는 내년 11월까지지만 최근 KB금융의 현대증권 인수로 윤 회장이 비은행권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 같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또 11월은 KB금융과 현대증권의 인수합병이 완료되는 시기기도 하다.
신임 KB국민은행장으로는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내정된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이런 경우 관치금융이 될 가능성이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문호 전국금융산업노조 위원장은 최근 '관치금융 낙하산 인사 강력 규탄'이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현기환 전 수석이 국민은행장 자리를 노리고 있다는 소문은 한순간도 끊인 적이 없다"며 "국내 최대 은행장 자리에 낙하산 인사가 내려오는 것은 금융산업 전체를 욕보이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은행의 낙하산 인사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KB금융은 이미 지난 2014년 낙하산 인사로 인해 불거진 이른바 'KB사태'를 겪었다. 당시 KB금융은 주 전산 시스템을 IBM에서 유닉스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집안싸움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낙하산 인사'로 꼽히는 어윤대·임영록 전 회장이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 사태를 겪은 지 2년 만에 다시 낙하산 인사가 거론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4월에는 국민은행 상임 감사위원 자리에 신동철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이 내정됐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아직까지 국민은행 감사 자리는 공석이다.
KB금융 측은 은행장 인사 내용은 결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KB금융 관계자는 "은행장을 선임하려면 이사회를 거치는 등 절차가 필요한데 관련 부서에서도 이 같은 내용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IBK기업은행도 비슷한 상황이다. 오는 12월 27일 임기가 만료되는 권선주 기업은행장 후임으로 관료 출신인 정찬우 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거론되고 있다. 정 전 부위원장은 지난 3월 총선에 출마하려고 했지만 새누리당 비례대표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면서 5월 한국금융연구원 초빙연구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외부에서는 이를 두고 정 전 부위원장의 금융권 복귀에 대한 신호로 보고 있다.
기업은행은 기획재정부가 지분 51.8%를 보유하고 있어 정부 입김이 크게 작용하는 곳이다. 1961년 설립된 이후 2000년대까지 1명을 제외하곤 역대 은행장 모두 관료 출신이었다.
우리, 민영화 순항에 연임도 무난
오는 12월 30일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연임 가능성이 높다. 연내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이 순항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매각 공고 직후 인수 의사를 표명한 한화생명에 이어 포스코·KT 등 대기업들이 우리은행 지분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은행 지분 매각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51.06% 중 30%를 여러 투자자에게 파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해외 사모펀드 운용사 등도 우리은행 지분 투자에 적극적이다. 칼라일·IMM PE·오릭스 PE·베어링PEA·CVC캐피탈파트너스 등 6~7개사들이 4% 수준의 지분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이 행장은 올 한 해 동안 싱가포르·유럽·일본 등 해외 투자자들을 직접 만나 기업설명회를 여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며 우리은행을 어필하고 나서기도 했다.
일단 12월까지인 이 행장의 임기는 민영화에 따라 내년 3월까지 다소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민영화 과정에서 새로운 과점주주 이사회가 구성될 경우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은행을 잘 아는 현 행장이 연임해 경영 안정을 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