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7일 전격 구속됨에 따라 롯데그룹에도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이 부회장의 구속으로 수사에 탄력을 받은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다음 대상으로 면세점 특혜 의혹을 받고 있는 롯데를 정조준 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9일 재계 및 사정당국에 따르면 이 부회장을 구속시킨 특검의 다음 칼날은 롯데그룹을 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부회장 구속 수감 후 특검팀이 수사기간 연장을 전제로 대기업 수사가 가능하다는 입장으로 선회했기 때문이다. 특검이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롯데의 면세점 특혜 의혹이다.
앞서 롯데는 전국경제인연합회를 통해 미르·K스포츠재단에 45억원을 출연했다. 또 작년 3월 14일 박근혜 대통령과 신동빈 회장의 독대 이후 5월말쯤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추가 출연했다가 검찰의 압수수색 직전에 전액을 돌려받았다.
특검은 롯데가 이 같은 출연의 대가로 면세점 추가사업자 선정을 요구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실제 롯데는 지난 2015년 11월 면세점 특허심사에서 탈락했으나 2016년 12월 면세점 사업자로 추가 선정됐다. 재계에서는 특검 수사가 빠르게 진행될 경우 이르면 이달 안에 신 회장을 비롯해 주요 임원에 대한 소환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의 구속으로 수사에 탄력을 받은 특검이 조만간 롯데에 대한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특검이 수사 기한 연장을 요청한데다 특검 수사 종료 이후 검찰이 바통을 넘겨받을 가능성도 남아 있기 때문에 롯데가 사정당국의 수사를 피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향후 특검 수사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롯데는 신 회장의 형사처벌은 물론, 월드타워점의 사업권 박탈이라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관세청이 지난해 사업자 선정 당시 "향후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사업자의 사업권을 반납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롯데그룹 관계자는 "면세점 신규 특허와 미르재단 등에 대한 출연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다.
롯데 외에 CJ와 SK그룹 등도 '좌불안석'이기는 마찬가지다. 두 기업 모두 그룹 총수의 사면을 바라고 자금을 제공하거나 정부 시책에 적극 협조한 혐의와 관련해 특검의 수사 선상에 올라있다.
SK그룹는 두 재단에 대한 111억원 출연의 대가로 최태원 회장의 사면을 받았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CJ그룹은 이재현 회장의 지난해 8월 광복절 특사와 관련해 이 회장의 외삼촌인 손경식 CJ그룹 회장이 2015년 11월 27일 박 대통령과 독대에서 사면을 청탁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