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정 몸값만 약 225억원에 이르는 국내 우수 씨수마 ‘메니피’. '말산업'이 한국 경제를 이끌어갈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경마는 베팅이 전부가 아니다. ‘마필생산(1차 산업)'부터 ‘경주마로 육성(2차 산업)' 그리고 ‘경마시행(3차 산업)'까지 이뤄진 ‘복합 산업’이다.
한국마사회에 따르면 우수 혈통의 씨수마를 확보해 말을 생산하는 산업이 내수경제에 미치는 규모는 천문학적이다. 2014년 세계경마연맹(IFHA) 통계기준으로 경마선진국으로 불리는 미국이 보유한 씨수말 두수는 2080두, 프랑스는 1514두, 일본은 223두, 한국은 76두다. 이중 미국의 유명 씨수말 ‘아메리칸 파로아(American Pharoah)' 1두의 경우 2016년 기준으로 1회 교배료가 무려 약 2억3500만원이다.
물론 현재 한국의 말생산 시장규모는 과거에 비해 커졌다. 1991년 ‘국내산 경주마 생산 중장기 계획 추진’을 통해 자급률이 약 75%까지 향상됐다. 하지만 여전히 외산 경주마의 수입이 약 25%를 차지한다. 2005년부터 2015년 동안 연간 평균 약 100억원의 비용을 경주마 수입에 지출했다. 경마선진국과 비교하면 국내 마필 생산시장규모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만약 국내 말산업 규모가 일본과 비슷한 규모로 발전한다면 내수 경제 및 일자리 창출 효과는 상당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말생산 산업이 질적으로 성장한다면 연간 약 100억원 가량 발생되는 마필 수입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말 사육농가가 증가로 관련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다.
우수 씨수말의 육성을 통해 벌어들이는 경제 효과도 상당하다. 국내 '리딩사이어(우수 씨수마)'인 ‘메니피’는 추정 몸값만 약 225억원에 이른다. 씨수마의 몸값은 통상 1회 교배료에 1년 평균 교배횟수 그리고 리딩사이어로 활동한 평균 기간을 곱해 산출한다.
잘 키운 씨수마로 중소기업의 연 수입에 맞먹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국내 씨수마 두수가 약 76두(2014년 기준)인 것을 감안할 때 씨수마 시장이 성장했을 때 거둘 수 있는 파급 효과는 상당하다.
한국마사회는 "말을 사육시장의 연매출은 100억원 수준으로 우수하다. 말산업 육성이 국가경제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말산업 발전의 일환으로 한국마사회는 12일부터 마주를 모집하고 있다. 올해 한국마사회는 마주를 상시 모집할 방침이다. 안정적으로 마주자원을 확보하고 모집 기간에 맞춰 급히 서류를 준비해야 되는 신청인들의 불편을 해소할 목적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연중 신청자를 모집하되 분기별로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마주를 최종 선발하는 방식이다.
올해부터는 교차등록도 허용된다. 장기적으로 통합마주 도입기반을 마련하려는 취지다. 이에 따라 현재 렛츠런파크 부경 마주로 등록된 자라 할지라도 일정조건만 충족한다면 서울 마주로의 활동이 가능해 졌다. 모집인원은 70명 내외고 모집부문은 개인마주, 법인마주, 특별조합마주 등이다. 모집 시기는 부문별로 다르다.
개인 법인마주는 현재 상시 모집 중이고, 교차등록마주는 14일부터 30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끝으로 특별조합마주는 오는 20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분양 대상마를 신청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