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할까, 안통할까 고민을 버렸다. 잘 만들었다고 생각이 들면 소신있게 그대로 밀고 나갔다. 최근 역주행에 성공한 '좋니'가 대표적인 예다.
'좋니'는 윤종신이 수장으로 있는 미스틱엔터테인먼트의 새로운 플랫폼 '리슨'에서 탄생한 곡이다. 지난 6월 발표해 100위권으로 진입, 차근차근 한 단계 씩 오르다가 지난 16일엔 국내 대표 음원 사이트 멜론에서 1위를 차지했다. 1위 소감을 묻자 "우리만의 발라드 정서가 아직 살아 있는 듯해서 기쁘고 발라드인으로서 역주행하고 있어 기뻐요. '좋니'는 오래도록 사랑받는 곡이 될 것 같아요. 저변이 넓은 곡이거든요. 그게 이상적인 히트라고 생각해요"라고 답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간 윤종신' 8월호를 작업합니다"라고 말하며 웃음을 보였다.
2010년부터 매월 '월간 윤종신'을 발행해 어느덧 100회를 앞두고 있다. 아무도 시도조차, 시도할 생각도 하지 않았던 작업이다. 매월 신곡을 발표한다는 건 아티스트에게 쉬운 게 아니다. 윤종신처럼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으면 더더욱 그렇다. 열정과 창의력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월간 윤종신'의 포맷은 후배 아티스트들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아이돌까지 벤치마킹하기도 했다.
SM엔터테인먼트와 전략적 제휴를 맺으며 음악 영역을 한층 넓혔다. 여기에 JTBC '팬텀싱어' 멘토로 활약하며 크로스오버계에도 진출했다. 시즌1에 이어 시즌2까지 합류했다. 베테랑 가수지만 '팬텀싱어'를 통해 가창을 배우고 있었다. 박상돈과 손태진을 미스틱에 영입하며, 대중음악과 새로운 결합을 유도했다. 음악 시장 개척의 중심에 선 셈이다.
"'팬텀싱어'에 출연한 사람을 스타로 만들고, 연예계로 데리고 와야 더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아웃풋이 결국 스타잖아요. 정확하게 말하면 크로스오버라는 장르가 지속 가능하게 가기 위해선 스타가 나와야 해요."
때로는 진지하면서 유쾌하게, 또 야망가 다운 발언을 하다가도 철학가 적인 면모도 드러냈다. 대형 플랫폼에 대한 따끔한 지적도 마다하지 않았다. 취중토크가 아니면 들을 수 없는 내용들이었다.
-취중토크 공식질문입니다. 주량이 어떻게 되나요. "소주는 3병 정도 마셔요. 잘 먹는 편이죠. 술버릇 같은 건 딱히 없어요. 자거나 집에 가요. 3병을 급하게 마시면 취하는데 천천히 마시면 4, 5병도 마시는 것 같아요. 오히려 20대 때보다 요령이 생겨서 그런지 40대인 지금 더 잘 마셔요. 그땐 술을 모르고 마시니 취한 거고, 이젠 몸이 술에 적응되어 가는 것 같아요."
-아내는 일주일에 몇 번까지 음주를 허용하나요. "일주일에 2번 정도는 먹는 것 같은데 2번 넘으면 뭐라고 하는 것 같아요. 아내랑도 가끔 마셔요."
-결혼한 지 11년이 됐네요. 한땐 노총각을 상징하기도 했죠. "지금과 비교하면 노총각도 아닌 것 같아요. 그땐 30대 초반만 돼도 노총각이라고 했었거든요. 점점 결혼 적령기라는 말이 없어지는 것 같아요. 아이들 학부모 회의때 가봐도 내 또래 사람이 많아요. 39세에 큰 아이를 낳았으니까."
-여자의 감성을 잘 이해하는 것 같아요. "이해하지 못 하면 이 업계에서 생존하지 못해요. 근데 그러면서도 마초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어요. 기본적인 성향은 배려심 많은 마초죠. 마초지만 남에게 우기지만 않으면 괜찮다고 생각해요. 문화적 성향은 선이 굵은 걸 좋아하거든요."
-아내도 마초적인 성향에 끌린 걸까요. "마초적인 걸 좋아하지만 그건 문화나 패션, 스포츠에서 그런 것이지 아내와의 관계에선 좀 달라요. 잡혀서 살아요." -'리슨'에 실린 '좋니'가 음원차트 1위를 차지했어요. "변하지 않는 이별 정서에 대한 공감과 솔직함에 반응한 듯해요. 우리만의 발라드 정서가 아직 살아 있는 듯해서 기쁘고 발라드인으로서 역주행하고 있어 기뻐요. '좋니'는 오래도록 사랑받는 곡이 될 것 같아요. 저변이 넓은 곡이거든요. 그게 이상적인 히트라고 생각해요. 마케팅을 정말 하나도 안 했어요. 알음알음 소문이 나 1위까지 오른 거예요. '리슨'이라는 프로젝트 자체가 탈차트를 지향하거든요. 최소한의 마케팅을 추구하죠. 양질의 '미스틱스런' 곡을 모은 전집 같은 느낌이에요. 미스틱스런 곡만 채워서 나중에 음악사이트에 '리슨'이라는 카테고리가 생기길 바라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간 윤종신' 8월호를 작업합니다."
-탈차트 전략이 1위로까지 이어졌는데. "미스틱의 다짐이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돼 기뻐요. 꾸준히 '리슨'의 좋은 듣는 음악들이 나올 거예요."
-'리슨'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요. "아무래도 소속 가수가 많아 정식으로 다 론칭하긴 어려워요. 그래서 시작한 게 '리슨'이에요. 론칭하는 날이 오겠지만 그 전에 거치는 임상시험인 셈이죠."
-하나의 마케팅 방법이 되는 건가요. "무조건적으로 미스틱의 방법이 옳다고 주장하는 건 아니에요. '우린 이렇게 산다'는 걸 보여주는 거죠. 전체적인 걸 홍보하는 거예요. 노래는 작곡, 편곡, 가사로 이뤄져 있어요. 노래를 뛰어넘는 홍보비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건 배보다 배꼽이 큰 거죠. 가끔 그런 가요기획자들을 보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어요. 난 꾸준히 음원을 냈던 팀에서 답을 얻었어요. 결국 쉬지 않고 해야 한다는 거죠. '우리는 될 거야'란 미친 사명감으로 끊임없이 하는 거예요. 그래서 최소한의 마케팅을 하고 있어요. '좋니'는 700여만 원을 들여서 만든 곡이에요."
-'월간 윤종신' 작업이 힘들진 않나요. "곡 수로는 100곡이 넘었어요. 내년이 100호인데 생각보다 곡 쓰는 사람들은 곡을 빨리빨리 쓸 수 있어요. 생각도 많이 떠오르고요. 놀 수가 없어요."
-어디에서 영감을 얻나요. "일을 해요. 세상 속에 살아야 하거든요. 노래에서 가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실제로 겪거나 생각나는 것 위주로 써요. 가수라는 직업이 자기 생각을 남길 수 있는 일이잖아요. 떠오르는 걸 대부분 노래로 옮기려고 노력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