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정원석 연구위원과 황인창 연구위원은 20일 발간한 '인터넷 전문은행 영업성과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인터넷 전문은행은 자본 규모가 크지 않아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고신용자 고객 유치에 집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케이뱅크가 저신용자에게 적용한 대출 금리가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두 연구위원이 은행연합회의 자료를 정리한 주요 은행의 신용한도 대출(마이너스통장) 금리 현황에 따르면 최우량인 1~2등급일 때 케이뱅크의 금리는 3.28%로 신한(3.50%)·KB국민(4.47%)·KEB하나(3.61%)·우리(3.63%) 등 주요 시중은행보다 낮았다.
하지만 등급이 낮아질수록 대출금리는 시중은행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우량등급인 3~4등급에서는 케이뱅크가 4.90%로 KB국민은행(5.05%) 다음으로 높았다. 일반등급인 5~6등급에서도 케이뱅크는 6.49%를 적용하고 있어 가장 높은 기업은행(6.84%) 다음으로 높았다. 다른 시중은행은 4~5% 수준이었고 신한은행은 3.65%로 가장 낮았다.
두 연구위원은 "은행이 대출 상품을 판매하면 원리금을 상환받지 못하는 위험을 안기 때문에 신용 등급에 따라 대출금리를 차등한다"며 "케이뱅크는 7등급 이하에는 대출을 해 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