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선수의 한국 적응 등을 돕기 위해 지난해부터 외국인 코디네이터를 운영하고 있다. 본사 데이터 팀에 속해 있는 패트릭 버고(39)가 2년째 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구단 관계자는 "홈이나 원정 경기 때 일이 있으면 야구장에 온다. 외국인 선수가 등판하는 날에도 마찬가지다. 야구장이 아니면 밖에서 따로 만나 이야기를 나눈다"고 말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외국인 선수의 몸값이 수직상승 하면서 '적응'에 실패할 경우 구단이 받는 위험성도 커졌다. NC는 이 위험성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외국인 코디네이터를 통해 외국인 선수의 국내 무대 안착을 돕고 있다. 말동무가 되기도 하고, 고민도 해결해 주면서 경기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그는 일간스포츠와 서면 인터뷰에서 "선수들이 팀의 성공을 위해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내 역할이다"고 말했다.
-정확하게 현재 어떤 일을 하고 있나. "NC 데이터 팀에 소속돼 외국인 선수 관련 일을 하고 있다. 통역을 비롯한 다른 직원들과 함께하면서 외국인 선수가 한국과 KBO 리그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중점을 둬 도움을 주고 있다. 선수들이나 환경이 바뀌기 때문에 하는 일은 매 시즌 달라진다. 예를 들어 올해에는 재프 맨쉽과 재비어 스크럭스가 새롭게 영입돼 자연스럽게 담당하는 일도 달라졌다. 스프링캠프 때부터 맨쉽과 스크럭스에게 한국과 미국의 문화를 비교해서 알려 주는 교육도 했고, 최대한 빨리 적응할 방법들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다."
-한국에 처음 오게 된 계기는. "대학생 때 가장 친했던 친구가 한국에서 온 교환학생이었다. 그래서 한국 친구들을 사귀었고, 2002년에 친구들을 보러 처음 한국에 왔다. 이후 2004년부터 한국에 살기 시작했는데 그 전에도 두 번 정도 더 방문했다. 한국에서 살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이런 인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 친구들이 많이 도와 줬다. 외국인 선수들이 한국과 한국 야구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데 내가 겪었던 경험이 도움 되는 것 같다."
-야구에 관심이 있었던 건가. "고등학교 때까지 야구를 했는데 그만둔 뒤에도 보는 걸 좋아했다. 한국에 온 뒤에도 계속 관심을 가졌고, 자연스럽게 메이저리그에서 KBO 리그로 눈을 돌리게 됐다. 한국에 살면서 야구에 대한 흥미는 더 커졌다. 특히 1800년대부터 한국에서 야구를 했고, 한국 야구팬들이 1980년대 초반부터 세이버메트릭스에 대한 논의를 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고 나도 SABR(Society of American Baseball Research)에 가입해 한국 야구사에 대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
-야구단에서 일하게 된 계기는. "주로 공부한 건 KBO 리그 이전의 한국 야구지만 외국인 선수들이 자주 바뀐다는 걸 인지하고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당시 한국능률협회(2011~2014년 재직)에서 한국 회사에 일하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비교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었는데 한국에서 뛰는 외국인선수들은 어떤 교육을 받는지 궁금했다. 그 시기에 한국에서 뛰거나, 뛴 경험이 있던 선수들, 그리고 한국 야구 산업에 일하는 사람들과 얘기할 기회가 생겼고 이런 교육이 외국인 선수와 팀 모두에게 이익이 될 거로 생각했다. 직장을 그만두고 서강대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KBO 리그 팀들에 내 생각을 전하는 과정에서 NC와 인연이 닿았다. 에릭 테임즈(현 밀워키)에 관해 코리아 타임즈에 기고한 글을 보고 연락이 왔고, 얘기를 나눈 끝에 일하게 됐다."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고 일을 하나. "선수들이 팀의 성공을 위해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애매하고 광범위한 일로 들리겠지만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이다. 그 나라의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일하려면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문화에 적응하거나 일상생활을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외국인 선수들이 겪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위에서 말했듯이 내 일은 선수들이 한국 문화를 더 잘 이해해서 가능한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포함한다. 선수들이 경기장에서 야구에 더 잘 집중하고 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경기장 밖에서 일어나는 어려운 일들에도 도움을 준다."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을까. "야구장 밖에서 일어난 일 중의 하나를 꼽으라면, 올해 초 스크럭스의 부모님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다. 서울에서 경기가 있었는데 경기 직전에 부모님이 도착했고, 스크럭스가 공항에 데리러 가지 못하는 상황이라 내가 그들을 야구장에 데려와 경기를 볼 수 있게 도왔다. 그날 경기가 끝나고 다음 경기를 위해 팀이 마산으로 가야 해서 스크럭스 부모님을 데리고 함께 기차를 타서 마산 아파트까지 데려다줬던 게 기억에 남는다."
-구단과 선수의 가교 역할을 해야는 데 어려움 점은 없나.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는 모두 한 팀에 있고, 같은 목표를 위해 일한다'는 것이다. 이전 사례들을 봤을 때 팀과 외국인 선수 사이에 발생했던 문제 대부분이 소통이 잘 되지 못한 오해에서 비롯됐다고 생각한다. 문화적 차이와 언어 장벽이 이런 문제들을 일으킨 것 같다. 이것을 인지하고 비슷한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내 일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