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이 발전하면서 다분화하고 있다. 방송 종사자들도 속속들이 해당 직업의 특성과 업무 분담에 대해 상세하게 알지 못하는 상황이다. 올해로 연예계에서 7년째 밥벌이를 하고 있는 기자 역시 다양한 방송 관련 직업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직접 나섰다.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베테랑을 만나 해당 직업의 특성과 에피소드,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진짜' 이야기를 들어 보고자 마련한 코너. 방송이 궁금한 이들이여, '방궁너'로 모여라.
일곱 번째 주인공은 JTBC 미술감독으로 활동 중인 윤진희 팀장이다. KBS 무대 디자이너로 시작해 JTBC 개국에 맞춰 이직, 올해로 19년 차다. 무대 디자이너의 세계에선 창의적인 생각과 도전 정신이 중요한 키였다.
※'황소영의 방궁너①'에서 이어집니다.
-무대 디자이너는 대부분 방송사 소속인가 아니면 프리랜서인가. "헤드들은 대부분 소속되어 있다. 제작하는 쪽은 외주사가 많다. 무대라고 하는 공간이 있으면 테이블 만드는 곳, 조명 다는 곳 등 파트별로 세분화가 되어 있다. 그래도 난 스태프 복이 많아 같은 스태프들과 계속 호흡을 맞추고 있다. 스태프들에게 '네가 최고다'라는 진심을 전해준다. 그러면 스태프들도 정말 마음을 다해 제작해준다. 그게 표면적으로 느껴진다. 결과물로 느껴진다."
-직업을 말하면 '힘들겠어요'란 말을 많이 듣지 않나. "미술감독이라고 하면서 무대를 한다고 하면 제작하는 줄 알고 '(육체적으로) 힘들겠어요'란 말을 많이 하는데 그건 혼재된 것이다. 미술감독은 기획하고 제작 검수하고 실행 단계에서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한다."
-꿈꾸던 현실과 직접 경험한 현실의 차이는. "재밌을 것 같다는 호기심으로 시작했는데 실상은 업무 강도가 너무 셌다. 제한된 시간 안에 디자인해서 만들고 설치하고 반복되다 보니 쉽지 않았다. 스튜디오라는 공간이라는 것도 제한적이지 않나. 제한적인 환경 속 업무를 수행하는 게 만만치 않았다. 그래서 '보여지는 화려함과 많이 다르구나!' 그런 걸 느꼈다. 하면서 '이게 아닌데' 이러면서도 이 직업만의 매력이 있어 계속하는 것 같다. 무대 디자인을 하는 선·후배들 역시 다 그런 마음에서 하는 것 같다." -대학 전공도 디자인을 했나. "공간 디자인학을 전공했다. 어렸을 때부터 미술을 좋아했다. 공간 지각력이 다른 사람보다 높았다. 처음에 일할 때 평면을 드로잉 해보라고 해서 그렸는데 평면을 보면 입체로 느껴진다. 그게 바로바로 설계를 할 수 있는 이유다. 그렇게 딱딱 구조화가 되는 게 신기하면서도 이게 천직이란 생각이 든다."
-지금의 위치에서 과거를 되돌아보면 어떤 생각이 드나. "뭔지도 모르고 했지만 열의는 있었다. 선배들이 하는 걸 보면서 분석했다. 나만의 방법으로 해석해서 단계적으로 조금씩 변화를 줬다. 잘 희석해서 녹인다고 선배들이 스펀지 같다고 했다. 그리고 새로운 소재가 보이면 시도도 많이 한다. 우리나라 무대에서 글라스를 바닥으로 사용해 유리 무대를 시도한 것도 내가 처음이다. 신소재가 나오면 세트에 어떻게 접목시킬 수 있을까 항상 생각한다. 처음에 방송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에 조심스럽다. 근데 그걸 어느 순간 즐기고 있다. 다른 회사 후배들이 '선배가 쓴 거면 괜찮은 거니까 나도 써보려고 한다'고 하더라. 신소재를 개발하고 적용해야 한다는 사명감이 생겼다."
-현재 담당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예능과 보도 총괄이다. 'JTBC 뉴스룸'부터 '아는 형님' 등을 담당하고 있다."
-'크라임씬' 세트의 경우 구성하기 더 어려웠을 것 같다. "시즌3니까 적응이 될 때가 되지 않았나. 처음에 '크라임씬'은 세트의 벽체가 거의 없고 카메라 앵글과 출연자의 동선을 파악해서 구역을 나눠 배치하는 게 어려웠다. 포맷이 중국에 수출되고 거기서 또 도움을 주고 하다 보니 처음보단 쉬워졌다."
-시체의 디테일함이나 단서의 디테일함을 위해 신경 쓴 점은. "작가하고 계속해서 수정했다. 현장에서도 증거물을 준비하는데 현장 수정이 많은 편이었다. 증거이기 때문에 보여지는 게 다가 아니었다. 중요한 단서가 되니까 그런 부분을 연출하는데 신경을 많이 썼다."
-이 직업을 꿈꾸는 이들에게 조언을 해준다면. "새로운 창조물을 만드는 직업이니 상황 여건이 힘들어도 해볼 만 한 가치가 있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 매일 새로움을 표현한다는 건 굉장히 의미 있는 일이다. 스스로 행복감을 주고 타인에게도 행복감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해보면 정말 이 매력에 빠질 것 같다."
-앞으로의 목표는. "지금 맡은 업무에 최선을 다하고 무대라는 공간을 통해 JTBC의 채널 이미지를 잘 알리고 싶다. 사람들과 잘 소통하고 싶다."
-5년 후 자신에게 한마디 건네달라. "5년 후에도 이 일을 하고 있을 것 같다. '열심히 살았는데 앞으로도 지금처럼 인생을 즐기고, 일을 즐기면서 행복을 만들어 나갔으면 좋겠다. 대견하고 잘하고 있다'고 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