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2'는 인문학적 교양을 넓히는 프로그램이다. 삐딱한 시선으로 본다면 대중에게 지식을 강요하는 느낌이 들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꼰대' 방송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알쓸신잡2'는 '알쓸신잡'식으로 반박했다.
26일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 아모리스홀에서는 tvN 예능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2(이하 '알쓸신잡2)'의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이날 유희열·유시민·황교익·유현준·장동선·나영석 PD·양정우 PD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tvN '알쓸신잡2'는 정치·경제·미식·건축·뇌과학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잡학 박사'들과 연예계 대표 지식인 유희열이 진행을 맡아 분야를 막론한 무한 지식의 향연을 펼치는 프로그램이다.
나영석 PD는 '알쓸신잡2' 기획의도에 대해 "일종의 여행 프로그램이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여행을 가면 어떤 음식을 먹고 어떤 이야기를 나누고 어딜 여행가는지가 '알쓸신잡'의 프로그램 취지"라며 "너무 어렵게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꼰대' 방송이라는 비난에 대해서는 "사람이 모든 변수를 통제할 수 없다. 보시는 분에따라 그렇게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 짐은 다 전문가들이 짊어지고 있는 거다. 그 점을 보완하기 위해 젊은 PD를 영입했다. 시즌2에선 조금 달라지지 않을까"라고 해명했다.
장동선 박사는 "과학자들은 정의를 중요시 한다. '꼰대'라는 정의는 '다른 사람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 어른'이다. 그러나 '알쓸신잡2'를 촬영하면서 선생님들을 가까이서 지켜 본 결과 절대 꼰대의 느낌이 없다. 늘 배우려고 하고 들어주려는 모습이 있다. 정의상의 꼰대 모습은 없다"며 호언장담했다. 시즌2에서는 김영하 소설가와 정재승 박사 대신 유현준 건축가와 장동선 뇌인지 박사가 투입됐다. 섭외 때부터 많은 화제를 낳았던 부분이다. 새 '잡학박사' 투입으로 기존의 시즌1의 케미를 무너뜨리지 않을지에 대한 우려의 시간이 존재했던 것. 이점에 대해 양정우 PD는 "시즌1부터 관심을 줬던 전문가들이다. 시즌1 때 건축 관련 분야에 대해 깊어지지 못했던 부분이 아쉬워서 유현진 건축가를 섭외했다. 장동선 박사님은 시즌1때 독일에 계셨다. 모시고 싶었는데 못 모셨다가 연락드려서 함께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새 '잡학박사'는 '알쓸신잡2'에 적응을 완벽하게 했을까. 유현준 건축가는 "모두들 편하게 대해줘서 고마웠다. '알쓸신잡2' 촬영하면서 남자들끼리 다니는 게 이렇게 편한지 몰랐다. 연관 검색어에 장동선이 같이 뜬다. 주중에도 같이 보고 있다. 어머니 보다 더 많은 칭찬을 해준다"고 밝혔다.
장동선 박사도 "재밌을 것 같아서 아무생각 없이 선택했다. 독일에서 귀국한지 반년밖에 안 됐다. 제가 알고있는 과학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며 "독일에서도 한국에서도 방송을 해봤지만, '알쓸신잡'은 메시와 호나우두가 드리블을 하고 뛰고 있어서 공을 뺏지 못하는 느낌이다"며 "더 배우고 싶어서 결심했다"고 밝혔다.
유현준 건축가와 장동선 박사, 황교익 칼럼니스트는 가고 싶은 소도시로 북한 평양과 함경도를 꼽았다. 유현준은 건축가는 "가깝지만 가지 못하는 곳"이라고 말했고, 장동선 박사는 "어머님 고향이 함경도다. 어머님의 고향도 살펴보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황교익은 "개마고원을 가고 싶다"고 바람을 전했다.
마지막으로 유희열은 "'알쓸신잡2'는 주인공이 우리가 나이라 소도시가 주인공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사는 도시에 이런 이야기가 있었구나라는걸 시청 관전포인트로 삼아줬으면 좋겠다"며 관전포인트를 설명했다. 이어 "나PD에게 바라는 점이있다. 유희열의 '동물농장'처럼 만들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27일 금요일 오후 9시 50분 첫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