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무대를 시작으로 브라운관과 스크린에 진출하는 '진짜배기' 배우들이 많아졌다. 신선한 얼굴을 찾는 대중들을 위해 방송계와 영화계가 '나름'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러한 배우들이 반가운 이유는 '누구지?'라는 낯선 첫만남도 잠깐, 신을 지배하는 연기력으로 시청자들과 관객들에게 짜릿한 희열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이는 실제 배우에 대한 궁금증으로도 이어지게 만든다. 한 시상식에서 "우리나라 배우들이 제일 연기 잘 한다"는 나문희의 소감을 증명하는 이들이 바로 이 신스틸러들이다.
KBS 2TV '김과장', OCN '터널', SBS '조작'을 거쳐, 현재 출연 중인 JTBC '언터처블'과 SBS '이판사판'까지 2017년 스케줄을 빼곡하게 채우며 시청자들에게 제대로 눈도장을 찍은 배우 김민상 역시 올해를 빛낸 신스틸러 중 한 명이다.
연극배우라면 누구나 겪는다는 생활고로 인해 6년간 연기와 잠시 헤어져야 했던 시기도 있었지만 돌고 돌아 돌아온 곳은 다시 무대였다. "돌아올 생각으로 떠났던 것이다. 예정돼 있는 수순이었다. '조금만 안정되면 돌아오자' 다짐했는데 6년이나 걸리긴 했다"며 후련하게 터뜨린 웃음은 김민상이 겪어야 했을 고충과 그것을 뛰어넘는 연기에 대한 애정을 조금이나마 가늠케 했다.
명연기를 펼쳤음에도, 호평을 받았음에도 "부족한 점이 너무 많다"고 말하는 겸손함 역시 중년의 나이 '연기'로 조명받은 배우들의 공통점이다. 때문에 조금 더 활발하게 뛰고 싶은 현장은 스스로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여유로운 영화다. 드라마도 좋지만 한 번도 후회없는 연기를 펼치지 못했기에 내공을 다지고 싶다는 속내. 스크린 데뷔작 '도가니(황동혁 감독)를 비롯해 '타짜-신의 손(강형철 감독)', '럭키(이계벽 감독)' 등 조연일지라도 출연작들의 흥행 타율 역시 꽤 좋다. 2017년 '범죄도시(강윤성 감독)' 진선규를 잇는 2018년 김민상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
- 올해 많은 드라마를 통해 사랑받았다. "아무래도 '터널'의 반응이 컸다. '조작'을 보냈고, 지금 '이판사판' '언터처블'을 찍고 있는데 배우들과 감독님이 너무 좋다. 특히 '언터처블' 감독님은 촬영내내 웃고 있다. '뭐가 저렇게 재미있을까' 싶을 정도로 웃는다. 잘 풀리는 것 같아 보는 사람 입장에서도 기분 좋더라."
- 굉장히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지 않나. "생각만큼 바쁘지는 않지만(웃음) 감사하다. 찾아주는 사람이 있을 때 행복한 직업 아닌가. 개인적으로는 드라마도 좋지만 영화 쪽 일을 더 하고 싶다. 내년부터는 드라마를 조금씩 줄이고 영화에 집중하려고 한다."
- 영화 현장이 더 좋은 것인가. "속도 빠른 드라마 보다는 영화가 나와 잘 맞는 것 같다. 개인 성향의 차이다."
- 스크린 활동을 아주 안 한 것은 아니다. 작은 역할이지만 흥행작에 여러 번 모습을 드러냈다. "했다고 하는데 '도가니' 이후 관객이 든 영화가 많지는 않다. '타짜2-신의 손', '럭키' 이 정도이지 않을까? 기본적으로 영화를 하는 분들이 나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다. 그래서 오디션이 필요하다. '럭키'도 오디션을 통해 발탁됐다. 죽을 각오로 봤다. 오디션장에 갔더니 (조)한철이 등 오래전부터 알고 지냈던 친구들이 '어? 형님 여기는 어떻게 오셨어요?'라고 하더라.(웃음)"
- 오디션이 가장 쉬우면서도 어려운 길인 것 같다. "날 모르니까. 안 써주니까. 날 알리는 방법은 오디션 밖에 없다. '무조건 오디션 보겠다. 작은 역할이라도 보겠다'고 한다. 근데 내 나이에 주어지는 캐릭터가 한정적이다 보니 볼 수 있는 오디션이 많지 않다. 올해 본 것도 세 개 정도다. 최근 촬영을 마친 '협상'은 조감독님과 친분이 있어 감사하게도 바로 써주셨다.(웃음) 정말 연기가 하고 싶다면 누가 날 찾아주길 바라기 전에 찾아 나서야 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배우에게 오디션은 그냥 당연한 수순이다."
- 왜 영화가 더 끌리나. "드라마 연기가 나에게는 어려워서 그런 것 같다. 최근에도 100% 만족스럽게 연기하지 못한 채 끝낸 신이 있다. 그럴 땐 '내가 찍힌 필름이 잘못되서 날 다시 부르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한다. 시청자들에게 못난 연기를 보여주느니 몇 번이고 다시 하는 편이 낫다. 물론 기회가 많지는 않다."
- 분위기 때문일까. "확실히 드라마는 현장에 녹아들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대본을 보면서 내가 생각했던 분위기와 너무 다르게 현장 세팅이 돼 있을 때가 많기 때문에 연기하기 전부터 당황하게 되더라. 집에 오면서 '이렇게 할걸' 꼭 곱씹게 된다. '돈만 있으면 필름 사고싶다'는 생각까지 한다.(웃음)"
- 가장 긴장했던 순간은 언제인가. "작품을 할 때마다 있는 '낭만닥터 김사부'에서 한석규 선배님과 만나는 신이 제일 떨렸다. 워낙 오래 전부터 좋아했던 선배님이라 진짜 긴장했다. 안 그런척 하려고 하면 왜 더 꼬이지 않나. 신나게 놀아야 했는데 입이 잘 안 열렸고, 감정도 다 토해내지 못했다. 언제 또 선배님을 뵐 수 있겠나. 여전히 아쉽다."
- 본인이 나온 작품은 다 챙겨보는 편인가. "내가 나오는 것은 다 본다. 개인적으로 '공항가는 길'을 좋아한다. 2회에 잠깐 등장한 역할이었는데 반응이 꽤 좋았다. KBS CP님이 직접 전화도 주셨다. '김과장'도 재미있게 찍었다. 촬영은 생방 수준이었지만 유쾌한 친구들이라 웃다가 NG가 많이 난 작품이다. 내 역할도 후반부에 코믹스러운 이미지가 나와 좋았다."
- 최근작까지 대부분 악역에 가까운 캐릭터를 맡았다. "맞다. 실제 나는 꽤 따뜻한 사람인데(웃음) '이판사판'에서는 넘버투 수석부장을 연기한다. 이덕화 선배 쪽이다. '언터처블'도 마찬가지다. 한 겨울에 민소매 입고 나타나서 범죄자들 제압하고 김성균 씨 라인을 밟는다. 앞으로는 따뜻한 역할도 하고 싶다." >>②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