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좋은 단어를 써도 부족하다. 그래서 '어떠한 찬사도 아깝지 않은 작품'이라는 평이 가장 많이 쏟아지고 있는 영화 '1987(장준환 감독)'이다. 2017년 개봉한 마지막 한국 영화로, '6월 항쟁'이 치러진지 꼭 30년 만에 개봉하는 영화로 그 의미를 더한 '1987'은 관객들의 극찬에 힘입어 쾌속 흥행 질주를 펼치고 있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에 보기에는 다소 묵직하고 무거운 소재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영화의 힘은 관객들을 움직이게 만들었고, 그 속에 담긴 진정성은 자발적 홍보로 이어졌다.
'만들고 싶지만, 만들어질 수 있을까'라는 걱정은 오로지 장준환 감독의 몫이었다. 살얼음판 같았던 시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1987' 시나리오를 꼭 쥐고 있었던 장준환 감독의 걸정을 덜어내준 이들은 다름아닌 이름값 굵직한 배우들이었다. 첫 타자 강동원을 필두로 김윤석·하정우 등 충무로를 대표하는 배우들이 빠르게 합류를 결정하면서 제작에 급물살을 탄 '1987'은 크랭크업한 그 해 개봉하는 '초스피드' 수순을 밟았다. 저예산 제작까지 염두해 뒀던 장준환 감독에게는 하늘에서 뚝 떨어진 천운이었다.
예상보다 커진 스케일에 자동적으로 느껴졌던 부담감도 잠시, 장준환 감독은 "돌이켜 생각해 보면 즐거운 비명이었다"며 일련의 과정을 표현했다. 영화적인 재미를 더하되, 철저한 고증을 통해 30년 전 그날의 모습, 그날의 분위기를 전달하고 싶었다는 장준환 감독의 목적은 120% 달성됐다. 남은 것은 역시 관객과의 소통. 장준환 감독은 "이젠 관객들에게 그 날의 메시지가, 이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고스란히 전달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 1987 모자가 돋보인다. "1987이 쓰여진 모자만 세 개다. 나와 와이프가 기념용이자 선물용으로 준비하고 있었는데, (김)태리 씨 역시 따로 모자를 준비했고 스태프들도 만들었더라. 현장에서 '모자 풍년이다'고 했다.(웃음)"
- 영화에 대한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마지막까지 일정이 빠듯해 정신 없었다. 지금도 아직 정신을 다 차리지는 못했다.(웃음) 반응은 간간히 체크하고 있는데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만들어질 수 있을지 조차 몰랐던 작품이기 때문에 더욱 감회가 남다른 것 같다. 전(前) 정권 때 제작을 시작했기 때문에 조마조마한 마음이 있었다. 무엇보다 일부 유가족 분들이 '좋다'고 해주시니 막혀있던 것이 한꺼풀 내려간 느낌이다." - 시사회 때 결국 눈물을 떨궜다. "되게 창피하다. 하하.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뭔지 모르겠지만 나도 모르게 뚝뚝 떨어지더라. 평소에는 잘 안 운다. 영화나 소설을 볼 때 찔끔찔끔 흘리긴 하지만 원체 메마른 사람이다. 근데 이번 작품을 하면서는 유독 많이 울었다. 무너졌던 순간도 많았다. 그 부분이 나 스스로도 의아하다. 작품이 갖고 있는 신기한 힘인 것 같다."
- 유가족들도 영화를 관람했다고. "고(故) 박종철 열사 누님께서 해주신 말이 있다. 그동안 이 소재를 갖고 많은 시도들이 있었던 것 같다. 나는 잘 몰랐던 부분인데 유가족 분들은 모를 수가 없지 않나. 기획과 시나리오를 봤을 때 대체적으로 썩 만족스럽지는 않으셨던 것 같다. 근데 '1987'를 관람하고 나서 '영화로 잘 만들어줘서 고맙다. 뿌듯했다'고 말씀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했다. 그 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촬영부터 개봉까지 굉장히 빠듯한 시간을 보내야 했다. "내가 워낙 느린 사람인데, 첫 작품 만들고 두 번째 작품 내놓을 때까지 10년씩 걸린 사람인데 갑자기 시대가 변하고 훌륭한 배우분들이 동참해 주시면서 순식간에 많은 일들이 일어났다. 즐거운 비명이었다. '영화를 만들 수 있을까' 걱정했던 사람에게 주어진 행운이었다. 순조롭지만 너무 바쁘게 진행되다 보니 부담감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 부담감 조차 행복했다."
- 감독으로서 기대한 부분 혹은 우려했던 부분이 있었다면 무엇인가. "창작자로서 새로운 시도로 생각된 부분은 안타고니스트를 뼈대에 두고 많은 주인공들이 쭉 흘러가는 구조가 신선하다는 것이었다. 결국 영화를 보는 주체인 관객이, 관람석에 앉아 있지만 '내가 주인공일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하면서 스스로 '이 시대의 주인공'이라는 마음을 품고 영화관을 나갈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았다. 누구나 같은 감정을 느끼지는 못하겠지만 내가 원했던 반응들이 꽤 있어 다행이다. '내가 이 시대를 만들어 간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씀해 주신 분들도 계셔서 뿌듯하고 자랑스럽고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