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은 10일 '2018년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19년 전망'을 밝히는 간담회를 열고, 2019년 전국 주택 매매 가격은 지난해보다 1.0%, 주택 전세 가격은 2.4% 각각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고 밝혔다. 감정원이 주택 매매 가격 하락을 예상한 것은 지난 2014년 연간 부동산시장 전망을 시작한 뒤 처음이다.
지난해 급등세를 보였던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은 정부의 규제 지속과 입주 물량 증가 등 영향으로 약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 매매 거래량은 약 81만 건으로 지난해보다 5.5%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 가격은 전년보다 1.1% 상승했다. 서울 집값이 6.2% 급등했고, 광주(3.9%) 대구(3.6%) 전남(2.9%) 대전(2.5%) 세종(2.2%) 경기(1.9%) 등 일부 지역은 비교적 높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전세 시장은 입주 물량 증가로 공급이 대거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실수요가 많은 지역은 매매 시장 관망세에 따른 반사효과로 수요가 일부 증가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정부의 규제 정책 기조 속에서 투자자의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실수요자가 관망세를 유지하면서 주택 구입을 보류하거나 시기를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매매 시장의 경우 개발 호재가 있는 일부 지역은 국지적 상승을 보일 수 있으나 입주 물량 증가, 정부 규제, 지역산업 위축 등으로 전국적으로 하락세로 전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채미옥 한국감정원 KAB부동산연구원 원장은 "매수 심리는 당분간 관망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서울·경기 일부 지역의 입주 물량 증가가 인접한 수도권 주택시장 전반에 걸쳐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주택 전세 시장은 입주 물량이 증가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의 하락세가 뚜렷해지고, 이들 지역으로 전세 수요 이동이 기존 지역주택시장을 후퇴 또는 침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