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가 지난해 처음으로 26만 대 판매를 넘어섰으나 급성장의 그늘도 짙어지고 있다. 리콜 증가와 더불어 배출가스 조작·허위 광고 등 각종 문제가 속출하고 있어서다. 질적 성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21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 판매는 26만705대로 전년 동기(23만3088대) 대비 11.8% 증가했다.
1987년 수입차 전면 개방 이후 30여 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시장점유율 또한 16.7%로 사상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문제는 수입차 전성 시대를 맞고 있지만 제작 결함 문제가 급증하고 있다는 데 있다.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차는 1063개 차종에서 61만8484대가 리콜됐다. 사상 최대치로, 지난해 판매량을 두 배 웃도는 수치다.
수입차 리콜 건수를 연도별로 보면 2014년 402개 차종 13만6633대·2015년 470개 차종 24만7861대·2016년 522개 차종 22만2014대·2017년 767개 차종 30만1940대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인다.
지난해 리콜 규모가 커진 주원인 중 하나는 BMW의 '주행 중 화재' 사태다. 엔진에 장착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의 결함으로 520d 모델을 포함한 42개 차종 10만6317대의 차량을 리콜하게 됐다. 국내에서 이뤄진 수입차 리콜 중 사상 최대 규모다.
더 큰 문제는 수입차 업체들의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는 것이다.
닛산은 지난 16일 연비·배출가스 관련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9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한국닛산과 모회사인 일본닛산이 차량의 연비를 과장하고, 대기환경보전법 등 배출가스 기준을 준수하는 것처럼 사실과 다르게 거짓 광고했다는 이유에서다.
한국토요타에도 지난 15일 8억1700만원의 과징금이 부과됐다. 미국에서 '최고 안전 차량'으로 선정된 차에서 안전보강재를 뺀 채 국내시장에 팔면서 관련 내용을 그대로 광고했다는 이유다. 한국토요타는 국내에 출시한 SUV 모델 '라브(RAV)4'에 미국 출시 차량과 달리 안전보강재가 장착돼 있지 않음에도 미국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가 선정한 최고 안전 차량인 것으로 광고했다.
지난해 12월 20일에는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에 벌금 28억원이 선고됐다. 환경 당국에서 변경 인증을 받지 않은 배출가스 관련 부품 장착 차량을 국내에 들여왔기 때문이다. 벤츠코리아는 배출가스 변경 인증을 받기 전 7000대에 달하는 차량을 수입해 판매한 혐의로 기소됐다. 벤츠코리아는 2014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소음 관련 부품과 배출가스 관련 부품이 변경됐음에도 인증받지 않은 채 시가 총 6245억원에 해당하는 차량 6749대를 수입한 혐의를 받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입차가 사상 최대의 판매 실적을 보이고 있지만 잇단 리콜 조치로 관련 차량 소유자들의 불만 또한 극에 달하고 있다"며 "수입차 26만대 시대로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정작 안전 관리 대처가 미흡하고 사후관리(AS) 망의 확충도 필요하다.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