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지역 주간 아파트 가격이 2013년 8월 이후 가장 크게 하락했다. 5년 5개월여 만이다.
3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28일 조사 기준 서울지역 주간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 대비 0.14% 하락했다.이는 지난주(-0.11%)보다 낙폭이 커진 것이며, 2013년 8월 첫째 주 0.15% 하락 이후 285주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이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9·13대책의 대출 규제와 종합부동산세 인상, 입주 물량 증가 등으로 거래 감소와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또 최근 발표된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급등해 4월 말 공개될 공동주택의 공시가격도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가격 하락 폭이 커진 것으로 업계는 분석한다.
강남권 아파트값의 하락 폭도 컸다. 강남 4구(동남권)의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41% 떨어졌다. 이는 2012년 9월 넷째 주(0.41%) 이후 330주 만에 최대 하락 폭이다.
강남구는 지난주 -0.25%에서 이번 주에는 -0.59%로 낙폭이 2배 이상 확대됐다. 개포동 노후 단지를 중심으로 하락 폭이 커져 2012년 7월 첫째 주(-0.24%)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아파트값이 내려갔다.
서초구는 -0.16%에서 -0.26%, 강동구는 -0.16%에서 -0.31%, 송파구는 -0.15%에서 -0.17%로 각각 하락 폭이 커졌다.
비강남권에서는 광진(-0.15%) 서대문(-0.13%) 동대문(-0.11%) 노원·성동·양천·동작구(-0.10%)에서 가격이 많이 내렸다.
일부 경기지역도 마찬가지다. 성남 분당구의 아파트값은 0.42% 떨어져 지난주(-0.23%)보다 낙폭이 커졌고, 광명시와 하남시도 각각 0.26%, 0.13% 내려 지난주보다 하락 폭이 확대됐다.
하지만 수원 장안구(0.11%)는 화서역 인근 개발 호재로, 양주시(0.06%) 부천시(0.04%) 등지는 광역급행철도(GTX) 건설 호재 등으로 가격이 올랐다.
전셋값 하락세도 커지고 있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대비 0.24% 떨어지며 14주 연속 하락했다. 2012년 7월 첫째 주(-0.24%) 이후 6년 6개월여 만에 최대 낙폭이다. 입주 물량 증가 등으로 서울 25개 구 전체에서 모두 전셋값이 떨어졌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 <사설> 서울 한강변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사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