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열일하는 류준열(33)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편안한 휴식을 취했을 것이라 생각했다면 오산. 늘 촬영장에 있었고, 촬영을 하지 않더라도 바쁜 스케줄은 사실상 365일 풀가동이다. 가장 많은 일을 해야 할 시기, 넘치는 에너지를 결코 허투루 쓰지 않는다. '소준열'이라는 별명에 스스로도 고개를 끄덕인 류준열은 "인연이 맺어지고, 함께 한 시간에 고마워 하고, 그래서 의미가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만족도는 다 채워지는 것 같다. 결과는 그 다음 문제라 생각한다"고 한층 단단해진 마음을 내비쳤다.
달려야 할 때 달린다. 쉼없이 달린 만큼 꽉 채워진 단짠 필모그래피는 류준열의 '치열한 청춘'을 대변하기 충분하다. 드라마 '응답하라1988(2015)' 이후 스크린 활동에 매진하고 있는 류준열은 '더 킹(2017)'으로 타올랐고, '택시운전사(2017)'로 시대를 노래했으며, '침묵(2017)'으로 침묵하기도 했지만 '리틀 포레스트(2018)'로 잔잔한 일상을 찾았고, '독전'을 통해 다시금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숱한 과정에서 류준열은 '성장'이라는 포인트를 놓치지 않았다. 성장하는 '배우 류준열'은 늘 기특하고 아름답다.
신작 '뺑반' 역시 달리는 류준열과 함께 달린 작품이다. '범죄액션오락' 장르로 영화에 대한 호불호는 갈리지만 류준열은 또 "잘했다"는 칭찬을 받는데 성공했다. 기라성 같은 선배들이 내뿜는 노련함 보다는 투박하고 덜 다듬어진 날 것의 매력이 현재 류준열의, 류준열을 애정하는 최대 강점이다. '지금' 할 수 있는 최고의 노력으로 늘 최선의 결과물을 내놓는 류준열이기에 흥행과 별개로 '배우 류준열'에 대한 기대치는 쉽게 떨어질리 없다. 올해 '뺑반'에 이어 '돈'과 '전투'까지 선보이게 될 류준열의 열일 행보가 변함없이 주목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이전보다 밝아지고 캐주얼해진 느낌이다. "얼마 전 프로그램 녹화(JTBC '트래블러') 차 쿠바 여행을 다녀 왔는데 정말 좋았다. 내가 스스로는 여행을 많이 다녀 봤다고 생각하는 편인데, 아주 추운 곳부터 아주 더운 곳까지 다 갔다. 여행에 무뎌질 때쯤 쿠바를 가게 된 것인데 쿠바는 또 굉장히 신선한 나라더라. 그쪽 국민들은 기본적으로 흥이 있다고 해야 하나? 내가 알기로는 칵테일, 모히토, 살사, 룸바 등 특유의 째즈 음악이나 그런 것들이 다 그 나라에서 시작 됐다고 하더라. 그래서 쿠바 사람들은 우스갯소리로 '전 세계 사람들은 쿠바 사람들에게 빚을 지고 있다'는 말도 한다고 했다. 매사 긍정적이고 인생을 즐기고 있다는 것이 표정이나 삶에서 보이는데 그런 쿠바를 경험하면서 나도 영향을 받게 된 것 같다." -올해 '쇼박스 전속배우'로 열일한다. "전속배우~는 아니고. 하하. 좋은 작품을 계속 제안을 해 주시고 함께 하게 도와 주셔가지고.(웃음) 공부를 안 한건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배급이나 개봉 시기는 배우가 컨트롤 할 수 있는 분야갸 아니다. 배우는 좋은 작품 있으면 하고, 연기에 집중하면 된느 것 같다. 홍보·마케팅도 더 많은 전문가 분들이 계시지 않나. 배우가 필요하다고 하면 달려가는 것이다. '배우를 아낀다'는 신뢰가 있기 때문에 믿는다."
-필모그래피가 쌓여가면서 스스로 느끼는 변화가 있을 것이다. "분명히 있다. 그게 가장 중요한 것 같기도 하다. 요즘 많이 드는 생각은 '모두가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추상적이기도 한데 그것만큼의 진심도 없다. 단순히 결과나 어떤 물직적인 것 보다 일을 하는 순간에 감사하려 한다. '너와 내가 함께 하고, 그 관계 속에서 다 같이 행복한 시간을 보내면 결과도 좋을 것이다'고 생각한다. 결과는 진짜 우리 마음대로 되는건 아니니까. '좋은 순간을 공유했다'는 마음을 갖는게 더 중요하다는걸 배우고 있다." -'뺑반'은 어땠나. "정말 감동적이었던 순간이, 한준희 감독님과 영화를 마무리 하고 몇 가지 이야기를 나눴는데 '준열 씨 참 고마워. 나에게 이런 시간을 선물해 줘서 고마워'라고 하시더라. 처음엔 그 말이 뭔가 싶었다. 왜냐하면 내 입장에서는 '감사하게 생각하세요~ 해줄게~'라는 마음으로 한 것이 절대 아니지 않나. 좋은 작품에, 나라는 사람을 캐스팅 해주셔서 너무 너무 감사한데 오히려 감사 인사를 받으니까 얼떨떨 하더라. 감독님은 류준열, 공효진, 조정석이라는 청춘이 본인을 위해 감사한 시간을 써줬다고 고마워 하셨다. '이렇게 생각해 주시는 분과 함께 하니까 좋다. 앞의 것만 좇는 분이 아니구나. 멀리 보고 새로운 도전을 했고, 그만큼 깊은 의미가 있는 영화구나' 싶었다. -류준열이 생각하는 행복은 무엇인가. "욕심 부리지 않는 것? 내가 어렸을 때부터 눈칫밥을 먹으면서 자라 '혹시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건 아닐까' 늘 우려한다. 배려한다고 해서 크게 손해 보는건 아니니까. 내가 배려하면 또 배려받기 마련이다. 서로 고맙게 생각하며 살아가는 것이 행복 아닐까 싶다. 내가 어떤 자리에 앉아 편안하면 '저 사람도 이 편안한 자리에 앉고 싶겠구나'라는 마음으로 슬쩍 비켜준다. 현장에서도 그런 마음이 묻어 났으면 좋겠다."
-왜 눈칫밥을 먹었나. "밝은 가정이었지만 환경이 넉넉하지는 않았다. 학교에서 가훈을 조사해 오라고 하면 아버지가 농담으로 '분수대로 살자'고 말씀 하셨다. 있는만큼 쓰자는 것이다. 어렸을 땐 '왜 분수대로 살아야 해?'라는 마음도 들었다. 아버지가 욕심이 크게 없으셨던 것 같다. 벌어서, 버는만큼 그 안에서 쓰자는 마인드셨다. 많이 벌면 많이 버는대로, 적게 벌면 적게 버는대로. 그래서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었다. 맛있는 반찬 하나 남으면 먹어야 말아야 하나, 외식할 때 메뉴판을 보면서도 내려가면 내려갈 수록 가격이 비싸져 밑에 건 고르면 안 된다는 눈치들이 생겼다."
-주연급으로 성장했다. 과정의 행복을 중요시 한다고 했지만 결과적인 수치에 예민하지는 않나. "내 마음대로 되면 예민해지겠다. 뭔가 애를 써서 바꿀 수 있으면 스트레스 받으면서, 잠도 줄여 가면서 밤새 뭔가를 할텐데 그건 내가 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는 문제더라. 손을 탈 수 없는 지점들이고, 탄다고 하더라도 순리와는 어긋나는 것 같아서 욕심을 많이 안 부리고 있다. 선배들도 그렇게 해 왔던 것 같고." -'소준열'을 언급했다. 이미지 소진에 대한 부담은 없나. "내가 묻고 싶다. 마지막으로 나왔던 작품이 '독전'인데 어떠시냐. 나 좀 지루한가. 회사에서도 말을 잘 안 해 준다. 진짜 궁금하다. 내 스스로는 부담을 느낄 정도의 스케줄은 아니라 즐겁게 소화하고 있다. 앞으로 나올 '돈'과 '전투'도 새로운 작품, 새로운 영화라 나는 새로운 재미를 느꼈다. 신나서 했는데 어떠게 봐 주실지는 모르겠다. 내가 재미있어 한 만큼 관객 분들도 새로운 무언가를 느껴 주셨으면 좋겠다. 고민을 안 하는건 아니지만 아직 그런 부담을 느끼기엔 그럴만한 위치도, 상황도 아닌 것 같다. 더 열심히 해야지." -류준열 팬은 여전히 충성도가 높다. "무대인사를 하면서도 느낀건데 좀 뭉클했다. 객석이 꽉 찬 건 둘째치고 '얼마나 기다렸는데 너 드디어 나오는구나' '진짜 오래 기다렸어' '기대하고 볼게. 나 되게 설레어' '고마워' 그런 표정들이 한 눈에 들어오더라. 팬과 스타도 비슷한 사람끼리 뭉치게 되는 것 같다. 내가 한 물건을 사면 굉장히 오래 쓰는 편이고, 좋아하는게 쉽게 쉽게 바뀌지 않는데 우리 팬들도 그런 것 아닐까. 싶다. 늘 고맙고 감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