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isp/image/2019/02/11/isphtm_20190211172252282755.jpg)
육류를 과다 섭취하면 뇌경색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공동 연구팀은 2006∼2013년에 서울대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1578명의 뇌 자기공명영상(MRI) 및 혈액검사를 분석한 결과,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와 뇌경색 사이에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과학회 공식 학회지 '신경학(Neurology)' 최근호에 발표됐다.
호모시스테인은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될 경우 심장병과 뇌졸중은 물론이고 뇌 조직 손상에 의한 치매 발병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다.
연구팀은 연구 참여자를 혈중 호모시스테인 기준 농도(9.60μmol/ℓ)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눠 뇌경색 등 소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하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은 그룹에서는 혈관 미세출혈과 '뇌백질 고신호(MRI상의 진한 흰색 병변)' '열공성 뇌경색(증상이 없는 뇌졸중)' 비율이 높았다.
또 전체의 14%에서 혈관 주변에 빈 공간이 많아 뇌 조직이 치밀하게 자리 잡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는 '확장성 혈관주위 공간(EPVS)'을 25개 이상 갖고 있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정상 범위로 알려진 호모시스테인 농도(5∼15μmol/ℓ)에서도 뇌경색 위험이 높아지는 유의성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박진호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호모시스테인은 육류 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자주 먹을 경우 농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시금치 등 녹색채소나 생선 등을 곁들이면 정상 수치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건강기능식품 형태의 비타민B 복합제는 뇌졸중 예방 효과가 검증되지 않아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